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9-0661
  • E-ISSN1229-0661
  • KCI
이은진(연세대학교 심리학과) ; 이수정(경기대학교 교양학부) pp.3-14
초록보기
초록

범죄사건에서 목격자나 증인의 진술이 용의자의 유죄를 입증하는데, 결정적일 수 있다. 물론 이는 목격자의 진술이 신뢰할 만하다는 가설에 근거한 것이다. 하지만 많은 심리학적 증거들은 인간의 지각 및 기억이 사진기처럼 명확하지 않음을 보여준다. 많은 경우, 사건에 대한 기억은 사건 그 자체와 거리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건에 대한 기억이 전제되는 질문과 사후에 제시되는 단서에 의해 어떻게 왜곡되어 지는지를 살펴보았다. 사건에 대한 기억이 이후에 제시되는 단서들에 의해 상당한 영향을 받을 수는 있지만, 그 오염적인 단서의 제시 사실에 대한 통찰을 준 경우에는 사건 내용의 기억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In many criminal cases, eyewitnesses provide critical statements to convict the suspects. The most important hypothesis based on this phenomenon is that the statements of a conscientious eyewitness are reliable. However, lots of psychological evidences show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mory and the event is not direct. Without any intention of a perceiver, his or her memory structure is vulnerable to change by a bit of related cues. Therefore, in many cases, the memory of an event would be far different from the event itself. In this paper, empirical evidences are presented to show how event memory is distorted by the presuppositional questions and post-event priming cu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e memory, the perception, and furthermore the judgement of punishment of crime are affected by the presence of post-event distorting information. However, when informing subjects the presence of a potential distracter, the probable retroactive influence on memory cancelled out.

김성범(노둥부 중앙고용정보관리소) ; 오세진(중앙대학교 심리학과) ; 임영식(중앙대학교 청소년학과) pp.15-3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게시형 피드백이 쓰레기 재활용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피드백의 제시형태에 따른 상대적인 효과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A-B-BC-A 집단내 비교설계를 적용하였으며, 첫 번째 처치 단계(B)에서는 서면 피드백이 제시되었고, 두 번째 처치 단계(BC)에서는 서면 피드백에 그래픽 피드백이 첨가되어 제시되었다. 본 연구는 대학 내에서 실시되었으며, 피험자는 실험장소를 오가는 모든 대학생, 교수, 교직원 등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종속변인은 올바른 분리수거율과 재활용 종이의 무게였다. 분리수거용 쓰레기통으로는 종이컵, 깡통류, 종이류, 기타쓰레기 등 4개의 용기가 사용되었다. 연구 결과, 피드백은 깡통류와 종이컵에 관한 올바른 분리수거율과 재활용 종이의 무게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서면 피드백만 제시한 처치 조건과 서면 피드백과 더불어 그래픽 피드백을 동시에 제시한 처치 조건과의 상대적인 효과의 차이는 깡통류와 종이컵의 분리수거율에 있어서는 차이가 미미하였으나, 재활용 종이의 무게에서는 서면 피드백만 제시되었을 때에 비해 그래픽 피드백이 첨가되었을 때 더 크게 증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대한 시사점과 제한점, 아울러 후속 연구에 대한 방향이 토의되었다.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iveness of posted feedback on recycling behavior and the relative effectiveness of two different types of feedback. An A-B-BC-A within subject design was employed. Subjects in this study were college students, professors, and employees at a university. After a baseline phase, written feedback was delivered and both written feedback and graphic feedback were delivered in the next phase. Then, all the treatments were withdrawn in the final phase. The dependent variables in this study were the rate of correct separation and the weight of recycling paper. Four separation containers were used for four different materials; paper cups, aluminum cans, recycling paper, and miscellaneousness. The rates of correct separation were obtained by calculating the percentage of the number of correct items in each container. The results indicated that posted written feedback was effective in increasing both the rate of correct separation and the weight of recycling paper. When the graphic feedback was added to the written feedback, however, the incremental effect of the graphic feedback on the rate of correct separation was not clear. On the other hand, the weight of the recycling paper was increased when the graphic feedback was added.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se findings were discussed and the direction of future studies was also proposed.

