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6-9654
  • E-ISSN2733-466X
  • KCI

한국인과 일본인의 영어 자음 지각 비교

Perception of English consonants in Koreans and Japanese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 The Korean Journal of Cognitive and Biological Psychology, (P)1226-9654; (E)2733-466X
2009, v.21 no.2, pp.111-128
https://doi.org/10.22172/cogbio.2009.21.2.004
배문정 (서울대학교)
김정오 (서울대학교)

초록

한국인 22 명과 한국에 거주하는 일본인 12 명을 대상으로 영어 초성에 대한 지각을 조사하고, 두 언어민들이 영어 자음을 범주화하는 심리적 구조를 비교하였다. 통제 비교를 위해, 영어민 4 인의 지각 혼동을 함께 조사, 분석하였다. 음성 자극은 영어 19 개 자음이 ‘a’ 모음과 함께 발음된 개음절이었다. 실험에서 음성 자극은 백색 소음에 중첩되어 제시되거나 소음 없이 정상적으로 제시되었다. 청취자들이 음성 자극을 판단한 반응 결과는 자음들 간의 혼동 행렬로 구성되었으며, 이 행렬에 대해 가산군집분석, 개별차이척도법 및 정보전달율을 계산하였다. 가산군집분석 결과, 한국인이 가장 많이 혼동하는 영어 자음쌍은 /ʤ/-/z/, /s/-/ɵ/, /b/-/v/, /d/-/ð/로 조음 위치가 같은 폐쇄음과 마찰음 쌍이었으며, 일본인은 /l/-/r/, /s/-/ɵ/, /z/-/ð/, /f/-/ɵ/로 조음 방법은 같으나 조음위치가 다른 소리 쌍이었다. 소음 조건의 혼동 결과에 개별차이척도법을 적용하고, 각 언어민에서 4 개의 유의한 기저 차원을 추출하였다. 이 차원 구조를 영어민 자료와 비교한 결과, 영어민의 경우, 차원 구조에서 음운적 부류가 뚜렷하게 드러나는 반면, 한국인과 일본인의 차원 구조는 분산적이고 경계가 모호하였다. 이는 모국어와 외국어 음운 지각의 차이를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 소음 조건에서 한국인과 일본인의 심적 차원 구조는 거의 유사하였다. 구체적인 음운 자질들의 심리적 사용을 조사하기 위해, SPE(Sound Pattern of English) 자질들(Chomsky & Halle, 1968)의 정보 전달율을 분석하였다. 한국인과 일본인, 영어민의 비교에서 특이한 점만을 열거하면, 첫째, 한국인 자료에서는 조음 방법의 자질들인 지속성(continuant)과 방출 지연(delayed release)의 정보전달율이 상당히 낮았다. 둘째, 일본인들은 다른 언어민에 비해, /l/의 변별 자질인 설측성(lateral)의 전달율이 낮았고, 조음위치를 전방성(anterior) 자질을 중심으로 판단하였다. 셋째, 영어민 자료에서 특기할만한 점은 유성성(voiced) 자질의 정보전달율이 낮게 나타난 것이다. 이는 현대 영어에서 /ð/-/ɵ/의 음운적 대립이 약해진 것을 반영하는 듯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한국인과 일본인은 모두 영어 음운을 지각할 때 큰 어려움을 겪지만, 그 구체적인 양상은 다르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는 외국어 음운을 지각할 때, 모국어의 음운 구조가 큰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외국어 음운 학습을 위한 전략은 학습자의 모국어 음운 구조에 따라 달라져야 함을 시사한다.

keywords
외국어 음운, 영어 자음, 한국인, 일본인, 지각 혼동, foreign language acquisition, English consonants, Korean, Japanese, perceptual confusion

Abstract

Twenty two Koreans and twelve Japanese living in South Korea have been examined for their perceptual identification of an initial consonant in English syllables with or without white noise. A confusion matrix was then subject to analyses of additive clustering, individual difference scaling, and the probability of transmitted information, the results of which were compared to those of four English speakers living in South Korea. Koreans were confused with sounds which have the same place of articulation but the different manner of articulation (closure and continuant) like /ʤ/-/z/, /s/-/ɵ/, /b/-/v/, /d/-/ð/ pairs. Japanese were confused with the sounds which have the same manner of articulation but the different place of articulation like /l/-/r/, /s/-/ɵ/, /z/-/ð/, and /f/-/ɵ/ pairs. The overall results showed that Korean and Japanese who were assumed to have the same difficulties in perceiving English consonants actually have the quite different error patterns with English consonants. These difference might be caused by their perceptual structure with mother language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method for acquisition of English phonology should be modified depending on learner's phonology of mother language.

keywords
외국어 음운, 영어 자음, 한국인, 일본인, 지각 혼동, foreign language acquisition, English consonants, Korean, Japanese, perceptual confusion

참고문헌

1.

