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윤상연(고려대학교) ; 장디(고려대학교) ; 허태균(고려대학교) pp.329-347
초록보기
초록

범죄미디어에 대한 시청률이 갈수록 증가하고 있지만, 범죄미디어가 시청자들의 범죄의도에 미치는 효과와 그 심리적 기제는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고 있다. 기존의 연구들에서는 대부분 사회학습 이론(Bandura, 1978)을 기초로, 범죄자 체포와 처벌이 억제효과를 가진다는 결과를 확인하여 왔지만, 여전히 결과에 있어서 완전한 일치를 보이고 있지 않다. 본 연구는 범죄자 체포과정에 대한 사후가정사고가 사회학습효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체포과정에서의 전환성을 조작하고 그에 따른 범죄의도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 95명을 대상으로 학생들의 리포트 도용상황을 시나리오로 제시하고, 처벌결과와 전환가능성을 달리하는 세 가지 조건(무처벌조건, 우연처벌조건, 필연처벌조건)에 따른 응답자의 도용의도를 측정하였다. 응답자의 실제 도용경험을 공변량으로 하여 조건에 따른 도용의도를 분석한 결과, 같은 처벌을 받더라도 우연처벌 조건에서는 도용의도가 필연처벌 조건의 도용의도보다 높았으며, 처벌을 받지 않은 조건과 같은 수준이었다. 이는 처벌여부뿐만 아니라 그 처벌과정에 대한 묘사가 범죄의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본연구의 주장과 일치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결과가 가지는 형사정책적인 의의와 범죄미디어의 한계와 향후 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Criminal media such as dramas and movies are growing in popularity. However, the effects of criminal media as well as its psychological mechanism are not clearly examined. Based on social learning theory (Bandura, 1978), past studies showed that arrest and punishment to the criminal in media have a suppressing effect. The present research examined the ironic possibility that media coverage of punishment could increase the audience’s criminal intention and proposed the mediating role of counterfactual thinking in the effect. We hypothesized that when punishment was depicted as accidental rather than unavoidable in media coverage, perceived high mutability and counterfactuals focusing on the accidental factors could clarify the ways to commit the crime without being caught and subsequently increase future criminal intention. In this study, 95 college students read a story of plagiarizing either no, accidental, or inevitable punishment, and later asked to report their intention to plagiarize. An ANCOVA with participants‘ own history of plagiarism as a covariate found that the intention of plagiarism in futur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The results showed that the intention of plagiarism in the accidental punishment condition was higher than that in the inevitable punishment condition. Further, the intention of plagiarism in the accidental punishment condition was the same level with non-punishment condition. The findings suggest that whether criminals are caught or not is not enough to reduce criminal intentions of audience, but how criminals are caught matters.

김용훈(고려대학교) ; 류리나(고려대학교) ; 한성열(고려대학교) pp.349-366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배려지향적 도덕성에 해당하는 공감과 정의지향적 도덕성에 해당하는 공정성이 도움행동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156명의 학생에게 불공정지각을 달리하는 대상(외국인근로자/일반인)에 대한 시나리오를 각각 제시하고, 도움행동의도를 측정한 후에 개인특질 변인인 공감과 공정성을 측정하였다. 공감, 공정성, 대상이 전체 도움행동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한 결과, 개인특질인 공감과 공정성 두 변인 모두 전체 도움행동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공감과 대상에서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났다. 불공정지각 수준이 다른 대상에 따라 도움행동의도에 공감과 공정성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한 결과, 일반인(불공정지각 저) 대상에서는 공감이 도움행동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었고, 외국인근로자(불공정지각 고) 대상에서는 공정성이 도움행동의도와 정적인 상관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도움행동을 결정하는데 있어 공감과 공정성이 상호보완적 역할을 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Abstract

The importance of helping behavior in our society has been increasing and this study aimed to find the practical strategies to increase helping behaviors with minorities and general public in our communities. Participants(N=156) were randomly assigned to respond to a scenario which measured the intention to help either foreign workers or general public. Also, participants were given the scale of fairness and empathy to respond. The findings of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1) empathy and fairness had main effect of the intention to help other persons and empathy and different targets in the unfair perception had interactional effect; (2) the intention to help foreign workers was positively related to fairness and the intention to help general public was affected by empathy. The results showed that according to the perceived unfairness in helping behavior situations, the role of fairness which empathy did not explain was founded. These findings suggest that empathy and fairness in helping behavior are complementary to each other.

