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9-0661
  • E-ISSN1229-0661
  • KCI
서경현(삼육대학교) ; 천경임(삼육대학교) pp.339-35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사회가 고령화되고 있는 시점에서 치매환자 가족부양자의 부양부담과 사회지원이 건강 및 삶의 질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탐색하고, 부양자의 건강 및 삶의 질에 대한 부양부담과 사회지원의 상호작용을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서울, 경기, 충청 지역에 거주하는 치매환자 가족부양자 207명(여: 106)이었으며, 그들의 평균 연령은 51.62(SD=9.25)세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심리검사는 다차원부양자부담설문지, 전겸구의 신체증상척도, 한덕웅과 장은영의 건강지각척도, 자기진술 부정정서질문지, Cambell의 주관안녕척도, MOS의 사회지원질문지, 권중돈의 치매노인 부적응문제척도이다. 분석 결과, 치매환자 가족부양자의 부양부담은 신체증상이나 우울과는 정적으로 건강지각이나 주관안녕과는 부적으로 관계하고 있었다. 사회지원은 치매환자 부양부담이 건강지각, 우울 및 주관안녕에 미치는 영향을 중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치매환자 부양에 따른 부정적 효과에 대해 완충작용을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부양부담이 가족부양자의 신체증상과 우울의 변량을 30~40% 가량이나 설명하고 있었기 때문에 결과를 부양자의 건강이나 삶의 질의 중재를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사회지원이 부양부담 수준에 따라 다르게 작용하는 것 외에도 치매증상이 더 심각할 경우 사회지원이 적은 것 등과 관련해서도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논의하였다.

Abstract

As quickly becoming an ageing society in Korea,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how family caregivers' burden with demented patients and social supports are related to their health and quality of life, and the interaction of caregiving burden and social supports on caregivers' health and quality of life. The participants were 207 family caregivers (106 females) of demented patients lived in Seoul, Kyunggi, and Chungcheong areas, whose average of age were 51.62 (SD=9.25). The psychological tests used in this research included the following: Multidimensional Caregiver Burden Inventory, Chon's Physical Symptom Questionnaire, Hahn & Jang's Perceived Health Inventory, Negative Affect Self-Statement Questionnaire, and the Korean Version of Cambell's Subjective Well-being Scale, Social Support Survey in Medical Outcomes Study, and Kwon's Questionnaire for Maladjusted Problems of Demented. Results indicated that caregivers' burden with demented patient related to physical symptoms and depression positively, and perceived health and subjective well-being negatively. Social supports showed moderate effects on influences of caregiving burden in perceived health, depression, and subjective well-being of family caregivers with demented patients. It was identified the possibility of their buffering effect on negative results of caregiving burden with demented patients. Since caregiving burden accounted for the 34% of the variances for family caregivers' physical symptoms and depression, researchers discussed the promotion and intervention of their health and quality of life. Beside of different effects of social supports with level of caregiving burden, with previous studies it was discussed some saliant findings such as family caregivers with patients who showed severe dementia symptoms were perceiving even less supports from others.

김수지(대구사이버대학교) ; 안상섭(고려대학교) pp.359-37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형 마음 챙김 명상에 기반한 스트레스 감소 프로그램이 근로자의 만성통증완화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 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만성통증을 가진 근로자 20명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사전 검사, 사후 검사, 추수 검사에서 측정한 평균점수로 혼합변량분석(Mixed ANOVA)을 실시하였다. 분석된 자료는 심리적, 신체적, 신경 생리적 반응이었다. 아울러 프로그램 후 각 효과가 지속적으로 유지될 것인가를 추가 검증하고자 3개월 후에 사후검증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 프로그램 참여집단의 신체적 증상과 신체화, 강박증, 대인예민성, 우울, 불안, 적대감, 공포불안, 정신증 등의 반응이 프로그램 참여 전에 비해 유의미하게 감소하였고, 또한 생리 및 신경생리지표 또한 프로그램 전에 비해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났으며, 3개월 후까지 이러한 변화의 효과가 유지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 보아 마음 챙김 명상에 기반한 스트레스 감소 프로그램은 통증환자의 심리적, 신체적, 신경생리적 통증완화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통해 만성통증환자의 임상적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Abstract

