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순막조건반응과 소뇌 치상-중간핵의 다단위 신경활동에 적핵손상이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ntralateral Red Nucleus Lesions on the Conditioned Nictitating Membrane Response and Neuronal Response of Cerebellar Dentato - interpositus Nucleus in Rabbits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 The Korean Journal of Cognitive and Biological Psychology, (P)1226-9654; (E)2733-466X
1990, v.2, pp.79-92
최준식 (고려대학교 심리학과)
김기석 (고려대학교 심리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토끼 순막반응의 고전적 조건화 동안 소뇌 치상 - 중간핵의 다단위 신경활동을 기록하고 대측 적핵 손상이 순막조건반응과 치상-중간핵의 신경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다단위 신경활동은 조건화가 진행되는 동안 순막반응과 함께 발달하는 양상을 보였다. 적핵 손상 후에는 순막 무조건 반응은 영향을 받지 않았지만 조건화된 순막반응은 완전히 사라졌다. 신경활동은 다소 감소하였으나 파괴전과 비교할 때, 또 적핵이외의 구조물이 손상된 통제집단과 비교해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관찰되지는 않았다. 본 연구는 토끼의 소뇌 치상 - 중간핵의 신경활동이 조건화와 깊은 관련을 맺고 있으며, 소뇌로부터 원심성 입력을 받는 적핵을 손상하면 조건화된 반응이 사라진다는 이전 연구들을 지지한다. 그러나 적핵손상 후에 소뇌 치상 - 중간핵의 신경활동이 감소하는 것은 선행연구들로는 설명되지 않는 결과로서 더욱 정교한 방법을 이용한 후속실험의 여지를 남겼다.

keywords

Abstract

Multiple unit activity(MUA) was recorded from the cerebellar dentato-interpositus nucleus during classical conditioning of the nictitating membrane response(NMR) in 12 rabbits, with the use of a tone conditioned stimulus(CS: 1kHz, 85㏈ 300msec), and an airpuff unconditioned stimulus(US:100g/cm<sup>2</sup>, 100msec). Comparisons of MUA with the amplitude-time course of NMR show that they are closely related and it supports previous studies that cerebellum is critically involved in acquisition of conditioned NMR. Following 5 days of the acquisition trainning, contralateral red nucleus(RN) was lesioned electrolytically. Results show that lesions of the RN completely abolished the previously established CR but not UR. No signs of CR recovery was seen after the additional 2 days of relearning period. This result is consistent with previous studies which have demonstrated that RN is an essential locus mediating the classically conditioned NMR. Neuronal responses were decrease after lesion. Even though this decrease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t suggests that red nucleus does not only relay CR to the accessory abducens nucleus but also has some effect on cerebellar neuronal activity through another unidentified pathway.

keywords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