오세진(중앙대학교 심리학과) pp.35-56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쓰레기 재활용 행동의 증가를 위해 수행된 행동적 연구에 대해 개관하여 이를 유형별로 분석해보고 이론적, 현실적 특성 및 제한점, 그리고 앞으로의 연구 방향 등에 대한 제언을 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기존 연구에 포함된 피험자 및 실험상황, 그리고 독립변인에 따른 연구의 분석 후, 종속변인, 실험설계, 연구기간 및 후속검증에 관한 분석이 이루어졌다. 분석결과, 재활용 행동의 증가를 위한 행동적 연구는 효과면에서 매우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왔으며, 앞으로도 많은 잠재력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러한 성공적 연구결과에도 불구하고, 앞으로 해결해야할 여러 가지 이론적, 현실적 제한점을 가지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이론적, 실질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Abstract

This paper reviewed behavioral studies that have been designed to increase recycling behavior. The essential features of the studies were analyzed in terms of subjects, experimental settings, independent and pendent variables, measurement, observational procedures, experimental designs, and follow-up and maintenance.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it was revealed that behavioral studies to increase recyling behavior have been very successful and have a great potentiality for the future. Despite of this success, however, behavioral studies do have some theoretical and practical limitations in the present. Therefore, more research is necessary to resolve these limitations in order to make safety management more effective.

박영신(인하대학교 교육학과) ; 김의철(중앙대학교 심리학과) ; 김영희(인하대학교 교육학과) ; 민병기(인하대학교 교육학과) pp.57-76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에서는 사회적 지원과 자기효능감 및 생활만족도의 인과관계와, 이 변인들간의 직접적이고 간접적인 효과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분석대상은 초등학교 6학년 1,474명이었으며, 도시 999명(4학교), 농촌 475명(8학교)이었다. 사회적 지원, 자기효능감과 생활만족도의 관계에 대한 인과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LISREL 8을 이용하여 공변량구조분석을 하였다. 사회적 지원은 생활만족도에 대해 높은 직접효과가 있었고, 자기효능감을 통한 간접효과도 있었다. 또한 사회적 지원은 자기효능감에 대한 직접효과가 높았으며, 자기효능감도 생활만족도에 대한 직접효과가 있었다. 즉 부모나 친구 및 교사로부터 사회적 지원을 많이 받을수록 생활만족도가 높았다. 또한 사회적 지원을 많이 받을수록 자기효능감이 높아지고,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생활만족도가 높았다. 그러므로 사회적 지원과 자기효능감은 생활만족도를 결정하는 중요한 변인이며, 자기효능감은 사회적 지원과 생활만족도를 매개하는 변인으로 작용하였다. 도시 초등학생이 농촌초등학생보다 사회적 지원을 많이 받고 자기효능감과 생활만족도가 높았으나, 생활만족도 형성에 대한 사회적 지원과 자기효능감의 인과관계는 지역간에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도시나 농촌지역에 관계없이, 사회적 지원과 자기효능감은 초등학생의 생활만족도 수준을 결정하는 중요한 변인으로 확인되었다.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among self-efficacy, social support, and life-satisfaction among 1,474 students(999 students living in a urban area and 475 students living in rural areas). Using the covariance structure modeling(LISREL 8), the relationship among three constructs were investigated. There was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f social support on life-satisfaction and indirect effect through self-efficacy. Also, social support had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self-efficacy and self-efficacy had a direct significant effect on life-satisfaction. In other words, those students who received more social support from parents, teachers, and friends were likely to score higher on self-efficacy, and those students who scored higher on self-efficacy were likely to score higher on life-satisfaction. Social support and self-efficacy are important predictors of life-satisfaction and self-efficacy was an important mediating factor of social support and life-satisfaction. Although students living in urban areas were likely to score higher on social support, self-efficacy and life-satisfaction, the overall covariance structure model was the same for students living in the urban area as well as students living in rural areas.

신행우(고려대학교 심리학과) ; 한성열(고려대학교 심리학과) pp.77-92
초록보기
초록

지금까지 우리 나라에서는 음주동기를 양적으로 평가하려는 시도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음주동기를 신뢰롭게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는 것은 임상적인 평가를 위해서 뿐만 아니라 앞으로의 연구를 위해서도 매우 유용할 것이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먼저 언어보고 자료 분석(verbal protocol analysis)을 통해 음주동기의 내용을 파악한 뒤, Cox와 Klinger(1988, 1990)의 분류에 따라 음주동기를 수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구성하고자 하였다. 25개의 음주동기 측정 문항들을 227명의 남녀 대학생들에게 실시하고, 이를 사각 회전의 방식으로 주축 요인 분석하여 고양, 대처, 동조, 사교 등 네 가지 음주동기 요인을 추출하였다. 그리고 구조 계수와 문항-총점 상관을 고려하여, 각 음주동기별로 4개씩의 문항으로 이루어진 전체 16문항의 음주동기 척도를 구성하였다. 그리고 음주동기 척도의 내적 합치도는 비교적 양호한 수준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음주동기 요인들간의 상관으로 인해 나타난 요인 복합성과 후속 연구의 필요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Abstract

