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낱자의 집단화가 글자 지각에 미치는 영향: 글자 사용 여부 판단 과제에서

The Influence of Perceptual Grouping of Letters on the Perception of Hangul Syllable Blocks: Using Syllable Usableness Judgment Task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 The Korean Journal of Cognitive and Biological Psychology, (P)1226-9654; (E)2733-466X
2006, v.18 no.3, pp.173-185
박창호 (전북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한글 글자의 지각에서 처리단위를 밝히기 위해 글자의 사용 여부를 판단하게 하는 과제를 사용하여 두 실험을 계획하였다. 받침 있는 횡모음 글자(‘곡’) 및 종모음 글자(‘각’)들을 세 사용빈도 수준에서 골고루 표집하여 총 84개의 글자를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험 1은 글자핵 내의 초성과 중성의 자극강도를 독립 조작하였으며, 실험 2는 글자 내의 글자핵(초성과 중성)과 종성의 자극강도를 독립 조작하였다. 자극강도의 조작은 글자 부분들의 집단화에 영향을 준다는 가정에서, 두 부분이 동일한 강도를 가질 때 더 좋은 수행을 보인다면 이는 두 부분이 한 집단으로 처리되기 쉽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실험 결과, 글자핵 내 초성과 중성의 자극강도가 같을 때 반응시간이 더 짧았으며(실험 1), 글자핵과 종성이 같은 강도일 때 반응시간이 더 짧았다(실험 2). 이 결과는 글자 사용 여부 판단과제에서 글자핵 및 글자 전체가 한 덩어리로 처리됨을 시사한다. 또한 전반적으로 횡모음 글자에 비해 종모음 글자가 더 잘 지각되었다. 한글 글자 지각 단위에 대한 논의가 있었다.

keywords
Hangul, kulca, gulja, letter, grouping, syllable block type, syllable usableness, 한글, 글자, 낱자, 집단화, 글자유형, 사용 여부

Abstract

Two experiments were planned to investigate the processing unit of Hangul syllable blocks using the task to judge whether a syllable is being used or not. Eighty-four syllable blocks were sampled and used from two kinds of syllable block types, horizontal vowels with finals and vertical vowels with finals, and three levels of syllable use frequency, high, middle, and low. Experiment 1 manipulated the stimulus intensity of initials and medials in a syllable body independently, and experiment 2 the stimulus intensity of syllable bodies and finals independently. Under the assumption that the intensity manipulation would have an effect on the grouping of parts in a syllable block, it could be concluded that the two parts are processed in a group if they show better performance when their stimulus intensities are equal than when unequal. The results showed that not only initials and medials (Exp. 1) but also syllable bodies and finals (Exp. 2) made shorter response time when their stimulus intensity were equal than when unequal. This indicates that both syllable bodies and syllable blocks are processed in a whole in Hangul perception. And syllable blocks with vertical vowels and finals were perceived better than those with horizontal vowels and finals. An issue about the processing unit of Hangul perception was discussed.

keywords
Hangul, kulca, gulja, letter, grouping, syllable block type, syllable usableness, 한글, 글자, 낱자, 집단화, 글자유형, 사용 여부

참고문헌

1.

(2001) 한글읽기 발달의 이론과 응용,

2.

(1989) 한글의 자모구성 형태에 따른 자모 및 글자 인식,

3.

(1982) 시각적 정보처리에 영향하는 요인과 글자의 지각적 집단화 및 지각학습,

4.

(1992) 한글 단어재인에 있어서 글자처리와 낱자의 지각,

5.

(1994) 한글 글자 맥락에서의 자모지각,

6.

(1997) 한글 사용빈도의 분석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7.

(1992) 한글 지각에서의 자소 통합과정 실험 및 인지,

8.

(1996) 음절이론과 국어의 음절구조 , 서울대출판부

9.

(1996) 한글 글자 처리의 단위 반복효과 연구 ,

10.

(2001) 주의과제를 이용한 한글 글자 처리단위의 연구 ,

11.

(1993) 한글 단어인지과정에서 표기법이 심성어휘집의 구조와 검색에 미치는 영향 실험 및 인지,

12.

(1995) 자모 대체 수행에 나타난 글자의 내부구조와 음절과의 관계 ,

13.

(1993) 이론과 실제, 홍릉과학출판사

14.

(1984) 한글 글자의 시각적 체제화,

15.

(1989) 한글 낱말의 처리단위,

16.

(1986) 음절수가 한글단어 재인반응시간에 미치는 영향,

17.

(2000) Effects of word frequency and spelling-to-sound regularity in naming with and without preceding lexical decision,

18.

(2006) Visual Processing of Hangul : the Korean Script.,

19.

(2004) Syllable processing in alphabetic Korean,

20.

(2004) Syllable processing in alphabetic Korean,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