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조민주(부산대학교 심리학과) ; 정영숙(부산대학교 심리학과) pp.83-106 https://doi.org/10.20406/kjcs.2022.5.28.2.8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자기-대화의 인칭과 내용이 과제수행과 정서 및 지각된 스트레스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부산 소재 대학교 학부생 100명을 대상으로 자기-대화의 인칭(일인칭 대 비 일인칭)과 내용(자기-격려 대 자기-비판)이 조합된 네 가지 조건에 25명씩 무선 할당하여 처치 전과 처치 후의 참가자들의 반응을 측정하였다. 처치 전후 차이 값을 사용하여 변량분석을 실시한 결과, 과제수행, 과제 관련 자신감, 그리고 정서 반응, 지각된 스트레스에서 자기-대화 내용의 주 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기-격려 자기-대화를 사용한 집단은 자기-비판 자기-대화를 사용한 집단보다 처치 후 과제수행이 더 증가하였고, 과제수행에 대한 자신감도 더 높았으며, 긍정 정서는 더 높고 부정정서와 지각된 스트레스는 더 낮게 나타났다. 지각된 스트레스 평정에서는 자기-대화의 인칭과 내용의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하였다. 즉, 일인칭 자기-대화의 경우 자기-격려 조건과 자기-비판 조건 간에 차이가 없었지만, 비 일인칭의 경우에는 자기-격려 조건이 자기-비판 조건에 비해 지각된 스트레스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The current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the type and context of self-talk on task performance, task-post emotion, and perceived stress. Participants were 100 undergraduates in Busan.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four the experimental groups that were set by combining the narrative condition (the first-person versus non-first-person) to the content condition (self-reinforcing versus self-critic) to measure their pre and post intervention responses . For the analysis, we performed two-ways analysis of variance using the difference value of dependent variables comparing the pre and post-interven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we found that content condition of self-talk significantly influenced task performance, task-related confidence, emotion response, and perceived stress. That is, the self-reinforcement self-talk group showed better performance, higher task-related confidence, more positive emotion, lower negative emotion and less perceived stress than the self-critic self-talk group. The contents conditions of self-talk interacted with the narrative condition of self-talk to predict perceived stress, indicating that only non-first person/self-reinforceing self-talk group showed reduced levels of perceived stress.

최소영(이화여자대학교) ; 이승연(이화여자대학교) pp.107-131 https://doi.org/10.20406/kjcs.2022.5.28.2.10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직장 내 괴롭힘 주변인 행동을 측정하는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직장 내 괴롭힘 관련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문항을 개발하고, 친가해행동, 방어행동, 방관행동으로 하위유형을 규정하였다. 전문가를 통한 내용 타당도 확인 후 총 31문항의 예비문항을 구성하였다. 지난 3년간 직장 내 괴롭힘을 직·간접적으로 목격한 민간기업 사무직 직장인 288명의 설문자료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최종문항 26개를 선정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방어행동이 적극적 유형과 지지적 유형 두 가지 구인으로 변별됨이 확인되었다. 지난 1년간 직장 내 괴롭힘을 직·간접적으로 목격한 민간기업 사무직 직장인 518명의 자료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고 개발된 척도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확인하였다. 하위유형의 재확인을 위해 경쟁모형 비교를 실시한 결과 적극적 방어행동과 지지적 방어행동이 변별됨이 재차 확인되었다. 직장 내 괴롭힘 가해행동, 조직 내 이타적 행동, 친사회적 행동, 개입에의 공포, 도덕적 이탈, 죄책감, 도덕적 정체성의 준거변인을 설정하여 모든 하위유형의 준거 관련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직장 내 괴롭힘 주변인 행동과 관련된 후속 연구 과제와 직장 내 괴롭힘 예방 및 개입에 있어 주변인 행동을 활용할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developing and validating a measure of the workplace bullying bystander behavior. To this end, items were developed by referring to previous studies related to workplace bullying, and subtypes were defined as pro-bullying, defending, and outsider behaviors. After confirming the validity of the content with the help of experts, a total of 31 preliminary items were composed. The final 26 questions were selected by conduct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ith a survey of 288 office workers who have directly or indirectly witnessed workplace bullying over the past three years, and in this process, it was confirmed that defense behavior was distinguished into two types: Active and supportiv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with data from 518 office workers who have directly or indirectly witnessed workplace bullying over the past year, and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developed scale were confirmed.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competing models to reconfirm the subtypes, it was confirmed again that active defense behavior and supportive defense behavior were distinguished. The criterion-related validity of all subtypes was confirmed by setting the criteria variables for workplace bullying behavior, altruistic behavior, pro-social behavior, fear of intervention, moral disengagement, guilt, and moral identity.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follow-up research tasks related to workplace bullying bystander behavior scale were suggested and the methods to prevent and intervene in workplace bullying utilizing workplace bullying bystander behaviors were discussed.

