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6-9654
  • E-ISSN2733-466X
  • KCI

시각 검색과정에 대한 위치화 가설의 검증

A Test of the Localization Hypothesis in Visual Conjunctive Target Search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 The Korean Journal of Cognitive and Biological Psychology, (P)1226-9654; (E)2733-466X
1997, v.9 no.1, pp.17-31
곽호완 (경북대학교 심리학과)

초록

Treisman과 그 동료들(1980, 1982)이 제안한 세부특징통합론에 의하면 유기체가 대상을 지각하기 위해 자극의 분리가능한 세부특징들을 각각의 세부특징도에 전주의적으로 등록한 뒤에 초점주의가 이 세부특징들을 계열적으로 통합하는 과정을 거친다고 제안했다. 그러나 최근에 Tsal(1989)이 제안한 상대가설에 의하면 주의집중은 단지 자극의 각 세부특징을 위치화시킬 뿐이라고 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 1,2는 Tsal의 위치화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실행되었다. 시각검색과제에서 위치화과정과 세부특징통합과정을 분리조작하기 위해서 사전노출(preview) 조작을 기용하였다. Tsal의 위치화 가설에 의하면 표적화면의 여러 자극들 중 한 측면의 세부특징들이 사전에 제시(사전노출조건)되어 미리 세부특징 위치화를 가능하게 하면, 그 뒤 제시되는 표적화면에서의 표적탐지시간이 사전노출하지 않은 조건(통제조건)보다 빨라짐을 예언한다. 실험 1에서 피험자들은 표적화면에서 녹색-수평선 또는 적색-수직선으로 된 표적이 있는지를 판단하도록 요구받았다. 실험1의 결과 사전노출조건은 통제조건보다 전반적으로 100ms 정도 빨랐지만 검색함수의 기울기는 차이가 없었다. 실험2에서는 피험자들로 하여금 회전된 'L'들이 흩어져 있는 자극판에서 회전된 'T'가 있는지를 판단하게 하였다. 단일표적을 사용한 실험2에서도 사전노출조건이 통제조건에 비해 반응시간 기울기가 빨라지지 않았다. 본 실험 1,2의 결과, 세부특징들의 부분적 사전노출이 접합표적 탐지에 도움을 주지 않았다는 것을 시사하며, 이는 Tsal의 위치화가설을 기각하는 결과이다. 결국 시각검색에서 표적탐지에 필요한 처리과정은 세부특징들의 위치화만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이 위치화된 세부특징들을 통합 또는 접착(glue)하는 과정이 필요하고 이 과정은 사전노출의 조작에 영향을 그리 받지 않는다. 결론적으로 주의집중은 세부특징을 위치화하는 것 뿐만 아니라 세부특징들을 통합하는 역할도 있다는 Treisman의 주장을 간접적으로 지지한다.

keywords

Abstract

According to the localization hypothesis(Tsal, 1989), attention merely facilitates feature localization porcesses, not the feature integration. In two visual conjunctive-target search tasks, subjects were previewed with the display containing half of features(color or form) of each item before presenting the full conjunction display. The hypothesis predicts that search slope in the preview condition would be reduced in half. However, the results failed to confirm the prediction, suggesting that feature localization alone may not be sufficient for conjunctive search.

keywords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