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10권 특집호

이순철(충북대학교) pp.1-10
초록보기
초록

청소년의 문제행동 연구는 청소년이 미숙하고 의존적이기 때문이 아니라, 주위의 부정적 영향으로 그들이 누릴 수 있는 권리의 훼손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가정, 학교와 사회 등 환경이 청소년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고, 인터넷게임, 채팅, 운전과 같은 활동영역에서 접근한 청소년 행동연구를 살펴보며, 그리고 자살, 일탈행동과 같은 청소년의 위험행동 원인분석을 통하여 청소년 행동을 이해해 보려고 했다. 청소년 행동의 이해를 위해서는 다양한 접근방법과 학제간 연구가 필요하다는 사실을 고찰하였다

Abstract

This paper reviewed the researches of adolescent's behavior as following three main viewpoint in order to defend the impairment of adolescent's rights to their own life style: (1) the influences of environmental factors(family, school and society) to adolescent's behavior, (2) the influences of adolescent's activity areas or activities to their behavior and (3) the understanding of adolescent's behavior by the analysis of their delinquent activities. For further understandings of adolescent's behavior, the dynamic research approaches and the interdisciplinary studies are necessary.

최상진(중앙대학교) ; 김양하(중앙대학교) ; 황인숙(중앙대학교) pp.11-28
초록보기
초록

본 고에서는 청소년이나 청소년기를 어떻게 규정할 것인가의 문제에서 출발하여 기성세대의 청소년관에 대한 부정적 청소년관과 발달심리학의 심리주의적 신화와 부정적 청소년관을 개관하였다. 더불어 활동-환경중심적 입장에서 청소년을 이해해야함을 제안하고, 현대 한국사회에 있어서의 청소년의 가치를 논하였으며, 오늘의 청소년을 어떻게 조망해야 할 것인가에 대한 문제를 논하였다.

Abstract

The present paper tried to review psychological perspectives on adolescent in Korean culture. We suggested the starting point for study of adolescent should be on the definition of adolescent, i.e., what is adolescent. In oder to do it, we reviewed the perspective of the old generation, especially negative one, and myth and psychologism of developmental psychology on adolescent. Accordingly, we'd like to suggest an alternative approach on adolescent in psychology. That is called activity-environmental focused approach for studying adolescent. We also argued the value of adolescent in modern society and suggested how to view and approach the adolescent in psychology.

정현숙(상명대학교) pp.29-45
초록보기
초록

청소년의 문제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위해 청소년의 중요 발달환경인 가족의 변화를 살펴보고, 다양한 가족구조에서의 경험이 청소년 발달과 문제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부모 및 가족환경에 대한 연구를 중심으로 개관하였다. 또한 개인, 가족 및 사회환경의 특성이 아동과 청소년의 제 발달영역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연구들을 토대로 앞으로 청소년 발달 연구에 대한 방향을 제안하였다.

Abstract

To understand changing adolescent developmental environment, this paper critically reviewed a) social factors influencing family structure and function and b) outcomes of these changes. Also based on recent research findings of diverse families, this paper presented how individual, familial, and social characteristics are related each other to adolescent development. Based on literature review, new research directions and research issues are discussed.

이훈구(연세대학교) pp.47-53
초록보기
초록

이혼이 자녀에게 미치는 효과에 대한 국내외의 연구를 조감하였다. 이 연구 중 비교집단이 있고 심리학적 요인의 양적 측정이 있는 연구만을 선정했다. 그 결과 한국에는 두 개의 논문만이 발견되었다. 이 선정기준에 부합하는 외국논문은 92개가 있었는바 이를 메타 분석한 결과를 정리했다. 한국연구의 결과는 모두 이혼이 자녀의 자존심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반면 사회성은 초등학교집단에서는 영향을 준 반면 중등학생에게는 영향을 끼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연구의 경우는 이혼이 자녀의 일곱 가지 안녕감 모두에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그 효과는 그리 크지 않았다. 국내 연구와 미국의 연구를 서로 비교했고 이외에 앞으로 국내학자들이 어떤 문제를 추가적으로 다루어야 하는가를 토의했다.

