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6-9654
  • E-ISSN2733-466X
  • KCI

어휘판단과 명명에 미치는 자극유사성과 반복제시의 효과

The Effects of Stimulus Similarity and Stimulus Repetition on Lexical Decision and Naming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 The Korean Journal of Cognitive and Biological Psychology, (P)1226-9654; (E)2733-466X
1989, v.1, pp.49-63
이관용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이태연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초록

반복효과는 인간의 일상적인 개념형성과 어휘형성에 관한 연구들에서 의미점화효과와 함께 어휘집의 구조와 특성을 밝히기 위해 널리 연구되어 왔던 현상이다. 본 연구는 세 실험을 통해 반복효과를 설명하는 기존의 일화이론과 어휘접근이론의 가정을 검토하여 이들의 한계를 제시하고, 이에 대한 새로운 대안적 모델로서 이원접근의 이론적 타당성을 입증하였다. 우선 실험 1-a와 실험 1-b에서는 연속절차를 사용하여 항목이 반복되는 제시되는 간격이 증가함에 따라서 단어 및 비 단어의 반복촉진효과가 어떤 형태로 변화하는지를 검토하였다. 실험결과, 어휘접근이론의 설명과 달리 비단어에서도 유의미한 반복촉진효과가 관찰되었으나, 일화이론도 일화적 맥락이 변화함에도 불구하고 반복효과가 감소하지 않는 실험결과를 잘 설명하지 못하였다. 그에 따라 실험 2에서는 자극제시차에 따른 반복회수와 자극쌍의 의미관계를 조작하여 앞서 두 이론과 새로 제안된 이원모형의 가정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반복효과는 일화적 요인과 어휘적 요인을 모두 포함하는 이원모형에 의해 더 적절히 설명됨이 증명되었다. 결론적으로 반복되어 제시되는 어떤 대상이 갖게 되는 일회적 맥락이나 그 대상이 사전에 갖고 있는 어휘적 표상구조 자체에만 의존하지 않으며, 일화적 부호와 의미적 부호의 상호 촉진적 송환을 통해 일어난다고 볼 수 있다.

keywords

Abstract

The repetition effect has been studied widely in the studies on concept formation and lexical formation for uncovering the nature of lexical structure and process, as well as semantic priming effect. This study suggested some constraints of two existing theories, episodic theory and lexical access theory, through examining their assumptions and proposed the dual theory as alternative and testified its assumptions. Experiment 1-a and 1-b was conducted to see how the facilitatory effect of repetition was dampening out as the lags of item repetition was increased. Resul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petition effects of even nonwords at lag 10 conditions opposed to assumptions of lexical access theory, but episodic theory also couldn't explain no decrement in the repetition effects of words and nonwords even though their episodic context is largely changed as the lags is increased. Based on these results. Experiment 2 was planned to test assumptions of the dual approach proposed were and two existing theories by manipulating the number of repetition and semantic relations of stimulus pair as SOA conditions were changed. Experiment 2 accepted the dual approach as the best model of explaining it's results. In conclusion. the repetition effect is not depended on episodic context involved in repeated stimulus or on its lexical structure itself, but the product of interactional facilitation of episodic codes and semantic codes.

keywords
투고일Submission Date
1989-11-02
수정일Revised Date
1989-11-02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