There has been few research attempting to measure drinking motives quantitatively in Korea. Developing a reliable scale measuring drinking motives will be very useful for future research as well as clinical assessment. In the present study, after verbal protocol analysis, a questionnaire (25 items) for measuring drinking motives was developed based on Cox and Klinger's(1988, 1990) 4 categories of motives. Responses from 227 university students were factor-analyzed using principal-axis(PAF) extraction procedure, followed by oblique rotation. Four factors with eigenvalues of great than 1 were finally extracted. Analysis of the item content of the factors indicated dimensions tapping enhancement, coping, conformity, and social motives respectively. On the basis of factor loadings and item-total correlations, four items on each of the intended dimensions were retained (total 16 items). Cronbach alpha coefficients of each subscale ranged from .76 to .89, which showed satisfactory internal consistency. There were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s in subscales of drinking motives, but these effects were generally small in magnitude.

신행우(고려대학교 행동과학연구소) pp.93-10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일반 음주자들을 대상으로 음주동기가 음주 정도와 음주문제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4요인 음주동기 모형과 보다 간명한 대안 모형들의 측정 부합도를 비교ㆍ검증하기 위해 확증적 요인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4요인 음주동기 모형이 음주동기를 가장 잘 설명해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단계적 중다 회귀 분석을 통해 음주동기가 음주 정도와 음주문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음주동기가 음주 정도와 음주문제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대처 동기는 음주 정도를 통해서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음주 정도와 상관없이 직접적으로 음주문제를 잘 예언해 주었으며, 특히 행동상의 문제와 대인관계 문제에 대한 가장 강력한 예언 변인이었다. 한편 사교 동기는 음주문제에 대한 직접적인 영향력은 없으며, 다만 음주 정도를 통한 매개 효과만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일반 음주자들을 대상으로 음주동기가 음주 정도와 음주문제에 미치는 독특한 영향력을 확인함으로써 향후 연구의 기초를 마련하였다는 점이다.

Abstract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rinking motives on drinking problems in general population. In the first place, the present study tested a four-factor model of drinking motives recently proposed by Cox and Klinger(1988, 1990).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indicated that the correlated four-factor model fit the data significantly better than did any of several plausible alternative models. Through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the effects of drinking motives on drinking problems were examined. Results showed that drinking motives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 effects on alcohol use and drinking problems. Coping motives, for example, influenced upon drinking problems directly as well as indirectly through alcohol use, while social motives had only indirect(mediating) influence on drinking problems. It was particularly noted that coping motives were the strongest predictor in explaining the behavioral and interpersonal problems. The present study could work as a stepping stone for guiding the directions of further research.

곽금주(오산대학 유아교육과) ; 김의철(중앙대학교 심리학과) ; 박영신(인하대학교 교육학과) pp.111-12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한국 청소년문화 형성요인을 알아보고자 하는 일련의 연구중 하나로 청소년의 우울과 비행에 대한 자기효능감과 도덕적 이탈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탐색적 연구이다. 중학교, 고등학교 남녀 1146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자기효능감, 도덕적 이탈, 우울과 비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우울을 설명하는 요인은 '주위사람 기대일치 효능감', '도덕적 정당화', '주변사람의 지지에 대한 효능감', '자기규제 효능감' 영역이었다. '자기규제 효능감'이 비행을 가장 많이 설명하는 영역이었다. 우울과 비행의 2개 요인(가벼운 비행, 심한 비행)에 영향을 주는 자기효능감과 도덕적 이탈의 하위영역이 성별에 따라, 그리고 연령(중학생, 고등학생)에 따라 차이가 있음이 밝혀졌다.

Abstract

This study was examined to explore the factors in the subdomains of self-efficacy and moral disengagement explaining adolescents' depression and delinquency. A total of 1146 students were administered multifaceted questionnaires measuring self-efficacy, moral disengagement, depression and antisocial conduct. As results, 'self-efficacy to meet other's expectations' and 'moral justification' was the most important variables for explaining depression. 'self-regulatory efficacy' w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into antisocial behavior. The difference of age and gender were revealed in the variables of affecting the depression, trivial delinquency and severe delinquency. In compared with other research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detaily explained and discussed.

