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자동차내 항법 시스템의 정보 제공 형태에 따른 운전자의 정보처리와 운전 통제: 정보의 감각 양상과 제시빈도의 효과

The Effects of Information Modality and Complexity of In-Vehicle Navigation System on Drivers' Information Processing and Vehicle Control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 The Korean Journal of Cognitive and Biological Psychology, (P)1226-9654; (E)2733-466X
1997, v.9 no.2, pp.43-61
이재식 (부산대학교 심리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에서는 자동차내의 항법 장치가 제공하는 정보의 제사 방식, 즉, 정보의 제시 경로(modality)와 제시 빈도를 달리하여 운전자의 운전 수행과 정보 처리에 이들의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실험 1에서는 도로 표지에 대한 정보들을 시각적인 경로와 청각적인 경로를 통해 운전 중에 있는 운전자에게 각각 제시한 후 운전자들이 얼마나 많은 정보들을 기억하고 있는지, 각각의 정보 제공 양상에 따른 운전 수행의 차이는 있었는지, 그리고 운전자가 주관적으로 평가하기에 어느 정보 제공 양상이 운전 수행을 더 방해했는지 등을 살펴보았다. 실험 1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유회상률은 시각 정보에 비해 청각 정보 조건에서 더 우수하였던 반면 둘째, 운전 수행은 시각 정보가 제시되었을 때가 더 우수하였고, 셋째, 피험자들이 청각 자극이 제공된 경우가 시가적으로 제공된 경우보다 상대적으로 정보의 제공이 운전에 더 방해되거나 성가심을 유발한다고 보고하는 경향이 더 컸다. 실험 2는 현실에서의 운전 상황과 좀더 가깝게 실험 1의 연구 방법을 보완하였으며, 정보의 제시 빈도와 정보의 제공 양상, 그리고 운전 거리에 따라 운전자가 주어진 정보를 얼마나 빠르고 정확하게 판단하여 반응하는지 검증하였다. 실험 2의 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으로 운전자들은 시각 정보보다는 청각 정보에 대해 더 빠른 반응 시간을 보였다. 둘째, 운전 처리가 증가함에 따라 시각 정보에 대해 반응하는 시간이 더 느려지는 경향을 보이는 반면, 청각 정보에 대한 반응 시간은 운전 거리와는 별 상관이 없었다. 셋째, 청각 정보가 시각 정보에 비해 정보의 제시 빈도에 더 많은 영향을 받아 정보가 고빈도로제시되는 경우 반응 시간이 증가한 반면, 시각 정보에 대해서는 정보 제시의 빈도에 별로 영향을 받지 않았다. 넷째, 정보의 제공 양상은 반응의 실수율과 의미 있는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보이지만, 실수율은 정보가 고빈도로 제시되었을 때가 저빈도로 제시되었을 때보다, 그리고 운전의 초반부에서 더 높았다.

keywords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odality(auditory vs. visual) and complexity of information (high vs. low frequency) in a in-vehicle navigation system on drivers' information processing and vehicle control. In Experiment 1, the effects of information modality on free recall performance, driving performance, and subjective evaluation for the types of information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showed that (1) free recall performance was better in the auditory condition than in the visual condition, but (2) driving performance was better in the visual condition than in the auditory condition. In addition, (3) the drivers generally preferred visual information than auditory information. In Experiment 2, drivers' reaction time and accuracy were examined as information modality, frequency of information, and driving distance varied. The results showed as follows. (1) the drivers responded faster in the auditory information condition than in the visual condition. But (2) the auditory condition also led to increased reaction time as the amount of information increased. In contrast, (3) reaction time for the visual information increased as the driving distance increased. (4) The error rate did not appear to be affected by information modality, but a higher rate was found in the complex information condition (high frequency) and in the earlier part of driving.

keywords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