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일반 성인 399명을 대상으로 자살사고의 심각도를 측정할 수 있는 자살사고 속성척도(Suicidal Ideation Attributes Scale; SIDAS)를 타당화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20년 7월~8월까지 약 2주간 온라인으로 수집된 자료를 사용하였다. 첫째, 연구참여자의 인구사회학적특성과 우울, 불안, 자살사고, 자살계획, 자살준비, 자살시도 집단에 따른 SIDAS 점수의 차이를 확인한 결과, 성별과 거주형태, 우울과 불안 증상 유무, 자살사고, 자살계획, 자살준비, 자살시도의 유무에 따라 집단 간 SIDAS 점수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SIDAS의 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해 SIDAS 문항과 컬럼비아 자살심각도 척도(C-SSRS) 자살사고 강도 문항, 로젠버그 자아존중감 척도(RSE) 문항 간의 상관을 확인한 결과, 문항 간 상관과 C-SSRS의 자살사고 강도 문항과는 모두 유의한 상관이 나타났으며, RSE의 문항과는 부정 상관이 나타나거나 상관이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셋째, SIDAS 척도의요인구조를 확인하기 위해 전체 응답자와 자살사고를 보고한 응답자를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두 집단 모두에서 단일요인 구조가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내적일치도 또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참여자의 지난 1년간 자살계획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확인한 결과 자살사고에 대한 통제가능성과 연령이 유의한 예측 변인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웹 기반으로 사용하도록 설계된 SIDAS 척도를 한국에서도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추후 온라인 심리치료에 활용 가능한기초자료를 제공하고, 국내 일반 성인에게 적용가능한 신뢰롭고 타당한 자살사고 측정도구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alidate the Suicidal Ideation Attributes Scale(SIDAS) which can measure the severity of suicidal ideation in a sample of 399 Korean adults. For this purpose,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for two weeks from July 2020 to August 2020. First, there were differences in SIDAS scores among groups divided by gender, residence status, depression and anxiety symptoms, suicidal ideation, suicidal plan, suicidal preparation, and suicidal attempt. Second, correlations between SIDAS, C-SSRS suicidal ideation intensity question(3 items), and the Rosenberg Self-efficacy (RSE) were examined to confirm the validity of SIDAS. As a result, correlations between the SIDAS and suicidal ideation intesity items of C-SSRS were significant in all items, while correlations between the SIDAS and RSE items were negative or insignificant. Third, as a result of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f SIDAS on all respondents and respondents with suicidal ideation, a single factor structure was appropriate for both groups. Internal consistency of SIDAS was also good. Lastly, as a result of identifying the variables affecting the suicidal plan over the past year, controllability and age were identified as significant predictive variables. SIDAS which was designed to be administered through web, can be appropriately used in Korea. It was confirmed that SIDAS is a reliable and valid suicidal ideation scale which is applicable to adults in Korea.
본 연구는 남성 동성애자의 이성애불편감 척도(Heterophobia Scale for Gay Male: HGM)를 한국판으로 타당화하는 목적을 가진다. 이성애불편감(heterophobia)은 성소수자가 이성애자들에 대해 가지는 거부감, 공포, 회피를 의미한다. 이성애불편감의 하위 3요인은 남성 이성애자에대한 ‘불편/회피’, ‘단절’, ‘거절 예측’이다. 한국판 HGM을 타당화하기 위해, 문항 번역, 문항분석,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은 213명의 남성 동성애자를 대상으로실시하였고, 3요인과 13개의 문항이 도출되었다. 확인적 요인분석은 K-HGM의 적절한 적합도와 3요인 구조를 지지하였다. K-HGM의 신뢰도, 수렴 타당도, 변별 타당도, 관련 척도들과의 관계(K-SOMS, K-MISS-G, SDS-9, RS)도 적절하였다. 결과적으로 K-HGM은 한국에서 남성동성애자를 대상으로 이성애불편감을 측정하기에 타당한 도구이다. 본 연구결과에 대해 논하며 연구 의의 및 한계점, 후속 연구의 방향에 대해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validate the Korean version of the Heterophobia Scale for Gay Male (HGM). Heterophobia refers to the rejection, fear, and avoidance that sexual minorities feel against of heterosexuals. The three subscales of HGM assesses the unease/avoidance, disconnectedness, and expected rejection fromwith heterosexual male. To validate the Korean HGM, item translation, item analysis,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ere conducted. From the Us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HGM(N=213), per 13 items, a 3-factor model consisting of 13 items wereas determined. The C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upported the goodness of fit of the 3-factor structure of the K-HGM (N=153) and showed adequate model fit, K-HGM showed adequate the internal consistency, convergent validity, discriminant validity and Criterion validity was good with other related scales (K-SOMS, K-MISS-G, SDS-9, and RS). In conclusion, the K-HGM is a valid measure of heterophobia for gay male within the Korean population. Based on the findings, implications, practical use,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a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재난 뉴스의 점화 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특히 재난과의 지리적 거리와 심리적 거리에따라 외상점화 효과 및 중립점화 효과에서 차이가 나는지를 검증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의 참가자는 대구지하철 화재 사건을 직접 경험한 적이 없고, 스크리닝 설문에서 배제 기준에 해당되지 않는 대학생 75명이었으며, 모든 참가자는 뉴스 동영상을 시청한 후 어휘판단과제를 수행하였다. 