이소정(아주대학교) ; 김은하(아주대학교) pp.133-161 https://doi.org/10.20406/kjcs.2022.5.28.2.13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동성애자와 양성애자의 정체성을 다차원적으로 측정하기 위해 Mohr와 Kendra(2011)가 개발한 The Lesbian, Gay, and Bisexual Identity Scale(LGBIS)을 한국어로 번안하고 타당화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어로 번역한 LGBIS를 201명의 동성애자와 양성애자에게 실시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 한국판 LGBIS는 8개 하위요인(26문항)이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8개 하위요인은 원척도와 동일하게 수용 걱정, 은닉 동기, 정체성 불확신, 내면화 된 동성애부정, 고된 과정, 정체성 우월, 정체성 긍정, 정체성 중심이었다. 또한, 한국판 LGBIS의 신뢰도를 살펴본 결과, ‘은닉 동기’를 제외한 모든 하위요인의 내적합치도는 만족스러운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210명의 동성애자와 양성애자를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8요인 모형(26문항)이 양호한 적합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한국판 LGBIS의 타당도 검증을 위해, 각 하위요인과 정체성 및 심리적 기능을 측정하는 척도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판 LGBIS는 총 26문항, 8개 하위요인으로 구성된 척도로, 국내 동성애자와 양성자에게 사용하기에 타당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ranslate and validate the Lesbian, Gay, and Bisexual Identity Scale(LGBIS), which is a multidimensional measure of sexual minority identity. For this, we conducte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in a sample of 201 LGBs. Identical to the original scale, eight factors were extracted (i.e., Concealment Motivation, Identity Uncertainty, Internalized Homonegativity, Difficult Process, Acceptance Concerns, Identity Superiority, Identity Centrality, and Identity Affirmation), but one item was removed. In addition, the reliabilities of the eight factors except Concealment Motivation were satisfactor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vealed that the 8-factor model had a good fit to data. Finally, criterion validity was good with other identity related scales as well as the psychological-functioning scales. In conclusion, the Korean version of the LGBIS is a valid measure of multidimensional LGB identity and consists of 8 factors and 26 items.

김민진(중앙대학교) ; 박정윤(중앙대학교) pp.163-186 https://doi.org/10.20406/kjcs.2022.5.28.2.16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청년기 역경 후 성장을 일으키는 요인의 영향력을 밝히고 상담 및 임상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려는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한국에 거주하는 만18~39세 청년 208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SPSS 25.0, AMOS 26.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역경 후 성장을 긍정심리학적 요인들의 결과물로 보고 균형적 시간관과 사회적 유대감 각각의 영향력과 두 변인의 관계가 역경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파악을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고 변인들의 경향성을 살펴보기 위해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변인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Pearson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역경 후 성장에 주요 변인들이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모형의 검증을 위해 경로분석을 실시하고 부트스트랩 방법을 사용하여 간접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변인 중에는 종교가 역경 후 성장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보였다. 둘째, 역경 후 성장에 균형적 시간관과 사회적 유대감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역경 후 성장에 이르는 경로에서 균형적 시간관이 사회적 유대감에 영향을 미치고 본 과정을 통해 역경 후 성장이 나타났다. 역경 후 성장을 위해서는 균형적 시간관과 사회적 유대감 모두 중요하며 상담이나 임상현장에서 긍정적 요인을 활용하여 관련 프로그램 개발 및 실시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variable affecting young adult’s growth after adversity to promote post-adversity growth in the counseling and treatment field. For this purpose, date were collected from 208 young adults aged 18 to 39 living in Korea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5.0 and the AMOS 26,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iew growth after adversity as a result of positive psychological factors an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each of the balanced time perspective and social connectedness and the relation of the two variables on growth after adversity. Frequency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urvey subjects, an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trends of the major variables, and Pearson’s product moment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major variable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major variables on growth after adversity, and path analysis was performed to verify the research model, an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indirect effect was confirmed using the bootstrap method. The main results of this thesis are as follows. First, among demographic variables, religion showed a significant effect on growth after adversity. Second, balanced time perspective and social connectedness tended to have an important effect on growth after adversity. Third, the result of examining the path leading to growth after adversity showed that balanced time perspective affects social connectedness and this process leads to growth after adversity. The finding of this thesis is that the balanced time perspective and social connectedness are important in order to have growth after adversity, and this suggests the necessity of developing and progressing related programs by utilizing positive factors in counseling or clinical settings.