Abstract

The present study reviewed the study on the impact of divorce upon children's well-being presented in both abroad and Korea. The criteria for the selection of the study for review are as follow; The study must have a comparative child group of non-divorced family and include at least one psychological variable that are measured quantitatively. Two studies are found in Korea and 92 in abroad. Both the domestic studies and foreign studies indicate the lower self-esteems of children of divorced families than those of children of non divorced families. In domestic study, the sociable was found as the variable that give a negative impact to the children of divorced families among elementary population but not to the children of middle school. In contrast, the studies of foreign showed the negative impact of the seven psychological variables included in the studies upon children of divorced families. The study suggests that the impacts of divorce on the children will be more pronounced in Korea than in abroad and the necessities of the studies in the future in Korea.

김교헌(충남대학교) pp.55-68
초록보기
초록

산업화된 나라들에서 청소년기에 우울과 자살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여성이 남성에 비해 우울증 발병률이 높아진다는 일관된 결과가 나타난다. 청소년기 우울은 불안과 섭식장애 및 주의력 결핍과 파괴성 행동장애와 함께 나타나는 경향이 높고 자살과 밀접하게 관련된다. 청소년의 우울과 자살에 관한 기초자료를 개관하고 제어이론의 입장에서 우울에 대한 기존의 심리학적 설명이론들을 통합해서 조망해 보려 하였다. 최근 수정된 제어이론의 입장에서 ‘우울과 불안과의 관계’ ‘우울과 자살과의 관계’ ‘청소년기에 우울이 급증하는 이유’ ‘청소년기부터 여성이 남성에 비해 우울을 많이 경험하는 이유’ 및 ‘한국 청소년의 우울 및 자살과 관련되는 문화적 요인’ 등에 대해 논의했다.

Abstract

Recently, rates of depression and suicide of adolescents in industrialized countries, including Korea, were rapidly increasing. Adolescent depression was often associated with anxiety disorder, eating disorder, attention deficits hyperactivity/disruptive behavior disorder. and suicidal attempts. Epidemiological data about depression and suicide of adolescents are reviewed. Psychological theories of depression and suicide are integrated in terms of a control theory interpretation. Issues about 'relationships between depression and anxiety' 'relationships between depression and suicide' 'the reason why rates of depression and suicide are rapidly increasing at adolescence' 'the reason why the different prevalence of depression between female and male is conspicuous at adolescence' and 'Korean culture associated with depression and suicide of adolescents' are discussed in terms of the revised control theory interpretation.

박광배(충북대학교) ; 지형기(대검찰청 과학수사과) pp.69-86
초록보기
초록

가정폭력은 아동기 경험에 의하여 폭력이 행동 레파토리로 학습된 남성이 사회적 존재로서의 자존감을 손상하는 경험을 반복적으로 하게 되는 경우에 나타나는 스트레스 반응이고, 결혼생활의 조화와 사회적 지지는 이 스트레스를 증폭하거나 완화시키는 완충역할을 한다는 견해가 설득력을 가진다. 가정폭력 사범의 교정을 위한 한국의 현행 제도는 교정과 치료가 교도행정기관에 의해 주도되므로 환자의 입장에서는 치료라기보다 대체형벌로 받아들일 가능성이 높아서 그 효과를 낙관하기 어렵고, 지역사회에서 낙인효과를 유발하여 재적응을 어렵게 만들며, 결과적으로 재범의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한국사회에서 가정폭력을 최소화하기 위한 법적 대처는 치료적 사법이념의 패러다임을 제도적 대처방안으로 섬세하게 고려할 필요가 있다. 치료적 사법이념의 핵심은 법원이 지역사회 및 다른 행정기관과 협력하여 범죄자의 치료와, 교정, 그리고 갱생을 위한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Abstract

A review of literature revealed that damaged self-confidence of men as social agents may be the primary, if not proximal, cause of domestic violence. Accumulated damages in social confidence and self-assurance may be moderated by action repertoire acquired during childhood, and mediated by adulthood circumstances such as marital discords and the lack of social support to result in the typical cycle of violence and subsequent feeling of remorse. The present treatments for the domestically violent men in Korea seem to be ineffective to reduce the number of incidents in the society because the treatments are viewed as punishments by the men, damage their social confidence further by stigmatizing them in the community, and destroy their social resources and support systems. It was suggested in this paper to reduce the role of law enforcement and correctional administration to rehabilitate the currently violent men. At the same time, it was also suggested for the Korean court to implement the paradigm of Therapeutic Jurisprudence in handling domestic violence cases. It was argued that the court should take active roles as a healing and rehabilitating agent by cooperating with non-government community establishments such as hospitals, universities and self-help organizations. The reasons and implications of those suggestions were discussed in detail.

