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돋음색 훈련에 의한주의 능력 향상과 주의 깜박임 제거

Removal of Attentional Blink and Attention Capacity Improvement through the Color-Salient Training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 The Korean Journal of Cognitive and Biological Psychology, (P)1226-9654; (E)2733-466X
2016, v.28 no.1, pp.205-212
https://doi.org/10.22172/cogbio.2016.28.1.010
홍락균 (한림대학교 심리학과)
최훈 (한림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일련의 자극들이 연달아 빠르게 제시되는 신속순차제시에서 두 표적을 식별해내려고 할 때, 첫 번째 표적 제시 후 0.2초에서 0.5초 이내에 제시되는 두 번째 표적의 식별에 어려움을 겪는 현상을 주의 깜박임이라고 한다. 최근 연구는 식별성이 증가된 두 번째 표적을 사용한 ‘돋음색 훈련’이라고 하는 훈련과정을 통해서 주의 깜박임이 제거됨을 보고하였다. 돋음색 훈련이 우리의 주의통제 능력을 강화시킨다는 기존의 주장에 반해, 훈련 회기 동안의 반복적인 자극 노출이 야기하는 시지각 학습이 그 주된 이유라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본 연구는 돋음색 훈련 효과에 대한 시지각 학습 가설을 검증하고자, 사전 검사 1회기 - 돋음색 훈련 2회기 - 사후 검사 1회기로 구성된 실험을 수행하였다. 전체 4회기의 실험 내내 숫자가 표적으로 영어 알파벳 문자가 방해자극으로 사용되었다. 표적으로 사용된 숫자는 총 여덟 개 였는데, 이 중 무선적으로 선택된 절반인 네 개만이 돋음색 훈련에 사용되었고, 사전, 사후 검사를 통해 훈련 회기에서 사용되지 않았던 다른 네 개의 숫자를 표적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도 훈련 효과가 발생하여 주의 깜박임이 제거되는지를 확인하였다. 실험 결과, 훈련 회기에서 사용되지 않았던 숫자에 대해서도 훈련 효과가 전이되어 주의 깜박임이 제거되었으며, 이는 돋음색 훈련의 효과가 단지 훈련 기간 동안 표적이 반복적으로 노출되는 것에 따른 지각 능력의 향상이 아닌, 주의 능력이 향상된 결과로서 표적을 탐지하고 방해자극을 억제하는 주의 통제 기제에 영향을 미친다는 기존의 가설을 지지하였다.

keywords
attentional blink, color-salient training, attentional mechanism, visual perceptual learning, 주의 깜박임, 돋음색 훈련, 주의기제, 시지각 학습

Abstract

When participants are asked to identify two targets embedded in a rapid serial visual presentation (RSVP), they hardly identify the second target that is presented within 200-500ms after the first target. This is called an attentional blink (AB). A recent study reported that AB can be removed by the color-salient training in which the second target within 200-500ms is presented in a salient color. The study suggested that the training effect is caused by an improvement of our attentional control mechanism, which is responsible for both target selection and distractor inhibition. Alternatively, however, the training effect might be understood as a result of visual perceptual learning evoked by repetitive exposure to stimuli during the training. The current study tested these two hypotheses through an experiment that consisted of four sessions: a pre-test session, two color-salient training sessions, and a post-test session, in that order. All sessions employed number targets and alphabet letter distractors in RSVP. During the training, only half of eight numbers (from 2 to 9) were randomly selected as targets. Our results showed that even when untrained numbers, which were not used in the training, were employed as targets in the post-test, the training effects occurred, resulting in removal of AB. It supported the hypothesis that the color-salient training effect occurs not as a result of the visual perceptual learning but as a result of improvement in our attentional capacity.

keywords
attentional blink, color-salient training, attentional mechanism, visual perceptual learning, 주의 깜박임, 돋음색 훈련, 주의기제, 시지각 학습

참고문헌

1.

김기연 (2014). 신속순차제시에서 표적 현출성이 주의깜박거림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최 훈, 홍락균 (2015). 돋음색 훈련을 통한 주의 깜박임 제거 효과의 전이 가능성.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27(1), 23-40.

3.

Brainard, D. H. (1997). The Psychophysics Toolbox. Spatial Vision, 10(4), 433-436.

4.

Braun, J. (1998). Vision and attention: the role of training. Nature, 393, 424-425.

5.

Choi, H., Chang, L. H., Shibata, K., Sasaki, Y., & Watanabe, T. (2012). Resetting capacity limitations revealed by long-lasting elimination of attentional blink through training.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109, 12242- 12247.

6.

Choi, H., & Watanabe, T. (2014). Can attenuation of attentional blink also evoke removal of repetition blindness? Vision Research, 99, 141-147.

7.

Chun, M. M., & Potter, M. C. (1995). A two- stage model for multiple target detection in RSVP.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Human Perception and Performance, 21, 109-127.

8.

Fahle, M., & Poggio, T. (2002). Perceptual learning. MIT Press.

9.

Pelli, D. G. (1997). The Video Toolbox software for visual psychophysics: transforming numbers into movies. Spatial Vision, 10(4), 437-442.

10.

Raymond, J. E., Shapiro, K. L., & Arnell, K. M. (1992). Temporary suppression of visual processing in an RSVP task: An attentional blink?.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Human Perception and Performance, 18(3), 849-860.

11.

Watanabe, T., Náñez, J. E., & Sasaki, Y. (2001). Perceptual learning without perception. Nature, 413(6858), 844-848.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