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균일연결성과 보고과제 유형이 순간 노출된 형태의 지각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Uniform Connectedness and Report Task Type on the Perception of Brief Displays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 The Korean Journal of Cognitive and Biological Psychology, (P)1226-9654; (E)2733-466X
2008, v.20 no.2, pp.39-54
https://doi.org/10.22172/cogbio.2008.20.2.001
박창호 (전북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순간 노출된 형태를 식별하는 과제를 사용한 선행 연구(박창호, 2001, 2004a)에서 균일하게 연결된 형태가 한 단위로 지각된다는 균일연결성 가설을 지지하는 증거를 얻지 못하였다. 즉 자극판에서 서로 연결된 두 부분이 같은 모양(반복) 조건에서, 다른 모양(상대) 조건에 비해, 표적의 탐지율이 떨어졌다. 그러나 이 같은 부적 반복효과는, 상대 조건의 자극판에서 명명이 더 쉽거나 부분의 연결(연속)성이 더 좋았기 때문에 관찰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본 연구는 이를 검토하기 위해 세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1은 자극판의 두 부분이 같은 반복제시 자극판에 대한 명명이 더 쉽게 자극판을 구성하였으며, 실험참가자로 하여금 자극판 전체를 보고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예상대로 부적 반복효과가 관찰되지 않았다. 실험 2에서는 좋은 연속성을 통제한 자극판을 만들고, 이에 대한 전체 보고를 요구하였는데, 역시 부적 반복효과가 관찰되지 않았다. 두 실험 모두에서 균일연결성의 효과도 관찰되지 않았다. 이처럼 아무 효과도 얻지 못한 것이 자극판 구성의 문제점 때문인지를 알아보기 위해, 실험 3은 실험 2와 같은 자극판에서 자극판을 순간 노출시킨 다음 후단서를 제시하여 그것이 가리키는 표적 형태의 정체만 보고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부적 반복효과는 관찰되었으나 균일연결성 효과는 관찰되지 않았다. 이 결과는 순간 노출된 형태의 식별에 균일연결성의 효과가 없음을 시사하며, 보고과제가 유도하는 주의과정이 자극판의 처리 양상에 중대한 영향을 미침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상이한 결론을 내린 다른 선행연구들과 관련하여 지각과제의 특성과 균일연결성의 기능을 논의하였다.

keywords
uniform connectedness, negative repetition effect, namability, good continuation, report task, uniform connectedness, negative repetition effect, namability, good continuation, report task, 균일연결성, 부적 반복효과, 명명 용이성, 좋은 연속성, 보고과제

Abstract

The previous studies (Park, 2001, 2004a), using identification task of brief displays, did not obtain evidence supporting the hypothesis of uniform connectedness (i.e., UC) that uniformly connected forms are processed as a single unit. Negative repetition effect (i.e., NRE) which was observed in these studies and led to this conclusion might be caused by easy namability or good continuation of the alternative displays. NRE means that target detection rates are lowered in the repetitive displays than in the alternative displays. Three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test the UC hypothesis. In experiment 1, where the repetitive displays were 'M' or 'W' in shape for ease of naming, no NRE was observed. In experiment 2, where good continuation between two parts was controlled among the displays, there was also no NRE. And no UC effect was observed in both experiments, that is, UC displays were not identified more accurately than disconnected displays. To test that these null results might be caused by the improper stimulus displays, Experiment 3 applied post-cueing forced-choice task to the same displays used in Experiment 2, and observed NRE but still no UC effect. This results indicated that UC had no influence on the perception of briefly exposed displays, irrespective of namability and good continuation, and the type of report task and its related attentional processing might have an affect on the mode of processing of the whole display.

keywords
uniform connectedness, negative repetition effect, namability, good continuation, report task, uniform connectedness, negative repetition effect, namability, good continuation, report task, 균일연결성, 부적 반복효과, 명명 용이성, 좋은 연속성, 보고과제

참고문헌

1.

박창호, (2001) 균일연결성이 순간 노출된 형태의 지각에 미치는 영향, 인지과학

2.

박창호, (2004) 형태의 조직화에서 균질 연결성의 의의, 인지과학

3.

박창호, (2004) 순간 노출된 영역의 지각에서 균질 연결성의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4.

박창호, (2005) 전역 및 국지 수준의 처리가 공간주의의 분포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5.

Ankrum, C., (1991) Memory for objects and parts, Perception & Psychophysics

6.

Han, S., (1999) Uniform connectedness and classical Gestalt principles of perceptual grouping, Perception & Psychophysics

7.

Goldstein,E.B., (2007) Sensation and Perception, Thomson Learning Inc.

8.

Kwak, H.W., (1993) Time courses of the negative and positive repetition effects,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Human Perception and Performance

9.

Palmer,S.E., (2002) Perceptual Organization in Vision in:Stevens' Handbook of Experimental Psychology (3rd Ed.) Volume 1: Sensation and Perception. (Chapter 5), John Wiley & Sons, Inc.

10.

Palmer, S. E., (1994) Rethinking perceptual organization: The role of uniform connectedness, Psychonomic Bulletin & Review

11.

Pomerantz,J.R., (1981) Perceptual organization in?information processing in:Perceptual Organization, Erlbaum

12.

Saiki, J., (1998) Connectedness and the integration of parts with relations in shape perception,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Human Perception and Performance

13.

Santee, J. L., (1982) Do reaction time and accuracy measure the same aspects of letter recognition,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Human Perception and Performance

14.

Watson, S.E., (1999) Object-based visual selective attention and perceptual organization, Perception & Psychophysics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