박영신(인하대학교) ; 김의철(중앙대학교) pp.87-115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일탈행동에 대한 이해를 위해, 청소년에게 의미있는 인간관계를 중심으로 그 영향을 살펴보는데 초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최근에 이루어진 부모자녀관계, 친구관계 및, 교사학생관계와 청소년의 일탈행동에 관련된 선행 연구의 결과들을 개관하였다. 이러한 경험과학적 연구 결과들에 대한 종합을 토대로, 부모자녀관계와 일탈행동에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세 측면에서 논의가 시도되었다: 1) 부모의 적대적이고 거부적인 양육태도의 영향, 2) 부모의 자녀 성취에 대한 낮은 기대와 압력, 3) 가장 믿고 의지하고 싶은 존재인 부모로부터 버려진 경험. 친구관계와 일탈행동에 대해서도 세 가지 면에서 논의하였다: 1) 친구 사회적 지원의 증가와 부모나 교사 사회적 지원의 감소, 2) 일탈행동 촉진자로서 친구와 관련된 생활 환경의 개선, 3) 일탈 청소년 하위집단별 다양한 친구관계 유형. 한편 교사학생관계와 일탈행동에 관련하여서는 다음과 같이 논의점이 정리되었다: 1) 교사와 적대적인 관계를 형성하고 있는 일탈 청소년, 2) 교사와 부정적인 관계의 회복, 3) 처벌의 효과에 대한 숙고.

Abstract

This paper examines the influence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on delinquent behavior among adolescents. The role that parent-child relationship, teacher-student relationship, and relationship with friends play on delinquent behavior is reviewed. Review of empirical studies reveal the following results. First, adolescents who perceive their parents as being hostile and rejecting are more likely to engage in delinquent behavior. Second, those adolescents with parents, who have low expectations and who are less likely pressure them to succeed academically, are more likely to engage in delinquent behavior. Third, adolescents who feel that they have been abandoned by their parents are more likely to engage in delinquent behavior. Fourth, those adolescents with low social support from parents and teachers and high social support from their friends are more likely to engage in delinquent behavior. Fifth, those students who feel hostility from their teachers, have negative relationship with teachers, and experience greater punishment are more likely to engage in delinquent behavior. The results indicate that punishment can have adverse effect on some adolescents, further damaging the teacher-student relationship. Punishment can further reinforce the existing negative cycle that can increase the likelihood of adolescents engaging in delinquent behavior. The results indicate that a lack of support from parents and teacher leads to low academic and self-regulatory efficacy, which leads to low academic performance, which can results in punishments that could further damage their relationship with their parents and teachers and bring them closer to their friends. Adolescents caught up in this negative cycle are more likely to engage in delinquent behavior. These results indicate the need to reform the relational, social, and cultural environment of adolescents who are engaged in delinquent behavior.

고선영(경기대학교) ; 이수정(경기대학교) ; 양종희(경기대학교) pp.117-146
초록보기
초록

이 논문은 국내에서도 성폭력 범죄에 대한 경험적 연구가 필요함을 인식시키기 위한 사전적인 의미의 논문으로서, 성범죄의 정의․원인 및 유형을 살펴보고, 성범죄자의 특성을 설명하는 이론들을 정리하였다. 서구에서 수행되었던 경험적인 연구들에서 알아낸 성범죄와 관련된 구체적인 사실들을 소개함으로써 국내의 경우에 있어서도 적용이 가능한 지를 탐색하였다. 나아가 성범죄의 재범연구들을 통하여 잠재적 위험요인들은 무엇이 있는지, 이런 위험요인들의 개선을 위한 치료개입 대안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조사하였다. 마지막으로 성범죄에 대한 이 같은 학문적 발견들이 국내 형사정책 현장에도 어느 정도까지 활용가능한지를 탐색하였다.