This study developed a program that integrated MBSR-K and progressive muscular relaxation for the health and well-being of patients with chronic pain, and proved its effectiveness by studying 40 chronic pain patients. This program used nature of mind, body scanning meditation, breath meditation, mindfulness meditation, Hatha yoga and progressive muscular relaxation to ease chronic pain. Whenever negative feelings and emotions such as fear, anxiety, and pain occurred, the program focused on those emotions and observed the outcome. This program, which wa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eceding studies, was composed of eight courses. Major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editation group that was composed of patients with chronic pain had significant decrease of physical symptom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Second, to confirm the outstanding features of the participating patients with chronic pain that brought change in the effect of the program, characteristics of clients were analysed. Third, the program factor that influenced the effectiveness of the treatment process was evident when the training was performed twice a week rather than having once a week of training and second week for homework.

이은진(경기대학교) pp.377-398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남성들의 성구매 경험에 따른 의식차이를 비교 조사하여, 성매매에 대한 의식전환을 위한 운동과 추후연구를 계획하기 위한 탐색적 조사연구로 실시되었다. 경기지역 19세 이상 남성 1328명을 대상으로 성매매에 대한 의식과 태도, 성행위에 대한 허용도, 성 역할 평등의식에 대해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성구매 경험에 따라 구분된 집단은 성구매 경험집단이 향후 성구매 의향이 더 많고 부부나 애인관계의 성적만족도가 낮으며, 성지식 습득경로가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집단별 비교 연구결과 성구매 경험자들이 성구매 무경험자들보다 성매매에 대해 남성중심의 왜곡된 고정관념을 가지고, 성행동에 대해 허용적 태도를 가지며, 성역할에 대한 전통적 사고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구매경험과 성매매에 대한 고정관념, 성행위 허용도, 성역할 평등의식 하위요인들과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성매매 여성에 대한 피해자 인정을 제외한 모든 요인들과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이는 성구매 경험이 성매매, 성행동과 성역할에 대한 전통적이거나 남성중심적 사고와 관련이 있음을 보이는 것이다. 연구결과를 여성주의적 관점에서 논의하고,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과 함께 연구의의와 제한점을 정리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men's thinking and attitude on prostitution and gender based on the previous experience of buying sex. It was an exploratory survey for planning future studies and movements for changing a way of thinking in relation to prostitution. A total of 1328 male adults(above 19 years) completed a questionnaire consisting of general thinking of buying sex, tolerance limit of sexual behavior, and sex role egalitarianism. The respondents answered differently in the probability of paying for sex in future and the way how to get a sex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vious experience of buying sex. Those respondents who had paid for sex, had higher scores on three types of sex attitude measures than those who did not. The previous experience of buying sex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sub-factors of buying sex, tolerance limit of sexual behavior, and sex role egalitarianism except for the sub-factor on recognizing a sex worker as a victim (factor 4 of buying sex). These results suggest that men who had paid for sex had more traditional gender-stereotypes and attitude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in a feminist perspective.

