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토끼 해마손상이 흔적조건화의 습득과 소거에 미치는 영향

Acquisition and Extinction of Classical Trace Conditioned Responses in Rabbits with Hippocampal Lesions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 The Korean Journal of Cognitive and Biological Psychology, (P)1226-9654; (E)2733-466X
1989, v.1, pp.57-65
김혜경 (고려대학교 심리학과)
김기석 (고려대학교 심리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토끼의 순막반응을 사용한 흔적조건화의 습득과 소거에 해마손상이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해마손상동물과 모의시술 통제동물은 7일간 흔적조건화 훈련을 받았고, 3일간 소거시행을 받았다. 해마손상은 흔적조건화 습득에는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았으나 소거시행에는 영향을 주어, 해마손상동물은 모의시술 통제동물에 비해 평균 조건반응율이 높았다. 통제동물의 경우 소거시행시에 반응개시 시간이 점점 늦어지는데 반해 해마손상동물은 조건화시행때의 반응개시시간과 비슷한 수준을 계속 유지하였다. 이같은 결과는 해마가 흔적조건화에 필수적으로 관여하는 구조물은 아니지만 소거에는 관여한다는 것을 나타내며, 시간정보처리면에서 해마가 부적절자극을 배제하는 주의과정과 관련되어 있음을 시사한다.

keywords

Abstract

Effects of hippocampal lesions on the acquisition and extinction of classical trace conditioned responses were examined using the rabbit nictitating membrane preparation. After the lesion, rabbits received trace conditioning for 7 days and then were given extinction sessions for 3 days. During the trace conditioning, hippocampal lesion had no effect on the acquisition of response and onset latency. During extinction, however, the hippocampal lesioned rabbits showed significantly more responses than those of the sham-operated ones. And the lesioned showed no change in mean response latency, while the sham-operated exhibied progressive increase in the latency. The results suggest that hippocampus is not necessary for trace conditioning but involved in extinction process. Discussion was made within the context of the temporal processing approach which involves the hippocampus in attention process that enables the organism to learn to ignore irrelevant stimuli.

keywords
투고일Submission Date
1989-10-20
수정일Revised Date
1989-11-13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