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유사 사이버 괴롭힘 상황에서 여중생의 주변인으로서 반응 분석: 또래 괴롭힘 가ㆍ 피해 및 분노 경험의 영향

An Analysis of Response as Bystanders of Middle School Girls in a Simulated Cyberbullying Situation: Influences of Peer Bullying/Victimization and Anger Experiences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P)1229-0661; (E)1229-0661
2020, v.26 no.1, pp.1-23
https://doi.org/10.20406/kjcs.2020.2.26.1.1
정아혜 (계명대학교 심리학과)
최윤경 (계명대학교 심리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유사 사이버 괴롭힘 상황에서 여중생의 주변인으로서 반응을 분석하는 것이었다. 또한 가ㆍ피해 경험, 분노표출, 그리고 상태분노가 여중생의 주변인으로서 반응에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참가자는 2, 3학년인 여중생(N=59)으로 구성되었다. 반응은 7개 범주(외현적 언어, 공격하기, 패스하기, 주제 바꾸기, 피해자 위로하기, 기타, 동조하기)로 분류되었다. 이 중 공격하기는 공격 표적에 따라 세분하였다(피해자, 가해자, 모두, 대상모호). 이는 다시 '공격반응', '도움반응'으로 분류되어 반응의 강도에 따라 채점 및 합산되어 종속변수로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상관 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타(41.69%) 반응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뒤이어 외현적 언어(20.34%), 패스하기(13.56%), 가해자 공격하기(8.81%), 동조하기(8.64%), 주제 바꾸기(6.61%), 그리고 피해자 위로하기(0.34%) 순으로 이어졌다. 둘째, 피해자 공격에는 과거 가해경험 및 분노표출은 정적영향을, 과거 피해경험은 부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태분노는 가해자 공격 및 피해자 도움반응에 정적영향을 미쳤다. 가ㆍ피해자 모두 및 대상모호 공격에는 어느 변인도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사이버 괴롭힘 상황에서 여중생들이 주변인으로서 적절한 개입을 하도록 돕는 데 유용한 자료가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keywords
사이버 괴롭힘, 또래 괴롭힘 가․피해 경험, 분노표출, 분노, 주변인으로서 반응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responses as bystanders of middle school girls in a simulated cyberbullying situation. This study also aimed to examine effects of bullying, victimization, anger-out, and state-anger on responses from girls as bystanders. The participants were composed of 2nd or 3rd grade middle school girls(N=59). Responses were classified into 7 categories(using explicit language, attacking, pass, changing topic, comforting victims, others, and conformity). Of these, attacking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target(bully, victim, both, and ambiguous object). It was again classified as 'attacking response' and 'helping response' and was scored and summed according to the strength of the response and used as a dependent variabl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ost frequent response was 'the others'(41.69%) followed by 'using explicit language'(20.34%), 'passing'(13.56%), 'attacking bully'(8.81%), 'conformity'(8.64%), 'changing topic'(6.61%), and 'comforting victim'(0.34%). Second, responses of attacking victim were positively influenced by the previous bullying experiences and acting anger-out, and were negatively influenced by the previous victimization experience. State-anger has a positively influenced on responses of the attacking bully and the helping victim. None of the variables were significant influenced on responses of the attacking both and ambiguous object. These results will be useful data to help middle school girls as bystanders properly intervene in cyberbullying situation.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long with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keywords
cyber bullying, bullying, victimization, anger-out, anger, response as bystanders
투고일Submission Date
2019-10-03
수정일Revised Date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2020-02-25

참고문헌

1.

권지은 (1998). 청소년 비행관련 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김경은 (2011). 청소년의 사이버폭력에 관련된 생태체계변인 탐색. 충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

김은경 (2012). 청소년의 사이버 불링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 연구. 명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

김명자 (2002). 청소년의 학교폭력행위 예측모형 구축.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5.

김재휘, 김연정 (2004). 사이버 공간에서 사회적 실재감의 지각과 공격행동.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10, 83-101.

6.