박영신(인하대학교) ; 김의철(인하대학교) pp.399-429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examines the factors that influence happiness among Korean adolescents by focusing on psychological resource (as measured by self-efficacy), relational resource (as measured by social support) and financial resource (as measured by family's monthly income). In addition, the influence of academic achievement on happiness is examine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socio-economic status and family's monthly income, adolescents living in three different districts in Seoul (from working to middle to upper class districts) were randomly selected and interviewed in their home. A total of 190 elementary school, middle school, high school and university students (male=83, female=107) completed the resiliency of efficacy scale developed by Bandura (1995) and emotional support and happiness scale developed by the present researchers, in addition to background information. The results of the path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most important predictor of happiness among Korean adolescents is relational resources. In other words, emotional support received from significant others was most predictive of happiness; more than 60 times the effect of family's monthly income, three times the effect of academic achievement, and two times the effect of resiliency of efficacy. The second most important factor that predicted the happiness of Korean adolescents was psychological resource (i.e., resiliency of efficacy), which had 30 times the effect of family's monthly income. In addition resiliency of efficacy played a mediating role between emotional support on one hand and happiness on the other. Third, those respondents who had higher academic achievement reported higher levels of happiness, which had 20 times the effect of family's monthly income. Fourth, family monthly income did not predict happiness among Korean adolescents. Fifth, socio-economic status and school level did not have direct influence on happiness but had mediating influence through their influence on emotional support. In other words, those respondents with higher socio-economic status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more likely to receive social support from significant others, which in turn increased their happines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most important predictor of happiness among Korean adolescents is emotional support, followed by resiliency of 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indicating that those adolescents from wealthy families are not necessarily happier.

이순열(도로교통안전관리공단) ; 이순철(충북대학교) pp.431-446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운전자들의 운전스트레스 대처방식이 교통사고 발생위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이 목적을 위하여 전국 5개 지역의 372명의 운전자들에게 64개로 구성된 운전스트레스 대처행동 척도 예비문항을 실시한 후 요인분석을 한 결과, 2개(순행적, 역행적)의 요인으로 구성된 총 24개 문항의 운전스트레스 대처행동 척도(DS-CBS)가 개발되었다. 이들 요인에 대한 신뢰도는 모두 .90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타당화 연구를 위해서 운전스트레스 대처행동 척도(DS-CBS)와 운전자 대처 질문지(DCQ), 그리고 운전자의 위험한 운전행동(음주운전, 과속운전, 법규위반, 피해사고, 가해사고)과의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상관관계 분석결과 운전스트레스 대처행동 척도(DS-CBS)는 운전자 대처 질문지(DCQ)와 운전자의 위험한 운전행동에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운전스트레스 대처행동 척도(DS-CBQ)의 순행적 요인과 역행적 요인이 교통사고 발생위험(아차사고, 주변평가 사고위험, 자기평가 사고위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순행적 요인과 역행적 요인이 교통사고 발생위험으로 향하는 구조방정식 모형은 적절한 적합도 지수를 보였다. 경로들의 영향관계에서 순행적 요인은 교통사고 발생위험을 유의하게 낮추지만, 역행적 요인은 교통사고 발생위험을 유의하게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This study was intended to validate and develop the driving stress coping behavior scale. In a preliminary investigation, literature studies on the driving stress and open questionnaire were administered and examined in four regions in Korea. As a result, 64 items driving stress questionnaire were developed. In the study, this Driving Stress Coping Behavior Scale(DS-CBS) was examined to 372 drivers located seven regions in Korea. The factors analysis revealed 2 meaningful factors[(Good Coping: GC), (Bad Coping: BC) with 24 items. When internal consistency for each 2 factor was calculated, all sub-scale revealed a satisfactory level of Cronbach's α. Also, correlations with Driver Coping Questionnaire(DCQ) and risk driving behaviors(speed driving, drunken driving, traffic violation, offence accident, defence accident) supported consistently validity of the Driving Stress Coping Behavior Scale(DS-CBS). Also, We investigated the influences of ‘Good Coping’, ‘Bad Coping’ consisting of driving stress coping behavior, on traffic accidents risk. As a result, ‘Good Coping’ and ‘Bad Coping’ influenced traffic accidents risk. ‘Good Coping’ had decreased effects, the other side ‘Bad Coping’ had increased effects on traffic accidents risk(TARI).