Abstract

This paper is a preliminary literature review to give lights on the importance of academic research on sex offences. First, definition and etiological factors of sex offences were introduced and then it was attempted to classify offensive behaviors. Furthermore, it was explored on which aspects of our criminal justice system the research results in the Western societies could be applied. Related to recidivism research, risk factors were explored again and intervention strategies were investigated to reduce the future risk of sex offenders. Finally, these findings were evaluated for the applicability to Korean criminal justice system.

곽금주(서울대학교 심리학과) pp.147-17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전자오락으로 불리던 오락실 게임에서 인터넷으로 인해 멀티 플레이가 가능한 온라인 게임까지 포함한, 컴퓨터 게임이 아동과 청소년의 발달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를 개관하였다. 구체적으로 손동작과 같은 운동능력, 시각-운동 측면에서의 영향, 그리고 주의, 공간지각력, 수리적 능력, 문제해결력을 포함한 지각, 인지적 측면에서의 영향을 알아보았다. 그리고 정서와 성격 측면, 그리고 사회성 발달과의 관련성을 살펴보았고, 가장 많이 연구가 이루어진 공격성발달과의 관련성, 특히 일반공격모델(GAM)을 집중적으로 개관하였다. 마지막으로 중독과 관련한 연구들을 소개하면서 컴퓨터 게임 중독 진단 도구의 개발에 관한 언급과 함께, 앞으로의 연구방향에 관해 논의 하였다.

Abstract

In recent years, electronic games, home computers, and the internet have assumed an important place in our lives. This paper presents a review of the researches on the relation of computer game and children's and adolescent's development. Researches on the impact of computer game on perceptual and cognitive development including attention, spatial perception, numerical ability, problem solving are reviewed. The relation of computer game use and emotional, social and personality development and aggressive development, especially General Aggressive Model(GAM) are also explained. On the basis of this reviews, the future directions of research are discussed.

김의철(중앙대학교) ; 박영신(인하대학교) ; 구재선(중앙대학교) pp.177-209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에서는 한국의 청소년 문화와 교육적 성취를 이해하기 위한 이론적이고 개념적인 틀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의 개관을 통해, 다음과 같은 여섯 가지 측면에서의 논의를 시도하였다. 첫째, 문화심리학과 청소년 문화를 접근하기 위한 연구의 모형을 제시하였다. 둘째, 전통적 가족 구조와 부모의 역할에 대해 살펴보고, 이것이 한국 사회의 현대화 과정에서 어떻게 변화하였는가를 검토하였다. 셋째, 한국에서의 사회화 과정과 부모자녀 관계를 살펴보았다. 넷째, 교육적인 성취와 한계를 설명하기 위해 발전되어 온 서양의 이론들을 검토하였다. 다섯째, 한국 학생들의 교육적 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청소년들에게 부과된 중앙집권적이고 표준화된 엄격한 교육 제도의 영향을 논의하였다. 매우 통제된 중앙집권적 관료주의는 청소년의 교육적 기회와 직업에서의 기회를 제한하고 있으며, 한국 청소년의 증가하는 폭력, 비행, 및 집단 따돌림 현상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건전한 청소년 문화의 육성과 미래 한국 사회의 발전을 위해, 다양한 생각과 태도 및 행동을 수용하는 시민 사회를 고무하고, 동시에 인간관계에서 건강하고 강한 유대를 형성하며 유지해야 할 필요가 있음이 시사되었다.

Abstract

This paper provides a theoretical and conceptual framework for understanding adolescent culture and educational achievement in Korea. In the first part of the paper, the authors outline a research paradigm in cultural psychology and adolescent culture. In the second section, the traditional family structure, the role of parents, and how they have been changed by modernization are outlined. In the third section, socialization practices and parent-child relationship are reviewed. In the fourth section, Western theories that have been developed to explain educational achievement and their limitations are examined. In the fifth section, factors that contribute to educational success of Korean students are presented. In the final section, the impact of centralized, standardized and rigid educational system that is imposed on adolescents is discussed. The highly regulated and centralized bureaucracy restricts educational and career opportunities for adolescents and it is responsible for the high rate of violence, delinquency, and bullying in Korea. The need for encouraging civil society that allows for diversity of ideas and skills and at the same time maintaining strong relational bonds are discussed.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