이훈구(연세대학교 심리학과) ; 전우영(연세대학교 인간행동연구소) ; 정태연(연세대학교 인간행동연구소) pp.123-13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노숙자 482명을 대상으로, 노숙자의 인구학적 변인 및 건강과 관련된 변인이 이들의 심리적 상태와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결과에 따르면, 조사 대상자 중 다수는 30-40대의 남성들이었고, 노숙 전에 일용직 노동자로 일했으며, 학력은 고졸 이하였고, 노숙기간은 7-12개월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중에는 30대의 노숙자들의 불안수준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교교육을 받지 못한 노숙자 및 노숙기간이 7개월에서 12개월 사이라고 응답한 노숙자들이 적대감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결혼한 경험이 있는 노숙자들이 그렇지 않은 노숙자들보다 더 우울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노숙자들 중에는 음주행동이나 기타 건강과 관련된 문제 행동을 많이 보였던 노숙자들이 그렇지 않은 노숙자들보다 다양한 차원에서 심리적 상태에 많은 문제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Using 482 homeless people at temporary shelters and on street, this study explored how both demographic and physical-health-related variables would correlate with mental health. According to the descriptive statistics, a large part of the homeless are male persons in the thirties and the forties and have had daily-based jobs before homelessness. Also, most homeless people are educated below formal high school and their homeless period is from 7 to 12 months. Results have also demonstrated that the homeless in the thirties have the highest level of anxiety, and that those who are uneducated and have been homeless for 7-12 months have the highest level of hostility. Further, homeless people who have had a history of marriage are more depressed than those who have not. Finally, it has been revealed that the homeless who have problematic behaviors concerning drinking and physical health manifest many problems on a variety of psychological dimensions.

최상진(중앙대학교 심리학과) ; 김기범(중앙대학교 심리학과) pp.137-150
초록보기
초록

본 논문은 사회적 구성주의 관점에서 재판에서 범죄의 유, 무죄 결정과 그 과정에 관한 것이다. 한국사회에서의 법 체계는 범죄의 현실성에 초점을 두고 있어 범죄의 구성과 규정에 관여되는 사회-문화적 과정을 간과하고 있다. 법정에서 재판관 및 변호사, 검사의 재판활동은 유, 무죄 추정과 판결에 있어서 사회-문화적 사고 방식과 판단 양식이 요구되는 활동이다. 판사제도를 채택하고 있는 한국의 법체계는 사법인들이 직무수행과정에서 자신들의 관심과 자각된 필요에 따라 심리학적 전문서적을 선택적으로 접하거나 자신의 재판사례 경험에 대한 반성적 사유를 통해 나름대로의 '자가류 심리학'을 터득하고 구성하여 활용하고 있다. 따라서 판사의 양형에 일관성이 없게 되고 생태적 타당성의 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 또한 재판관들은 사회적 관심을 일으키는 강력범죄나 성희롱과 같은 범죄에 대한 재판활동에서 언론 등의 대중매체와 여론의 영향을 받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는 우 조교 사건을 통해서도 알 수 있다. 언론은 흥미위주의 보도 성향으로 무죄추정의 원칙과 피의자의 인권을 무시한 채 재판이 있기도 전에 사전 재판하여 유죄로 몰아가는 경향이 짙고, 여론을 조성하기도 한다. 미국의 법제도는 이러한 언론의 영향을 방지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어 있으나 우리 나라 사법계에서는 아직 미비한 상태이고 그 필요성 조차 거론되고 있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Abstract

The present paper was to recast the legal processes and decisions of crime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cultural constructionism. The modus operandi of Korean juristic system has depended heavily on criminal realism, neglecting the social-cultural processes and dimensions involved in the definition and construal of criminality in the context of juristic verdict. Juristic activities of legal professionals working in court were conceived to be taken place in close knit with socio-cultural modes of thinking and judging. The 'working naive psychology', which is form of social-cultural psychology, of legal professionals were critically addressed in terms of its inter-reliability among professionals and ecological validity. Additionally, reports of mass media on crime cases socially issued, i.e., homicide, sexual harassment, kid-napping etc., were analysed to reveal that they are oriented toward consumerism instead of legal justice, that they tend to make a pre-decision before trial, and to induce public opinion to a particular direction before or in the middle of trial, ultimately exercising normative influence upon trial process and outcomes. Finally, an analysis of newspaper reports on the civil case of sexual harassment on Assistant Woo was made to support two major presumptions that; the newspaper reports are socio-culturally constructed and they are exerting significant influence upon trial.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