설계는 2(지리적 거리) × 2 (심리적 거리) × 2(점화 유형) 혼합 설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재난으로부터 지리적으로 가까운 집단이 먼 집단에 비해 점화 효과가 큰 경향성을 보였다. 둘째, 재난으로부터 심리적으로 가까운 경우, 지리적으로도 가까운 집단이 지리적으로 먼 집단에 비해 점화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재난으로부터 지리적으로 가까운 집단이 먼 집단에 비해 중립점화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넷째, 재난으로부터 심리적으로 먼 집단이 가까운 집단에 비해 중립점화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요약하면, 재난 뉴스가 사람들에게 암묵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지리적 거리와 심리적 거리에 따라 그 영향이 달라질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priming effects of disaster-related news. Specifically,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priming effects about trauma words and neutral words according to the geographical and psychological distance from the disaster.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75 college students who had not experienced the Daegu subway fire accident, and whom were not ruled out after completing the screening measure completing the screening measure the completion of questionnaires for screening. All participants conducted a lexical decision task after watching a news video about the Daegu subway fire accident. The design was a 2 (Geographical distance: close vs. distant) × 2 (Psychological distance: close vs. distant) × 2 (Priming type: trauma priming vs. neutral priming) mixed-desig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group which was geographically closer to the disaster tended to revealed a largerbigger priming effect than the distant group-a trend toward significance. Second, within the psychologically closer to the disaster, group, for those who were geographically closer too, the priming effect was larger for those who were geographically closer geographically closer than for the geographically distant group. Third, the geographically closer group had a largerbigger neutral priming effect than the distant group. Fourth, the psychologically distant group had a largerbigger neutral priming effect than the close group. To sum up, this study identified that disaster news coverage may have an implicit effect on people, and this influence can change according to the geographical and psychological distance. Finally, this study discussed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recommendations for further research.
본 연구는 심리부검을 통해 완결된 자살자의 자살행동과 자살위험요인을 탐색하고 이를 지표로 자살 유형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각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요인을 이차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128명의 완결된 자살자와 관련 유가족과 지인을 대상으로 심리부검 면담을 실시했고 유형 분석에 필요한 지표변수를 최종 선정하였다. 자살위험요인 지표변수로 정신장애, 자살/자해, 중대한 신체변화, 배우자간 갈등, 직장/학교 내 적응 및 관계문제, 실직/해고, 사업실패, 무직, 심각한 재정적 문제가 선정되었다. 자살행동 지표변수로 자살의지표현, 자살유서, 구조도움요청, 자살시간/장소/방법, 과거 자살/자해 시도, 자살자 최초발견이 선정되었다. 잠재계층분석(Latent Class Analysis)과 3단계 분석 방법(3-step method)을 이용하여 유형을 분석하였고 각 유형에 대한차이를 규명하고자 외부변수(경제적 변화, 동거, 스트레스 존재/변화, 관계변화, 가족 중 정신장애/알코올문제/신체질병, 학교/직장 만족)를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자살행동을 기반으로 한 유형 분석에는 5가지 계층(경제문제, 적응문제, 복합문제, 정신과문제, 사건반응), 자살위험요인을 기반으로 한 유형 분석에서는 3가지 계층(주거지-자살시도-가족발견형, 비주거지-비자살시도-지인발견형, 주거지-비자살시도-가족발견형)이 탐색되었다. 자살행동 기반 3가지 유형 간에는 성별, 결혼상태, 동거여부, 관계변화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특히 유형 3(주거지-비자살시도-가족발견형)의 경우 다른 유형에 비해 동거중인 상태로, 기혼자일 가능성이 높고 대인관계 갈등이 두드러졌다. 자살위험요인 기반 5가지 유형 간에는 경제적 변화, 동거, 스트레스, 관계변화, 가족 관련 문제, 학교/직장 만족도에서 차이를 보였는데 특히 유형3(복합문제)은 상대적으로 가족 관련 문제는 없으나 개인적인 스트레스 발생과 악화가 두드러졌다. 