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6-9654
  • E-ISSN2733-466X
  • KCI

그림-단어 간섭 과제에서 방해단어의 의미관련성과 단어빈도의 영향

The Effect of Semantic Relatedness and Word Frequency of Distractor words in Picture-Word Interference Task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 The Korean Journal of Cognitive and Biological Psychology, (P)1226-9654; (E)2733-466X
2023, v.35 no.3, pp.213-227
이고은 (목포대학교 교양학부)
정다운 (이화여자대학교 심리학과)
이혜원 (이화여자대학교 심리학과)

초록

그림-단어 간섭 과제에서 표적그림은 방해단어와 함께 제시된다. 참가자는 방해단어를 무시하면서 표적그림을 빠르게 명명해야 한다(예, 사과 그림에 대해 ‘사과’라고 명명). 실험 1에서는 표적에 대한 방해단어의 의미적 관련성이 표적 처리에 미치는 영향을 한국어 자극을 사용하여 검토하였다. 실험 결과, 방해단어가 표적과 의미적으로 관련될 때가 그렇지 않을 때에 비해 표적의 명명시간이 길어지는 의미 간섭 효과를 확인하였다. 실험 2에서는 방해단어의 의미관련성과 단어빈도를 함께 조작하여 방해단어의 빈도가 의미 간섭 효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검토하였다. 실험 결과, 표적의 명명시간은 비관련 빙해단어에 비해 관련 방해단어에서 길었고(의미 간섭 효과), 고빈도 방해단어에 비해 저빈도 방해단어에서 길었다(빈도 효과). 방해단어의 의미관련성과 빈도 간 상호작용은 관찰되지 않았다. 의미 간섭 효과는 두 빈도 조건에서 모두 유의하게 나타났고, 빈도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는 의미 간섭 효과가 어휘 후 음성 산출 수준에서 발생한다고 보는 비경쟁적 관점을 지지한다고 할 수 있다.

keywords
그림-단어 간섭 과제, 의미 간섭 효과, 의미관련성, 단어빈도, 한국어, picture-word interference task, semantic interference effect, semantic relatedness, word frequency, Korean language

Abstract

In the picture-word interference task, the target picture is presented with the distractor word. Participants should quickly name the target picture while ignoring the distractor word (e.g., name ‘apple’ for a picture of an apple). In Experiment 1, we examined the influence of the semantic relatedness of the distractor word on target processing using Korean stimuli.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we observed the semantic interference effect, whereby the naming time of the target picture was longer when the distractor word was semantically related to the target picture compared to when it was unrelated. In Experiment 2, we manipulated the semantic relatedness and frequency of the distractor wor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distractor word frequency on the semantic interference effect. The results showed that the naming time of the target picture was longer for the related distractor than for the unrelated distractor (semantic interference effect). Additionally, the naming time was longer for the low frequency distractor than for the high frequency distractor (frequency effect). There was no interaction between the semantic relatedness and frequency of the distractor word. The semantic interference effect was significant in both frequency conditions, and did not vary according to frequency. These findings provide support for non-competitive theories, which suggest that interferences occur at the post-lexical response output level.

keywords
그림-단어 간섭 과제, 의미 간섭 효과, 의미관련성, 단어빈도, 한국어, picture-word interference task, semantic interference effect, semantic relatedness, word frequency, Korean language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