홍주연(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 김민희(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 방희정(이화여자대학교) pp.367-38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고령화 사회에서 점점 증가하고 있는 배우자 부양자의 부양부담과 우울에 미치는 부양자의 심리적 요인의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서울과 인천에 거주하고 있고 50세 이상의 배우자 부양자 142명(여자 89명, 남자 52명)을 대상으로 피부양자의 객관적인 요인, 부양자의 인구학적인 요인, 그리고 심리적 요인으로 부양자의 외향성, 신경증적 성향, 부양 전 부부관계 만족, 사회적 지지가 부양부담과 부양자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설문을 실시하였다. 부양부담과 우울에 대한 변인들의 영향력 검증을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부양부담에는 피부양자의 일상생활활동수준과 신경증적 성향이, 우울에는 부양자의 신경증적 성향과 부양 전 부부관계 만족이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피부양자의 객관적 요인이나 부양자의 인구학적 요인에 비해 부양자의 심리적 요인이 부양부담과 우울을 더 잘 예측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부양자의 심리적 요인이 부양경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논의했으며, 마지막으로 배우자 부양부담 완화를 위한 제언, 연구의 제한점, 그리고 미래 연구 방향에 대해 제안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psychological factors on caregiver burden and depression among Korean spousal caregivers. 142 spousal caregivers (89 wives, 52 husbands) in Seoul and Incheon City were surveyed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objective factors of the care recipient, demographic of the caregiver, personality dimensions of extroversion and neuroticism of caregiver, social support, and pre-caregiving marital satisfaction on caregiver burden and depression of spousal caregivers. Hierarchical regression was used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the various factors on caregiver burden and depression. Finding suggest that care recipient’s activities of daily living(ADL) and caregiver neuroticism predicted caregiver burden, whereas pre-caregiving martial satisfaction and caregiver neuroticism predicted depression. In particular, psychological factors were better predictors of caregiver burden and depression compared with objective factors. Based on the results, the implications, interventions, limitations and future directions for research were discussed about the psychological factors on spousal caregiving.

이재식(부산대학교) pp.389-41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연령대의 운전자들을 대상으로 운전확신 수준과 감각추구 성향에 따른 운전분노 수준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면접방식에 기초한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한 후 상관분석과 위계적 회귀방법, 그리고 변량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이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와 시사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남성은 여성에 비해 전반적으로 운전분노 수준이 높았고, 감각추구 성향과 운전분노 수준 사이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이, 반면 연령과 운전경력은 운전분노와 각각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운전확신 수준이 운전자의 연령대에 따라 운전분노 수준에 차별적으로 영향을 미쳐 40대 이상의 운전자 집단에서는 운전확신이 높을수록 운전분노 수준이 유의하게 높았던 반면, 20-30대 운전자 집단에서는 운전확신 수준에 따른 운전분노 수준에서의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셋째, 이와는 대조적으로 운전자의 감각추구 성향은 운전자의 연령대와 상관없이 운전자의 분노수준이 강한 예측변인임이 확인되었다. 넷째, 운전자의 연령대와 운전확신 수준, 그리고 감각추구 성향을 모두 고려하여 운전분노의 수준을 비교한 결과, 20-39세 연령층과 65세 이상 연령층에서는 운전확신 수준이 높은 경우에만 감각추구 성향에서의 차이가 운전분노의 차이에 반영되었지만, 40-59세 연령층의 운전자들에게서는 이러한 상호작용 효과가 관찰되지 않은 대신 운전확신 수준과 감각추구 성향이 가산적으로 운전분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fferential interactive effects of the combination of driving confidence and sensation-seeking on driving anger among different age groups, by using correlation analysis, a hierarchical regression and ANOVAs for the data gathered through the questionnaires administrated in a form of face-to-face interview. The results showed the followings. First, males tended to show higher level in driving anger than females. Second, whereas sensation-seeking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driving anger, age and driving experience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driving anger, respectively. Third, al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driving confidence and driving anger among the drivers aged under 40 years, the drivers aged over 40 years showed higher level of driving anger as their driving confidence increased. Forth, level of sensation-seeking was found to be a strong predictor of driving anger in all age groups. Fifth, driving confidence and sensation-seeking appeared to affect the level of driving anger interactively among drivers aged under 40 years or over 65 years, resulting in higher driving anger only when both the levels of driving confidence and sensation-seeking were high. In contrast, driving confidence and sensation-seeking affected driving anger independently among the drivers aged 30-49 years. Implication and suggestion were discussed.

오주석(충북대학교) ; 이순철(충북대학교) pp.415-43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위험한 운전행동을 일으킬 수 있는 운전자의 성격과 태도요인, 즉 운전행동 결정요인의 영향력을 밝히고, 이들 요인을 통해 위험운전자를 판별해낼 수 있는 타당한 방법을 개발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성인 운전자 534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다섯 가지의 운전행동 결정요인들(문제회피성향, 이익/자극 추구, 대인불안, 대인분노, 공격성)은 운전자의 다양한 위험운전행동들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들 요인을 이용하여 운전자들을 위험도에 따라 별개의 집단(일반운전자, 비의도적 위험운전자, 의도적 위험운전자)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이 같은 결과는 운전자의 성격과 태도와 같은 심리적 요인들을 통해 운전자의 위험행동 수준을 예측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추후 연구들을 통해 본 연구에서 다룬 운전행동 결정요인 모델과 그 기준 점수 체계를 보완한다면, 운전자의 위험성향을 사전에 예측하고 문제점을 확인하여 그에 따른 차별적 안전운전 교육서비스를 제공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explain the effect of driving behavior determinants such as drivers’ personality and attitude that may induce risky driving behavior and to develop a valid method for discriminating risky drivers using the determinants. In the results of surveying 534 adult drivers, 5 driving behavior determinants (avoidance of problems, benefit/stimulus seeking, interpersonal anxiety, interpersonal anger, and aggression) were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drivers’ various risky driving behaviors. Using these factors, drivers were grouped according to risk levels (normal drivers, unintentionally risky drivers, and intentionally risky drivers). This result suggests that drivers’ dangerous behavior level can be predicted using psychological factors such as their personality and attitude. Accordingly, if the driving behavior determinant model and the base score system used in this study are improved through further research, they are expected to be useful in predicting drivers’ recklessness in advance, identifying problems, and providing differentiated safe driving education services based on the results.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