김종선 (2010). 학교폭력 가해자와 피해자의 대인관계패턴 및 자아방어기제 비교. 충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김철우 (2019). 온라인 공간으로 진화되는 사이버 학교폭력. 경남도민일보. 검색일 2019. 5. 2, 출처 http://www.idomin.com/ news/articleView.html?idxno=597437

8.

박미영, 김은경 (2002). 여고생의 분노 및 대인관계위치와 집단따돌림(괴롭힘)행위와의 관계. 한국간호교육학회지, 8, 7-16.

9.

박현선 (1998). 빈곤 청소년의 학교적응유연성.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0.

백지현 (2010). 남녀청소년의 또래 괴롭힘 참여자역할유형에 따른 인지적, 정서적, 사회적 특성.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서미정 (2008). 방관자의 집단 특성에 따른 또래괴롭힘 참여 역할행동. 아동학회지, 29, 79-95.

12.

서미정, 김경연 (2004). 아동의 개인적․환경적 특성과 또래괴롭힘. 아동학회지, 25, 93- 108.

13.

송경희, 송주현, 백지현, 이승연 (2009). 남녀 중학생의 정서적, 인지적 특성, 부모의 양육행동과 또래괴롭힘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2(2), 1-22.

14.

송병배 (2014). 화장하는 10대 괜찮을까?. 대전투데이. 검색일 2014. 3. 20, 출처 hhttp://www.daejeontoday.com

15.

박고운 (2014). 사이버불링으로 괴롭히고 괴롭힘 당하고 ‘여중생 심각’. 웰페어뉴스, 검색일 2014. 4. 19, 출처

16.

백지현 (2010). 남녀청소년의 또래 괴롭힘 참여자역할유형에 따른 인지적, 정서적, 사회적 특성.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신재선, 정문자 (2002). 초등학생의 또래 괴롭힘 유형과 스트레스 대처행동에 관한 연구. 아동학회지, 23, 123-138.

18.

심복심 (2012). 부정적 생활사건 경험으로 인한 스트레스, 분노 및 공격행동 간의 관계: 자기격려와 타인격려의 완충효과. 경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

심유진 (2008). 청소년의 분노경험과 학교폭력가해행동 관계에서 분노사고의 매개효과.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

정병묵 (2013). ‘사이버 왕따’ 여학생들이 더 많이 시킨다, 이데일리뉴스, 검색일 2014. 4. 19, 출처 http://www.edaily.co.kr

21.

정 은, 하 신, 윤미, 조선미 (2016). 기질을 활용한 학교폭력 방관자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22(1), 119-135.

22.

오은정 (2010). 청소년 (靑少年) 과 민족정신 (民族精神): 중학생 (中學生) 의 사이버불링 실태 (實態) 조사 (調査). 청소년과 효문화 (구 한국의 청소년문화), 15, 219-243.

23.

오인수 (2011). 초등학생 온라인 괴롭힘의 실태 및 오프라인 괴롭힘과의 비교 분석. 아시아교육연구, 12(3), 75-98.

24.

오인수 (2014). 성별에 따른 유형별 공격성과전통적 괴롭힘 및 사이버 괴롭힘 가해의 관계. 상담학연구, 15(5), 1871-1885.

25.

유재웅, 조윤경 (2018). 사이버 괴롭힘의 목격 후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방관 및 가담, 중재 행위를 중심으로. 언론정보연구, 55(2), 258-289.

26.

이상균 (2005). 청소년의 또래폭력 가해 경험에 대한 생태 체계적 영향 요인. 한국아동복지학, 19, 141-170.

27.

이수경 (2011). 청소년 사이버 언어폭력의 위험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 연차 학술발표논문집, 2011, 236-236.

28.

이수경, 오인수 (2012). 사이버 괴롭힘과 오프라인 괴롭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비교 분석. 아시아교육연구, 13(2), 137-161.

29.

전신현, 이성식 (2010). 연구논문: 청소년의 휴대전화를 이용한 사이버 집단 괴롭힘 현상의 원인모색. 청소년학연구, 17(11), 159- 181.