이동훈(성균관대학교) ; 이덕희(성균관대학교) ; 김성현(성균관대학교) ; 정다송(성균관대학교) pp.187-217 https://doi.org/10.20406/kjcs.2022.5.28.2.18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한국판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체크리스트-5(PCL-5)의 타당화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성인을 대상으로 두 시점에서 온라인 설문을 1년 간격으로 실시하였고, 1시점에서는 1,077명, 2시점에서는 563명의 자료를 본 연구에서 사용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1요인, 4요인, 6요인, 7요인의 모형 적합도를 확인한 결과, 4, 6, 7요인이 수용가능한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 7, 6, 4요인 순으로 우수한 적합도를 보였다. 다음으로 내적일치도, 오메가 계수, 개념신뢰도, 분산추출지수,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확인한 결과 모두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해 한국판 외상 후 스트레스 선별 평가지(K-PC-PTSD-5)와 단축형 간이정신진단 검사-18(BSI-18)와의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두 검사 모두와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한국판 PCL-5가 향후 PTSD, 우울, 불안, 신체화 증상을 예측할 수 있는지 확인하고자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1시점에서 한국판 PCL-5로 측정한 PTSD 증상이 2시점의 PTSD, 우울, 불안, 신체화 증상을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ROC 곡선 분석을 통해 PCL-5의 PTSD 증상집단 구분에 대한 변별력을 확인하고 최적 절단점을 제시하였다. PCL-5의 한국판 종단타당화 결과, 본 척도가 한국인에게 신뢰롭고 타당한 척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예측타당도 분석을 통해 한국판 PCL-5가 PTSD 증상 뿐만 아니라 우울, 불안, 신체화 같은 PTSD 관련 증상을 예측가능함을 제시하였으며, PTSD 증상집단에 대한 변별이 가능한 절단점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PTSD 증상을 측정하는 기존 타당화 연구와 차별점을 지닌다.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Checklist for DSM-5(PCL-5). To this end, online surveys were conducted two times at 1-year interval with 1,077 Korean adults at time 1, and 563 Korean adults at time 2. First, as a result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factor 1 was found to be not acceptable, while factor 4, 6 and 7 were found to be acceptable and showing the best model fit in the order of factor 7, 6, 4.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reliability of Korean version of PCL-5, Korean version of PCL-5 showed good reliability. Third, as a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with K-PC-PTSD-5 and sub-factors of BSI-18, Korean Version of PCL-5 had positve correlation with both K-PC-PTSD-5 and BSI-18. Fourth, PTSD symptoms measured by the Korean version of PCL-5 at time 1 properly predicted PTSD, depression, anxiety, and somatization symptoms at time 2. Fifth, discrimination power of PCL-5 for screening PTSD group and best cut-off score were confirmed by ROC anlaysis. As a result of the longitudinal validation of Korean version of PCL-5, it was found that this scale is a reliable and valid measure for Korean adults. This study differs from previous validation studies in that the Korean version of PCL-5 can predict not only PTSD symptoms but also PTSD-related symptoms such as depression, anxiety, and somatization, and that the best cut-off score for distinguising PTSD symptom group was confirmed.