차운아(중앙대학교) pp.447-467
초록보기
초록

Lakoff(2002)의 가족으로서의 국가 은유(nation-as-family metaphor)에 따르면 미국의 보수주의와 진보주의의 도덕성은 각각 국가를 “엄격한 아버지(strict father)” 또는 “자애로운 부모(nurturant parents)”로 보는 서로 다른 가족 은유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보수주의와 진보주의 진영의 입장은 이러한 가족 은유의 가치와 연합되어 있다고 본다. 이 연구는 점화 기법을 사용하여 가족 은유가 실제로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사람들에 대한 판단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지 살펴보았다. Lakoff가 언급한 “엄격한 아버지(strict father)”의 도덕성을 점화했을 경우에 비해 “자애로운 부모(nurturant parents)”의 도덕성을 점화한 경우에 참가자들은 사회 보장 프로그램을 필요로 하는 사람들의 성품을 좀 더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그들이 처한 경제적 어려움을 개인의 책임으로만 돌리지 않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보수주의와 진보주의적 태도와 관점을 구성하는 요체가 무엇인지 되짚어 보게 하며 특히 사회 정책의 결정 및 정치적 판단에 미칠 수 있는 상황적 요인의 역할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Abstract

Lakoff’s (2002) ‘nation-as-family’ metaphor suggests that conservatism and liberalism in the United States are based respectively on two different sets of morality, i.e., “strict father” morality and “nurturant parents” morality. He argues that values associated with respective metaphors and political principles derived from them tend to determine certain political attitudes and policy endorsement. Using the priming technique,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whether “strict father” and “nurturant parents” morality are indeed what underlie very different positions conservatives and liberals take towards people in need. The results supported the Lakoff’s idea and demonstrated that, compared to priming “nurturant parents” morality, priming “strict father” morality actually led people to derogate character of those in need and to attribute more responsibility onto them for their economic predicament. This research leads us to reconsider what constitutes politically conservative and liberal attitudes and emphasizes the malleability of political attitudes.

차운아(중앙대학교) pp.447-467
초록보기
초록

Lakoff(2002)의 가족으로서의 국가 은유(nation-as-family metaphor)에 따르면 미국의 보수주의와 진보주의의 도덕성은 각각 국가를 "엄격한 아버지(strict father)" 또는 "자애로운 부모(nurturant parents)"로 보는 서로 다른 가족 은유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보수주의와 진보주의 진영의 입장은 이러한 가족 은유의 가치와 연합되어 있다고 본다. 이 연구는 점화 기법을 사용하여 가족 은유가 실제로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사람들에 대한 판단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지 살펴보았다. Lakoff가 언급한 "엄격한 아버지(strict father)"의 도덕성을 점화했을 경우에 비해 "자애로운 부모(nurturant parents)"의 도덕성을 점화한 경우에 참가자들은 사회 보장 프로그램을 필요로 하는 사람들의 성품을 좀 더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그들이 처한 경제적 어려움을 개인의 책임으로만 돌리지 않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보수주의와 진보주의적 태도와 관점을 구성하는 요체가 무엇인지 되짚어 보게 하며 특히 사회 정책의 결정 및 정치적 판단에 미칠 수 있는 상황적 요인의 역할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Abstract

Lakoff's (2002) 'nation-as-family' metaphor suggests that conservatism and liberalism in the United States are based respectively on two different sets of morality, i.e., "strict father" morality and "nurturant parents" morality. He argues that values associated with respective metaphors and political principles derived from them tend to determine certain political attitudes and policy endorsement. Using the priming technique,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whether "strict father" and "nurturant parents" morality are indeed what underlie very different positions conservatives and liberals take towards people in need. The results supported the Lakoff's idea and demonstrated that, compared to priming "nurturant parents" morality, priming "strict father" morality actually led people to derogate character of those in need and to attribute more responsibility onto them for their economic predicament. This research leads us to reconsider what constitutes politically conservative and liberal attitudes and emphasizes the malleability of political attitudes.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