30.

진천사, 오인수 (2018). 루머 확산의 사이버 괴롭힘을 목격한 주변인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성별에 따른 심리적 변인의 차이를 중심으로. 아시아교육연구, 19(4), 995-1019.

31.

한덕웅, 전겸구, 이장호, Spielberger, C. D. (1997). 건강: 한국판 STAXI 척도 개발: 분노와 혈압.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 60-78.

32.

홍솔지, 최윤경 (2017). 공감, 공정성, 도움행동의도 및 사회적 자기효능감이 사이버 괴롭힘 상황에서 주변인의 도움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31(2), 39-60.

33.

Aboud, F., & Miller, L. (2007). Promoting peer intervention in name-calling. South African Journal of Psychology, 37, 803-819.

34.

Afrab, P. (2006). Parry Afrab’s guide for schools on cyberbullying. Retrieved May 29, 2014, from http://www.stopcyberbullying.org/educatiors/guide_for_schools.html.

35.

Beran, T., & Li, Q. (2007). The relationship between cyberbullying and school bullying. The Journal of Student Wellbeing, 1, 16-33.

36.

Berkowitz, L. (1989). Frustration-aggression hypothesis: examination and reformulation. Psychological Bulletin, 106, 59-73.

37.

Bosworth, K., Espelage, D. L., & Simon, T. R. (1999). Factors associated with bullying behavior in middle school students. The Journal of Early Adolescence, 19, 341-362.

38.

Caravita, S., Di Blasio, P., & Salmivalli, C. (2009). Unique and interactive effects of empathy and social status on involvement in bullying. Social Development, 18, 140-163.

39.

Dehue, F., Bolman, C., & Vollink, T. (2008). Cyberbullying: Youngsters’ experiences and parental perception. Cyberpsychology and Behavior, 11, 217-225.

40.

Eisenberg, N. (2000). Emotion, regulation, and moral development. Annual Review of Psychology, 51, 665-697.

41.

Espelage, D. L., & Swearer, S. M. (2003). Research on school bullying and victimization: What have we learned and where do we go from here? School Psychology Review, 32, 365-383.

42.

Freis, S. D., & Gurung, R. A. (2013). A Facebook analysis of helping behavior in online bullying. Psychology of Popular Media Culture, 2, 11-19.

43.

Funkenstein, D. H., King, S. H., & Drolette, M. (1954). The direction of anger during a laboratory stress-inducing situation. Psychosomatic Medicine, 16, 404-413.

44.

Greenberg, L. S., & Paivio, S. C. (2008). 심리치료에서 정서를 어떻게 다룰 것인가 (이흥표 역). 서울: 학지사. (원전은 1997에 출판)

45.

Hinduja, S., & Patchin, J. W. (2007). Off-line consequence of online victimization: School violence and delinquency. Journal of School Violence, 6, 89-112.

46.

Juvonen, J., & Gross, E. F. (2008). Extending the school grounds?: Bullying experiences in cyberspace. Journal of School Health, 78, 496-506.

47.

Khoury-Kassabri, M. (2009). The relationship between staff maltreatment of students and bully-victim group membership. Child Abuse and Neglect, 33, 914-923.

48.

Kowalski, R., & Limber, S. (2007) Electronic bullying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of Adolescent health, 41, 22-30.

49.

Martin, D. W. (2010). 심리학 실험법(김민식, 감기택 옮김). 서울: 센게이지러닝코리아. (원전은 1977에 출판)

50.

Maschi, T., & Bradley, C. (2008). Exploring the moderating influence of delinquent peers on the link between trauma, anger, and violence among male youth: Implications for social work practice. Child and Adolescent Social Work Journal, 25, 125-138.

51.

Menesini, E., & Nocentini, A. (2009). Cyberbullying definition and measurement. Zeitschrift für Psychologie/Journal of Psychology, 217, 230-232.

52.

Mishna, F., Saini, M., & Solomon, S. (2009). Ongoing and online: Children and youth’s perceptions of cyber bullying. Children and Youth Services Review, 31, 1222-1228.