향후 해당 유형과 유형별 영향요인에 맞는 자살예방과 위기개입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The current study aimed to explore the suicidal behaviors and risk factors of completed suicides using psychological autopsy and use them as index variables to classify suicidal types. In addition, this study looked into the influential factors that affect each suicidal type. related to suicidal behaviors and suicidal risk factors by psychological autopsy. In addiction, the distinctions among the classes were analyzed. For this, psychological autopsies were conducted on the families and the close ones of 128 completed suicides. Then, the index variables were finally chosen for classifying suicidal types. The selected index variables for suicidal risk factors were mental disorders, suicide/self-harm, significant changes in physical appearance, marital conflict, adjustment and relationship issues at work/school, unemployment/layoff, jobless status and serious financial problems. The selected index variables for suicidal behaviors were expressing their suicidal attempts, writing suicidal notes, asking for help, the time/place/method of suicidal behavior, past suicidal/self-harm experience and the first person who witnessed the suicide. The Latent Class Analysis(LCA) and the 3-step method were used for classifying suicidal types. Then external variables(financial changes, cohabitation, existence of stressors, changes in stress level or relationships and family members with mental disorder/alchohol problems/ physical disorders, and work/school stisfaction) were applied for distinguishing classes. As a result, 5 classes(financial problems, adjustment problems, complex problems, psychiatric problems, and response to event[s]) were revealed on suicidal behaviors and 3 classes(residence- suicidal attempt- found by family, nonresidence- nonsuicidal attempt- found by acquaintances, residence- nonsuicidal attempt- found by family) were presented on suicidal risk factors. External variables such as gender, marital status, cohabitation, changes in relationships significantly differentiated among the 3 classes. Especially, class 3(residence- nonsuicidal attempt- found by family) tended to cohabit with others, were married, and had a significantly high level of interpersonal conflicts. When comparing the 5 classes of suicidal risk factors, auxiliary variables such as economic changes, cohabitation, stress, relationship changes, and family-related problems, and school/work satisfaction significantly differentiated the 5 classes. Especially class 3 (complex problems) experienced comparatively less family-related problems, but showed an aggravating level of personal stress. Suicial prevention strategies should be provided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lass and the influential factors.
본 연구의 목적은 일의 심리학 이론(PWT)에서 제시한 괜찮은 일 획득 경로에 남녀 차이가 존재하는 지 확인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335명의 국내 청년 직장인들에게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고 311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참여자들의 평균 연령은 25.96세였으며, 그 중 남자는 94명, 여자는 217명이었다.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해 전체 집단의자료를 분석한 결과, 경제적 제약은 일 자유의지와 진로적응성을 부적으로 예측하였으며, 일 자유의지와 진로적응성은괜찮은 일을 정적으로 예측하여, 모형의 가정을 지지하였다. 경제적 제약과 괜찮은 일 사이에서 일 자유의지와 진로적응성의 전체 간접효과는 유의하였으나, 일 자유의지와 진로적응성 각각의 세부 간접효과 또는 일 자유의지와 진로적응성의 이중매개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다집단 분석 결과, 경로계수 차이가 유의하였는데, 여성의 경우 경제적 제약이 일 자유의지를 부적으로 예측하였으며, 일 자유의지는 괜찮은 일과 정적인 관련성을 나타냈으나 남성에게는 두경로 모두 유의하지 않았다. 반대로 남성 집단에서는 경제적 제약이 진로적응성을 부적으로 예측하였고, 진로적응성은괜찮은 일과 정적인 관련성을 보였으나 여성에게는 두 경로 모두 유의하지 않았다. 또한 여성은 일 자유의지가 경제적 제약과 괜찮은 일 사이를 매개하였고, 남성은 진로 적응성이 경제적 제약과 괜찮은 일 사이를 매개하였다. 이는 괜찮은 일을 획득하는 데 우선적으로 필요한 진로 자원이 성별에 따라 다를 수 있음을 시사한다.
As an effort to further extend the existing understanding on the Psychology of Working Theory, this study examined gender differences in the paths to the attainment of decent work with Korean emerging adults. A total of 311 South Korean employees (mean age = 25.96, men = 94, women = 217) completed online questionnaires. We found that economic constraints inversely predicted work volition and career adaptability, which were positively relatedin turn, led to decent work. The overall indirect effect of work volition and career adaptability between economic constraints and decent work was significant., hHowever, the specific indirect effect of work volition and career adaptability was not significant. Further analyses showed a gender difference in the paths. Specifically, economic constraint was significantly negatively associated with work volition, and work volition predicted decent work only for women, but not for men. Moreover, economic constraint was significantly inversely associated with career adaptability, and career adaptability positively predicted decent work only for men, but not for women. Work volition mediated between economic constraints and decent work for women, while career adaptability had a mediating effect for men. It suggests that career resources for obtaining a decent work may be distinctive by genderdifferent groups.
