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9-0661
  • E-ISSN1229-0661
  • KCI
손영미(고려대학교) ; 박정열(서울과학종합대학원대학교) ; 양은주(고려대학교) pp.333-359 https://doi.org/10.20406/kjcs.2017.08.23.3.33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일과 삶의 균형이 우울, 불안, 신체화증상 등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정서표현에 대한 부정적 신념과 정서명료성이 이들 관계를 조절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성별에 따라 조절효과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30대~50대의 기혼직장인 869명(남: 424명, 여: 44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일과 삶의 균형이 높을수록, 부정적 정서신념이 낮을수록, 정서명료성이 높을수록 우울, 불안, 신체화증상이 유의하게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일과 삶의 균형과 우울 및 불안 간의 관계에서 부정적 정서신념의 조절효과는 유의한 반면 정서명료성은 유의한 조절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부정적 정서신념과 정서명료성의 조절효과에 있어 성차가 있는지 확인한 결과, 일과 삶의 균형과 우울, 불안, 신체화증상 간 관계에서 부정적 정서신념의 조절효과는 여성의 경우에만 유의하게 나타났다. 반면 일과 삶의 균형과 우울 및 불안과의 관계에서 정서명료성의 조절효과는 남성의 경우에만 유의하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상의 결과가 갖는 함의를 논의하였다.

Abstract

We examined the moderator roles of negative belief in emotional expression and emotional clarity between work-life balance and psychological symptoms (depression, anxiety and somatization). Also we identified gender differences in their moderating effects. This study was based on a sample of 869 married working employees (man: 424, women: 445). Hierarchical moderated regression analyses showed that work-life balance, negative belief in emotional expression and emotional clarity were strongly associated with depression, anxiety and somatization. While negative belief in emotional expression significantl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life balance and depression and anxiety, emotional clarity showed no significance. We found gender differences in moderating effects of two moderators. In specific, the only women who had more negative belief in emotional expression were more psychological symptoms in a low work-life balance situation. On the other hand, the only men who had higher emotional clarity were less depressive and anxious under the conditions of high work-life balance. We discussed about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손강숙(중앙승가대학교) ; 정소미(부산외국어대학교) pp.361-380 https://doi.org/10.20406/kjcs.2017.08.23.3.36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이혼 은퇴남성의 심리적 위기와 사회참여 간의 관계에 대한 복지기관 전문가 지지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특별시와 경기도 소재의 직업관련 기관에서 최근 5년간 구직활동을 한 적이 있는 은퇴남성 중 이혼 경험이 있는 248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심리적 위기, 사회참여, 복지기관 전문가 지지를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측정 변인의 일반적 경향을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변인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단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조절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심리적 위기는 사회참여, 복지기관 전문가의 지지와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심리적 위기와 사회참여의 관계에서 복지기관 전문가의 지지는 유의미한 조절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이혼 은퇴남성을 대상으로 하는 사회참여 교육과 심리적 지원 프로그램에서 사회적 지지를 제공하는 개입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 moderating effect of social work practitioners’ support between psychological crisis and social participation of divorced retired men. For this, psychological crisis, social participation, and social work practitioners’ support were completed by 248 divorced retired men registered during the last five years in Hope Job Center for the middle aged group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general trend of the measured variables based on the collected data, sim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sychological crisis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correlation with social participation and social work practitioners’ support. Second, social worker practitioners’ support between psychological crisis and social participation showed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erms of providing needs for interventions of social support through methods such as programs for psychological support and education about social participation for divorced retired men.

