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6-9654
차원 자극벌은 속성 차원에서 배타적인 수준에 있는 자극들로 구성된다. (예, 괄호의 방위: '('와 ')'). 선행 연구에서 차원 자극벌의 표적이 동시에 반복 제시되면, 상이한 방해자극이 옆에 있는 경우에 비해 정확 탐지율이 높아지는 정적 반복효과가 관찰되었는데, 이는 반복 제시된 두 형태로부터 출현하는 평행이 잘 탐지되기 때문이라고 설명되어 왔다. 반면에, 괄호로 구성한 차원 자극벌에서 표적이 상이한 방해자극과 함께 제시되면 대칭/폐쇄로 집단화되어 좋은 형태가 만들어지고, 이것이 잘 탐지되어 부적 반복효과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이처럼 차원 자극벌에는 여러 자극 특성이 혼입하므로 그 동안 반복효과가 일관성 있게 관찰되지 않았을 가능성이 있다. 본 연구는 평행 (실험 2)과 좋은 형태 (실험 3)의 효과를 개별적으로 검토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이들 두 자극 특성은 모두 순간노출 상황에서 잘 탐지되지는 않는 것으로 드러났다. 차원 자극벌 및 반복효과와 관련하여, 전역 형성 특성과 실험 과제에 대해 논하였다.
Dimension set consists of stimuli at mutually exclusive levels on attribute dimension (e.g., orientation: '(' vs. ')' ). Using dimension sets, previous studies have obtained positive repetition effects (PRE) that detection rate was higher when a target was flanked by a distractor of the same identity (i.e., repeated) than by different one (Kim & Kwak, 1990). It was suggested that PRE was caused by the efficient processing of parallelism emerging from the repeated displays (Kwak, Kim, & Park, 1993). On the contrary, in the alternative displays that a target is presented with a distractor of different identity, there emerges a good form having symmetry / closure, which can be easily detected to contribute to negative repetition effect. If a variety of stimulus properties are confounded in dimension set and they behave incongruently, it is not likely to observe consistent pattern of repetition effects. This study tried to test the effect of parallelism (Exp. 2) and good form (Exp. 3) separately. The results showed that both of parallelism and good form were not perceptually salient under tachistoscopic situation. The problems of global configuration and task were discussed in relation to dimension set and repetition effe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