본 연구의 목적은 직장 내 지지와 직장 내 상담접근성이 직장 내 괴롭힘 피해 근로자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수준 간 상호작용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분석을 위하여2017년 국가인권위원회에서 실시한 조사에서 직장 내 괴롭힘 피해 경험이 있는 642명의 응답 자료를 사용하여 다층분석을 적용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피해자가 인식한 직장에 대한 안전감에 따라 집단을 분류한 결과, 직장에 대한 안전감을 낮게 인식할수록피해자의 우울이 높았다. 둘째, 피해자가 직장 내 지지를 높게 인식할수록 피해자의 우울이낮게 나타났다. 셋째, 직장 내 상담접근성이 높을수록 피해자의 우울이 낮게 나타났다. 넷째, 직장 내 지지와 우울의 관계에서 직장 내 상담접근성의 정적인 상호작용효과가 확인되었다. 즉 직장 내 상담접근성이 높을 때 직장 내 지지가 피해 근로자의 우울을 낮추는 영향이 크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직장 내 괴롭힘에 대한 직장동료나 상급자의 지지 및 회사의대응에 관하여 안전하고 신뢰로운 조직문화를 형성하고, 근로자의 고충 처리를 담당하는 상담 및 도움창구의 운영이 직장 내 괴롭힘 피해 근로자의 대응을 돕고 우울을 완화하는 보호자원으로 기능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The aims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workplace support and access to workplace counseling on the depression level of employees who are workplace bullying victims and then find cross-level interaction effects between individual and group factors. A multi-leve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data from 642 individuals who reported experiencing workplace bullying in the 2017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survey. The findings indicate that a worker’s perceived safety of their workplace is negatively associated with depression levels. Additionally, higher perceived workplace support and access to workplace counseling were associated with lower depression levels. Lastly, a positive interaction effect was observed between access to workplace counseling and perceived workplace support in relation to depression levels. That is, higher access to workplace counseling increases the negative effect of workplace support on depression levels of employees. These result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creating protective factors such as a safe and supportive organizational culture to combat workplace bullying of coworkers or supervisors, and implementation of counseling and support services to assist victims in coping with workplace bullying and reducing depression symptoms.
본 연구는 트위터에서 나타나는 ‘자해’ 및 ‘자살’ 관련 게시물의 주요 등장 단어와 핵심 토픽을 탐색하여 그 의미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2019년 10월 29일부터 2020년 11 월 30일까지 관련 해시태그를 포함한 ‘자해’ 및 ‘자살’ 관련 해시태그를 포함한 트위터 게시물이었다. 수집된 게시물을 바탕으로 텍스트 마이닝을 실시한 결과, ‘자해’ 관련 6개, 자살관련 5개로, 총 11개의 핵심토픽이 도출되었다. 토픽에 담긴 주요 메시지를 살펴보면 온라인상에서는 오프라인에서 표현하기 어려운 자해와 자살 경험을 솔직하게 표현하고 있으며, 도움요청의 경로로 SNS를 활용하고 있었다. 또한 ‘자해’ 및 ‘자살’ 관련 게시물에서 공통 특징과 차별적 특징이 있었다. ‘자해’ 관련 토픽에는 자해의 정서조절 및 대인관계적 기능이 주로 드러난 반면, ‘자살’ 관련 메시지에는 자살 예방 및 사회문제 등에 대한 메시지가 보다분명하게 드러났다. 이러한 결과는 자해 및 자살사고를 경험한 사람들과 국민들의 자해 및자살 관련 이슈에 대한 의견을 이해할 수 있고, 효과적인 자해 및 자살예방 및 개입 방안을모색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겠다
This study explored keywords and key topics by collecting posts related to ‘self-Iinjury’ and ‘suicide’ through Twitter. The study subjects were selected as posts containing related hashtags related to self-injury and suicide from October 29, 2019 to November 30, 2020. Text mining based on collected posts resulted in a total of 11 key topics: -6 related to ‘self-Iinjury’ and 5 related to ‘suicide’. The main message in the topic is as follows. First, looking at the main messages contained in the topic, they honestly expressed self-harm and suicide experiences that are difficult to express offline online, and used SNS as a channelpath for requesting help requests. Second, there were common and discriminatory characteristics in posts related to ‘self-Iinjury’ and ‘suicide’. Although topics related to ‘self-Iinjury’ mainly revealed emotional control and interpersonal functions of self-harm, messages related to ‘suicide’ showed more clearly messages about suicide prevention addressing and social problems. These results are meaningful in that they can understand the opinions of people who have experienced self-harm and suicide accidents and the public voice on self-harm and suicide-related issues could be better understood, and that this study seeks for effective self-harm and suicide prevention and intervention measures for self-harm and suicide issu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