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6-9654
본 연구는 작업기억이 문제해결에 관련된 현상인 부화와 창의성과 어떤 관련이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 1에서는 작업기억 용량과 부화와의 관계를 살펴보고, 연구 2에 서는 작업기억 용량과 창의성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연구 1에서는 작업기억 용량이 큰 경우는 부화기간의 삽입에 의한 문제해결 수행의 촉진이 관찰되지만 작업기억 용량이 작은 경우는 부화기간의 삽입에 의한 부화효과가 관찰되지 않았다. 그리고 부화기간이 삽입되지 않은 계속적 작업의 경우에는 작업기억 용량에 따른 문제해결 수행의 차이가 없었다. 연구 2에서는 작업기억 용량이 창의성의 하위점수 중 정교성의 점수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작업기억 용량이 큰 집단이 용량이 작은 집단보다 높은 정교성 점수를 보였다. 본 연구 결과는 작업기억의 용량이 다양한 인지기능의 개인차에 개입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작업 기억이 통제적 처리를 직접 요구하는 과제뿐만 아니라 다양한 사고수행 과제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검토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working memory capacity on incubation and creativity which are related to problem solving. The purpose of Study 1 was to see the effect of working memory capacity on incubation. Study 2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ing memory and creativity. The results of Study 1 showed that incubation period facilitated the performance on the problem solving in high span group whereas no difference in performance was found in low span group. Study 2 showed working memory capacity is related to only elaboration score among creativity scores. It was found that high span group showed higher elaboration scores than low span group.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ndividual differences in cognitive functions have been attributed to working memory capacity. It is also implicated that individual differences in working memory may be related to not only direct analytical processes but also complex thought processes such as incubation and creativ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