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약호화-인출 합치도와 그림재료의 응집성이 기억에 미치는 효과 (2)

The Effects of Encoding-Retrieval Compatibility and Cohesiveness of Pictorial Materials on Memory(II)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 The Korean Journal of Cognitive and Biological Psychology, (P)1226-9654; (E)2733-466X
1991, v.3, pp.34-47
김정호 (덕성여자대학교)
이만영 (고려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김정호(1985a)에서 인출조건을 조절하여 약호화-인출 합치도를 맞추고 그림재료의 응집성이 기억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본 것과는 달리 약호화 조건을 조절하여 약호화-인출 합치도를 맞추고 그림재료의 응집성이 기억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두개의 실험을 실시하였다. 두개의 실험을 통해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새로운 그림재료(장군그림)를 통해서도 기존의 연구에서 사용한 그림재료(소녀그림)에서처럼 부분의 모양에 대한 재인검사에서 부분집단이 총체집단보다 우수한 기억수행을 보였다. 둘째, 유사한 실험(장군그림기억실험)에 한번 참여함으로써, 소녀그림재료의 사용에서 총체집단과 부분집단간에 부분의 모양에 대한 재인기억에는 차이가 없어졌다. 그러나 이러한 결과는 즉시검사에서만 나타난 것으로, 일주일 후의 지연검사에서는 다시 부분집단이 총체집단 보다 우수한 기억을 보였다. 세째, 동일한 피험자들이 참여한 또다른 유사한 실험(로보트그림기억실험)에서는 즉시검사 뿐만 아니라 일주일 후의 지연검사에서도 총체집단과 부분집단 간에 부분의 모양에 대한 재인기억에 차이가 없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결과에 대한 논의가 제시되었다.

keywords

Abstract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study the effects of encoding-retrieval compatibility and cohesiveness of pictorial materials on memory of descriptive information of parts with two types of pictorial materials : whole plicture (whose parts are contiguous to each other and make a meaningful whole) and part picture (whose parts are not contiguous to each other nor make a meaningful whole). Previous studies showed that non-cohesive picture(part picture) were better than cohesive picture (whole picture) in memory of descriptive information of parts. However, Kim (1985) showed no effects of pictorial cohesiveness on memory of descriptive information of parts when the encoding-retrieval compatibilities of whole group (who learned the whole picture) and part group (who learned the part picture) were controlled to be the same. Kim (1985) controlled the encoding-retrieval compatibility by manipulating the retrieval condition. The present study replicated the results of Kim(1985) controlling the encoding-retrieval compatibility by the manipulation of the encoding condition. With the results the effects of encoding-retrieval campatibility and cohesiveness of pictorial materials on memory are discussed.

keywords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