53.

Mishna, F., Khoury-Kassabri, M., Gadalla, T., & Daciuk, J. (2012). Risk factors for involvement in cyber bullying: Victims, bullies and bully-victims. Children and Youth Services Review, 34, 63-70.

54.

O’Connell, P. A. U. L., Pepler, D., & Craig, W. (1999). Peer involvement in bullying: Insights and challenges for intervention. Journal of Adolescence, 22, 437-452.

55.

O’Connor, T. G., Heron, J., Golding, J., Beveridge, M., & Glover, V. (2002). Maternal antenatal anxiety and children’s behavioural/ emotional problems at 4 years: Report from the Avon longitudinal study of parents and children. The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180, 502-508.

56.

Olweus, D. (1993). Bullying at school: What we know and what we can do. Cambridge, MA: Blackwell.

57.

Peled, M., & Moretti, M. M. (2007). Rumination on anger and sadness in adolescence: Fueling of fury and deepening of despair. Journal of Clinical Child and Adolescent Psychology, 36, 66-75.

58.

Pellegrini, A. D. (1998). Bullies and victims in school: A review and call for research.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19, 165-176.

59.

Pöyhönen, V. (2013). Defending behavior in bullying situation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Turky, Finland.

60.

Quinn, C. A., Rollock, D., & Vrana, S. R. (2013). A test of Spielberger’s state-trait theory of anger with adolescents: Five hypotheses. Emotion, 14, 74-84.

61.

Raskauskas, J., & Stoltz, A. D. (2007). Involvement in traditional and electronic bullying among adolescents. Developmental Psychology, 43, 564-575.

62.

Rubin, A. & Babbie. E. (2008). Research methods for social work(6th ed). Belmont, CA: Wadsworth.

63.

Salmivalli, C. (2010). Bullying and the peer group: A review. Aggression and Violent Behavior, 15, 112-120.

64.

Salmivalli, C., Lagerspetz, K., Björkqvist, K., Österman, K., & Kaukiainen, A. (1996). Bullying as a group process: Participant roles and their relations to social status within the group. Aggressive Behavior, 22, 1-15.

65.

Smits, D. J., & Kuppens, P. (2005). The relations between anger, coping with anger, and aggression, and the BIS/BAS system.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39, 783-793.

66.

Sourander, A., Klomek, A. B., Ikonen, M., Lindroos, J., Luntamo, T., Koskelainen, M.,… & Helenius, H. (2010). Psychosocial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cyberbullying among adolescents: A population-based study.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67, 720-728.

67.

Spielberger, C. D., Jacobs, G., Russell, S., & Crane, R. S. (1983). Assessment of anger: The state-trait anger scale. Advances in Personality Assessment, 2, 159-187.

68.

Spielberger, C. D., Johnson, E. H., Russell, S. F., Crane, R. J., Jacobs, G. A., & Worden, T. J. (1985). The experience and expression of anger: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an anger expression scale. In M. A. Chesney & R. H. Rosenman (Eds.), Anger and hostility in cardiovascular and behavioral disorders (pp. 5-30). New York: Hemisphere/McGraw-Hill.

69.

Vissing, Y. M., Straus, M. A., Gelles, R. J., & Harrop, J. W. (1991). Verbal aggression by parents and psychosocial problems of children. Child Abuse and Neglect, 15, 223-238.

70.

Williams, K. D., Govan, C. L., Croker, V., Tynan, D., Cruickshank, M., & Lam, A. (2002). Investigations into differences between social- and cyber ostracism. Group Dynamics: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6, 65-77.

71.

Ybarra, M. L., & Mitchell, K. J. (2007). Prevalence and frequency of Internet harassment instigation: Implications for adolescent health. Journal of Adolescent Health, 41, 189-195.

72.

Yudofsky, S. C., Silver, J. M., Jackson, W., Endicott, J., & Williams, D. (1986). The Overt Aggression Scale for the objective rating of verbal and physical aggression. The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43, 35-39.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