정주리(전남대학교) ; 이지혜(전남대학교) pp.219-239 https://doi.org/10.20406/kjcs.2022.5.28.2.21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전국에 거주하는 국내 성인 남녀 508명을 대상으로 이들이 지각하는 주관적 사회경제적 지위와 공정성 인식(자기 분배공정성, 자기 절차공정성, 일반 분배공정성, 일반 절차공정성)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연령(20대와 30대 이상)에 따른 조절효과가 나타나는지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개인의 공정성 인식과 주관적 사회경제적 지위를 측정하는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SPSS 27과 PROCESS Macro 4.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연구변인 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고, 연령대에 따른 연구변인의 차이를 분산분석으로 검증하여 연령구분이 타당한지 살펴본 후, 조절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관적 사회경제적 지위는 자기 분배공정성, 자기 절차공정성, 일반 분배공정성, 일반 절차공정성 모두와 정적인 관계를 보였다. 둘째, 연령은 자기 분배공정성, 자기 절차공정성, 일반 분배공정성과 부적인 관계를 보였으며, 일반 절차공정성와의 관계는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연령대별 연구변인의 차이를 확인한 결과 20대와 30대 이상은 상이한 특징을 보였으며, 30대 이상에서는 유의한 연령대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자기 분배공정성과 일반 절차공정성에 대해서만 연령의 유의한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자기 분배공정성의 경우, 30대 이상의 집단에서 20대보다 주관적 사회경제적 지위와 자기분배공정성의 정적 관계가 더 강하게 나타났다.. 일반 절차공정성의 경우, 20대에서는 주관적 사회경제적 지위가 일반 절차공정성을 유의미하게 예측하지 못하였으나, 30대 이상의 경우 주관적 사회경제적 지위가 일반 절차공정성을 정적으로 예측하는 결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20대와 30대 이상의 연령대를 비교하였을 때 주관적 사회경제적 지위와 공정성 인식 간의 관계가 다르게 나타남을 밝혀 사회경제적 지위와 공정성 인식 간에 세대 간 인식 차이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Abstract

The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socioeconomic status (SES) of 508 Korean adults and their perception on justice (distributive and procedural justice for self and general others), and verified whether there is a moderating effect of age (20s versus 30s and over). A self-report survey on SES and perception on justice was conducted. Then, using the SPSS 27 and PROCESS Macro 4.0 program., a correlation analysis looking into the relationship among the study variables was performed along with the ANOVAs comparing the mean differences of study across age-groups to support the group division criteria. Next, a moder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articipants’ SES showe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sub-factors of justice perception and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age. Second, age had a inverse relationship on distributive justice for self and general others, and procedural justice for self, but significant relationship on procedural justice for general others. Third, when looking into the mean differences of the research variables according to age, the 20s had significantly different characteristics compared to the 30s and over,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30s and over group. Fourth, the moderating effect of ag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S and perception of justice was positively significant in the case of distributive justice for self and procedural justice for general others. In the case of distributive justice for self, the positive slope of the graph in which SES predicts distributive fairness for self was steeper in the 30s and older group compared to the 20s. Regarding the procedural justice for general others, SES was not a significant predictor for the 20s. However, SES positively predicted procedural justice in the 30s and older.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uggested age differences in their perceptions of justice by revealing the different relationships of SES and perception on justice according to age.

