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텍스트의 이해를 깊게 하기 위한 학습 책략 : 사전조직문 및 질문의 자가생성의 정교화 효과

Toward Deeper Comprehension of Texts: Elaboration Effects of Advanced Organizers and Self-Questioning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 The Korean Journal of Cognitive and Biological Psychology, (P)1226-9654; (E)2733-466X
1990, v.2, pp.75-89
김수연 (독일 하이델베르그 대학)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정교화'(elaboration)개념을 바탕으로 사전조직문 및 질문의 자가 생성이 인지 및 동기화 과정에서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사전조직문은 상위 개념 및 현실 참조 문맥(객관적/주관적)을 제시함으로써 작성하였으며, 학습자 스스로 질문을 하는 경우 질문의 수준을 조작하기 위하여 이해의 지평(horizons of comprehension)을 세 수준(1. 씌여진 내용자체의 이해 2. 그것을 넘어선 문제 제기의 수준 ; 3. 제1-제2수준의 통합적 형태)으로 나누었다. 실험결과, 사전조직문은 지적 학습결과(기억 및 이해 검사)에는 영향을 끼치지 못하였으나, 학습 동기화(관심도)에는 영향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실험 결과를 통하여 각 학습 책략의 효과를 최적화하기 위한 방안 및 학습 동기화를 위한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keywords

Abstract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elaboration effedts of advanced organizers and self-questioning on text comprehension and thematic interest. The advanced organizer is constituted in terms of inclusive concepts and reality referential contexts. By varing the referential context the two versions of organizer text were produced: objective vs. subjective organizer. The self-questioning is manipulated in terms of levels of elaboration, which represent the horizons of comprehension: text-bounded level, beyond-the-text going level, and integrated level of these two. On each independent variables(the experimenter-generated organizer texts and the subject-generated questions) the treatment check was conducted. As a result, the advanced organizer showed no effect on cognitive tearing outcomes, which are measured by verbatim memory test and comprehension test. But it exerted significant effects on arousing thematic interest. The self-questioning was effective on enhancing not only cognitive learning outcomes but also interest. It is notable that the highst test scores result from asking questions at the beyond-the-text goint level of comprehension. It needs further research based on more specified motivational theories to explain the disordinal interaction effect on interest.

keywords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