구희산 (1998). 영어음성학. 서울: 한국문화사.

2.

김윤현 (2007). 선택적 주의가 한국어 치조 연음과 격음의 변별에 미치는 영향: 한국어 모국어 화자 대 일본어 모국어 화자. 박사학위 청구논문. 서울대학교.

3.

김숙자 (2007). 일본어 음성교육. 서울: 제이앤씨

4.

민광준 (2002). 일본어 음성학 입문. 서울: 건국대학교 출판부

5.

배문정 (2003). 최소대립쌍 단어들을 통해 본 한국인의 영어 자음 지각. 미발표.

6.

배문정, 김정오 (2002). 한국어 자음의 지각적 구조. 한국심리학회지: 실험 및 인지, 14(4), 375-408.

7.

배문정, 김정오 (2008). 일본인이 지각하는 한국어 자음의 구조. 인지과학, 19(2), 163- 175.

8.

신현정 (2004). 범주화와 개념학습. 서울: 아카넷.

9.

양병곤 (2005). 대학생들의 영어자음 인지 연구, 음성과학, 12(3), 139-151.

10.

Best, C. T. (1995) A direct realist view of cross-language speech perception . In W. Strange (Ed.), Speech Perception and Linguistic Experience: Issues in Cross-language Research. (pp. 171–203). Baltimore: York Press.

11.

Carroll, J. D., & Wish, M. (1974). Models and methods for three-way multidimensional scaling. (pp. 57-105) In D. H. Krantz, R. C.Atkison, R. D. Luce, & P. Suppes. (Eds.), Contemporary Developments in Mathematical Psychology, Vol. II, San Fransisco: Freeman.

12.

Chomsky, N., & Halle, M. (1968). The Sound Pattern of English. New York: Harper and Row. (Reprinted MIT Press, 1991.)

13.

Flege, J. E. (1987). The production of ‘'new’' and ‘'similar’' phones in a foreign language: Evidence for the effect of Equivalence Classification, Journal of Phonetics 15, 47-65.

14.

Flege, J. E. (1995). Second language speech learning theory, findings, and problems. In W. Strange, (Ed.), Speech Perception and Linguistic Experience: Issues in Cross-language Research (pp, 233 –277). Baltimore: York Press.

15.

Garner, W. R. (1978). Aspects of a stimulus: Features, dimensions, and configurations. In E. Rosch & B. B. Lloyd (Eds.), Cognition and Categorization. Hillsdale, NJ: Erlbaum.

16.

Ingram, J. & Park, S-G. (1998). Language, context and speaker effects in the identification and discrimination of English /r/ and /1/ by Japanese and Korean listeners,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103(2). 1161-1174.

17.

Lee, M. D. (2001). On the complexity of additive clustering models. Journal of Mathematical Psychology, 45, 131-148.

18.

Logan, J. S., Lively, S. E., & Pisoni, D. B. (1991). Training Japanese listeners to identify English [r] and [l]: A first report.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89, 874-886.

19.

Miller, G. A. and Nicely, P. E. (1955). An analysis of perceptual confusions among some English consonants.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27, 623-638.

20.

Mitchell, L. M. & Singh, S. (1974). Perceptual structure of 16 prevocalic English consonants sententially embedded.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55, 1355-1357.

21.

Nosofsky, R. M. (1986). Attention, similarity, and the identification-categorization relationship.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General, 115, 39-57.

22.

Park, S.-G.(1997). Australian English pronunciation acquisition by Korean and Japanese learners of English. Unpublished Ph. D. dissertation, Department of English, University of Queensland.

23.

Shepard, R. N. (1972). Psychological representation of speech sounds. In E. E. David, Jr. and P. B. Denes, (Eds.), Human communication : A unified view (pp. 67-113). NY: McGraw-Hill.

24.

Tversky, A. & Gati, I. (1982). Similarity, separability, and the triangle inequality. Psychological Review, 89, 123-154.

25.

Tversky, A. (1977). Features of similarity. Psychological Review 84 (4), 327-352.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