허연주(경상대학교) ; 이민규(경상대학교) pp.381-407 https://doi.org/10.20406/kjcs.2017.08.23.3.38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재난으로 인한 간접외상 척도(ITSSD: Indirect Trauma Scale of Social Disaster)를 개발하고 그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ITSSD의 문항구성을 위해 경험적 기술문을 수집하였고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21개 문항으로 최종 선정하였다. 연구 결과, 사회적 재난으로 인한 간접외상 척도의 문항 내적 일치도가 높았으며(Cronbach's α=.95)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개인의 대응 반응, 가해자에 대한 반응, 세상에 대한 불신 반응, 증상 반응 4요인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외상 후 위기 체크리스트, 상태-특성 불안검사, 한국판 수용-행동 척도, 용서 특질 척도, 삶의 만족도 척도와의 상관을 살펴보면 결과, 준거 타당도가 검증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척도가 사회적 재난으로 인한 간접외상에 취약한 집단과 취약하지 않은 집단을 변별하는 기능을 잘 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 확인하기 위해 성차를 살펴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적으로 본 연구의 함의, 한계 및 추후연구에 관한 제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scale for the measurement of indirect traumatization occurred by social disaster and test their validity.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conduct a research through the following procedure. First, to develop the inventory, various responses of indirect traumatization occurred by social disaster were gathered from Korean adults participated in open questionnaire. 41 items were made. Seco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ere performed and 21 items were selected in this step. The Indirect Trauma Scale of Social Disaster(ITSSD) consisted of 4 factors, each with 4-to-8 items, respectively. Four factors include ① private coping responses ② symptom responses ③ distrust responses of world ④ moral emotion cause of social perpetrators. Appropriate levels of reliability were established for the ITSSD. Third, Indirect Trauma Scale of Social Disaster was validated b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21 items were fixed. To 300 participants differed from development step,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4 factors structure derived from the exploratory analysis was appropriate. And 4 factors indicated reasonable fit index such as TLI(.913), CFI (.924) and RMSEA(.077). In addition, ITSSD identifi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Posttrauma Risk Checklist, Korean Depression Scale, State-Trait Anxiety Inventory-KYZ and negative with Acceptance-action Questionnaire-2. But that was unrelated to Forgiveness Trait Scale and Life Satisfaction Scale. Also the result showed that Women experienced high level of indirect trauma of social disaster than men.

박영신(인하대학교) ; 박영자(인하대학교) ; 남인순(인하대학교) pp.409-449 https://doi.org/10.20406/kjcs.2017.08.23.3.409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의 주된 목적은 청소년과 부모 세대의 노부모 부양인식을 탐구하는데 있다. 더불어 세대 집단별 노부모부양효능감과 노부모 부양태도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또한 부모가 청소년 자녀의 노부모부양효능감과 노부모 부양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최종 분석대상은 총 2,460명(청소년 820, 부 820, 모 820)이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부모 부양할 때 어려움에 대해 청소년은 경제적 문제를, 부모는 의견 차이를 가장 대표적으로 제시하였다. 노부모를 부양할 때 좋은 점으로 청소년은 가정화목을, 부모는 자녀교육에 도움 됨을 가장 많이 응답하였다. 노부모 부양의 대표적 행동으로 청소년은 모시고 사는 것, 부모는 보살펴드림의 반응률이 가장 높았다. 노부모 부양의 좋은 방법으로 청소년과 부모 모두 마음 편하게 해 드림을 가장 많이 응답하였으나, 그 다음으로 청소년은 모시고 사는 것을, 부모는 대화함을 많이 응답하였다. 노부모를 부양하지 않았을 때 드는 마음으로는 청소년과 부모 모두 죄송함이 가장 대표적이었다. 둘째, 청소년과 부모 세대의 노부모 부양 관련 변인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부모 집단이 청소년 집단보다 노부모부양효능감이 낮고, 노부모 부양에 대한 태도가 부정적이었다. 셋째, 청소년의 노부모부양효능감과 노부모 부양태도는 어머니의 노부모부양효능감의 영향을 받았다.

Abstract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qualitative nature of Korean adolescents and their parent's perception of elderly parents care. In addition, this research exams the quantitativ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enerations in term of their elderly parents care self-efficacy and attitude towards caring for their elderly parents. Further, an examination of the parental influence upon their children's elderly parents care self-efficacy and attitude towards caring for their elderly parents. There were 2,460 participants in this study, with 820 adolescents, and 820 fathers and 820 mother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 terms the participants perceptions of “the most difficult aspect of caring for elderly parents”, the most representative response for adolescents was financial difficulties, while for parents differences in opinions. When it came to “the best aspect of caring for elderly parents” the most representative response for adolescents was harmonious family, while for parents good for children's upbringing. When it came to “actual acts (behavior) of elderly parents care” the most representative response for adolescents was living together with their elderly parents, while for parents looking after their elderly parents. When it came to “the best method of caring for their elderly parents” the most representative response for both adolescents and parents was providing a peace-of-mind for their elderly parents, followed by the second most frequent response of adolescents living together with their elderly parents, and for parents talking with their elderly parents. When it came to “how one feels when not caring for their elderly parents” the most representative response for both groups was a feeling of indebtedness. Second, for the quantitative analyses of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enerations, the parents showed a lower level of elderly parents care self-efficacy and a higher level of negative attitude towards caring for their elderly parents, when compared to the adolescents. Third, for the parental influence upon the adolescents' elderly parents care self-efficacy and attitude towards caring for their elderly parents, the only significant influence found was the mothers' elderly parents care self-efficacy.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