표소휘(고려대학교) ; 이슬아(고려대학교) ; 장애경(고려대학교) ; 이준우(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 이은비(고려대학교) ; 양은주(고려대학교) pp.241-272 https://doi.org/10.20406/kjcs.2022.5.28.2.24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질적 메타요약 방법론을 활용하여 국내 게이, 레즈비언, 바이섹슈얼 성소수자의 성정체성 형성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살펴본 질적 연구들을 체계적으로 종합함으로써 이질적인 질적 연구 결과를 통합적으로 이해하는 것이다. 국내 질적 연구들을 통해 보고된 성소수자의 성정체성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종합하여 이러한 요인들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파악하는 것은 그들의 내적 경험을 이해하고, 심리적 적응을 돕는데 중요하다. 본 연구는 질적 메타요약을 통해 국내 질적 연구들이 제시한 게이, 레즈비언, 바이섹슈얼 성소수자들의 성정체성 수용과 통합, 더 나아가 긍정적 정체성 형성에 관여하는 심리적 요인과 사회적 요인을 확인하고 체계적으로 요약하고자 하였다. 먼저 학술DB 검색을 통하여 국내에서 2021년까지 발표된 총 9편의 관련 연구물을 확보하였다. 9편의 연구물의 질은 Critical Appraisal Screening Programme을 통해 평가되었다. 분석 결과, 총 179개의 진술문이 추출되었고 관련 진술문들을 축약시킨 결과 34개의 축약진술문이 산출되었다. 34개의 축약 진술문은 성정체성 발달을 저해하는 요인과 촉진하는 요인, 심리적 요인과 사회적 요인의 두 가지 축을 기준으로 크게 성정체성 발달을 촉진하는 심리적 요인과 사회적 요인, 성정체성 발달을 저해하는 심리적 요인과 사회적 요인의 네 영역으로 나눌 수 있었다 논의에서는 영역별 주요 요인을 설명하였으며, 본 연구 결과의 함의와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is purpose of this meta-summary study was to integrate the findings of the heterogeneous qualitative research on the factors influencing the sexual identity formation process of lesbian, gay, and bisexual groups in Korea. The integrative investigation of the universal or unique factors affecting the identity formation of sexual minority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ir internal experiences and to support psychological adaptation. Using a qualitative meta-summary, this study systematically identified psychological and social factors that promote and impede sexual identity acceptance and integration of LGB individuals. First, a total of 9 studies were identified through research database published in Korea up to 2021. The included studies were critically evaluated by using the Critical Appraisal Screening Programme tool. A total of 179 statements were extracted from the findings of each study and 34 abstracted statements were generated. The 34 abstracted statements were categorized into four groups, psychological factors that promote or impede sexual identity formation and social factors that promote and impede it. These four main categories and corresponding factors in each category were explained.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were also discussed.

고혜연(고려대학교) ; 김보람(두뇌동기연구소) ; 이상민(고려대학교) ; 이장희(고려대학교) pp.273-305 https://doi.org/10.20406/kjcs.2022.5.28.2.27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중년과 1인 가구라는 구체적인 상황 및 맥락 내에서 경험하고 있는 자기돌봄의 본질을 이해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서는 10명의 중년 1인 가구를 연구 참여자로 하여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고, 면담 자료를 현상학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중년 1인 가구는 자기돌봄을 ‘나를 지키기 위한 수단’, ‘혼자 살게 될 노년을 위한 대비’, ‘현재의 만족감과 행복을 느끼기 위한 행동’으로 이해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그들이 자기돌봄을 하게 된 계기로는 ‘신체의 노화 및 질병의 가능성 인식’, ‘개인의 안전이 위협받음’, ‘생업에 대한 위기의식’, ‘자신을 돌봐줄 사람의 부재’, ‘심리적인 건강을 유지하기 위함’, ‘바쁜 업무로 인한 소진’, 그리고 ‘자신과 가족들의 걱정 또는 불안을 잠재우기 위함’,이 있었다. 구체적인 자기돌봄 방법으로는 ‘신체 및 건강관리’, ‘정서적인 돌봄을 위한 개인적인 활동’, 그리고 ‘사람들과의 만남’이 있었다. 마지막으로 자기돌봄으로 인해 그들은 업무나 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으며 고립감이 줄었고 심신의 평화와 위안이 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및 후속 연구의 방향성을 제안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and explore the essence of the self-care experiences of middle-aged one-person households considering their individual circumstances and situational context. In this study, 10 middle-aged people in one-person households were interviewed. The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phenomenological analysis. In result, middle-aged one-person households considered self-care as ‘ means to protect themselves’, ‘preparation for the old age on their own’, and ‘behavior to feel present gratitude and happiness.’ Their motives for the self-care were ‘awareness of the body aging and possible disease’, ‘threat of their safety’, ‘ crisis of their livings’, ‘absence of a person who can take care of them’, ‘maintenance of their psychological health’, ‘being burned out by busy working schedules’, and ‘lessening their own and their family’s worries and anxiety.’ Their specific ways of self-care were ‘physical health care’, ‘private activities for emotional care’, and ‘meeting with people.’ Consequently, middle-aged people’s self-care had a great influence on their lives. Their self-care had a positive impact on their jobs and relationships, lessened their sense of isolation, and became comforts for their liv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is study proposed its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