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기본정서 얼굴표정에 대한 한국인의 정서지각 특성: 자유명명과제와 확장 다지선다과제의 수렴적 결과를 중심으로

Characteristics of Koreans’ Emotion Perception of Basic Emotion Facial Expressions: Focusing on Convergent Results of Free-labeling Task and Expanded Choice-from-array Task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 The Korean Journal of Cognitive and Biological Psychology, (P)1226-9654; (E)2733-466X
2023, v.35 no.4, pp.263-302
https://doi.org/10.22172/cogbio.2023.35.4.003
양현보 (부산대학교 심리학과)
김나현 (부산대학교 심리학과)
홍다영 (부산대학교 심리학과)
윤홍옥 (제주대학교 영어영문학과)
이동훈 (부산대학교 심리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진화적 정서 이론에 따르면 사람들은 몇 가지 기본정서표정에서 기쁨, 분노, 공포, 슬픔, 혐오, 놀람 등의 정서를 인종과 문화에 걸쳐 일관되게 지각한다. 이러한 문화보편성 가정은 국내외 정서 분야에 널리 수용되고 있으나, 일각에서는 정서 연구에서 사용하는 다지선다과제의 방법론적 문제점이 정서지각의 문화차를 축소시킨다는 주장이 제기된다. 본 연구는 기존 다지선다과제의 문제점을 보완하는 두 개의 과제를 실시하여 한국인, 일본인, 백인 기본정서표정을 대상으로 한국인의 정서지각을 확인하였다. 연구 1에서는 참가자가 지각한 정서를 자유롭게 응답하는 자유명명과제를 실시한 뒤 한국어 감정단어 자료집을 토대로 참가자 응답의 정서 범주를 분류하였다. 분석 결과, 공포 표정의 경우 표적 정서인 공포보다 놀람과 관련된 명칭이 더욱 자주 명명되었으며, 혐오 표정의 경우 혐오 관련 명칭과 분노 관련 명칭이 각각 유사한 빈도로 명명되는 특성이 관찰되었다. 더불어, 공포 및 혐오 표정의 경우 한국인 얼굴 자료집에서 백인/일본인 얼굴 자료집보다 표적 정서 응답률이 더욱 높은 내집단 이득이 관찰되었다. 기쁨, 슬픔, 분노, 놀람 기본정서표정의 경우 표적 정서와 관련된 명칭이 높은 빈도로 응답되었다. 연구 2에서는 자유명명과제를 통해 수집된 24개의 고빈도 명칭을 응답 선택지로 제시하는 확장 다지선다과제를 실시하여 연구 1과 동일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공포 표정에서는 놀람 관련 명칭이, 혐오 표정에서는 분노 관련 명칭이 주요하게 보고되는 경향이 다시금 관찰되었으며, 혐오 표정의 경우 한국인 얼굴에서 일본인 얼굴보다 표적 정서 응답률이 더욱 높은 내집단 이득이 관찰되었다. 추가적으로, 참가자 응답에 대하여 군집분석 및 다차원척도법을 실시한 결과, 두 과제 모두에서 6가지 기본정서표정이 기쁨, 슬픔, 분노, 놀람 정서를 반영하는 4개 군집을 형성하는 특성이 관찰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인종과 문화에 걸쳐 각각의 기본정서표정에서 표적 정서가 지각된다는 문화보편성 가정과 달리, 한국인이 공포 및 혐오 기본정서표정을 문화보편적인 방식으로 지각하지 않음을 보여준다. 한국인은 기본정서표정을 네 가지 양상으로 범주화하며 이때 공포 표정을 놀람 표정으로, 혐오 표정을 분노 표정으로 지각하는 특징을 보인다. 더불어, 본 연구에서 참가자에게 기본정서표정에서 지각한 정서를 자유명명하게 하거나 폭넓은 정서 명칭을 선택지로 제시하자 표적 정서 이외의 정서가 더욱 주요하게 응답된 결과는 자유명명과제가 다지선다과제의 제한점을 보완하며 정서지각의 문화적 특성을 파악하는 효과적인 대안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keywords
facial expressions of basic emotions, free-labeling task, choice-from-array task, clustering analysis, multidimensional scaling, 기본정서표정, 자유명명과제, 다지선다과제, 군집분석, 다차원척도법

Abstract

Evolutionary theories of emotion suggest that people consistently perceive emotions such as happiness, anger, fear, sadness, disgust, and surprise from several facial expressions of basic emotions across races and cultures. Although the universality hypothesis about basic emotion expressions is widely accepted in emotion fields, some argue that the methodological problems of choice-from array task commonly used in emotion research make it difficult to identify cultural differences in emotion perception.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perception of basic emotions expressed on Korean, Japanese, and Caucasian faces by using two tasks that addressed issues with the traditional choice-from-array task. In Study 1, we conducted a free-labeling task in which participants freely generated emotion labels upon the recognition of emotional faces, and we subsequently categorized the verbal responses they produced. The results revealed that for faces expressing happiness, sadness, anger, and surprise, emotion labels were predominantly aligned with the intended target emotions. However, for faces expressing disgust, approximately half of the expressed labels belonged to the disgust category, while the other half belonged to the anger category. Verbal labels for faces expressing fear were predominantly associated with surprise rather than fear. Additionally, for facial expressions of disgust and fear, we observed an ingroup advantage, where response rates for the target emotion were higher for Korean faces compared to Caucasian and Japanese faces. In Study 2, we repeated the same analysis using an extended choice-from-array task with 24 high-frequency emotion labels collected from Study 1. The results indicated that labels related to anger were more frequently selected for expressions of disgust, and labels related to surprise were more likely to be associated with expressions of fear. An ingroup advantage was also observed for Korean faces displaying disgust compared to Japanese faces displaying disgust. Clustering analysis and multidimensional scaling revealed that the six basic emotional expressions were grouped into four separate clusters corresponding to happiness, sadness, anger, and surprise,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contrary to the general assumption that the six basic emotions are universally and independently perceived, Koreans tend to perceive expressions of disgust as anger and perceive expressions of fear as surprise. Taken together, our findings indicate that Koreans do not interpret disgust and fear from faces expressing those emotions in a ‘culturally universal way’. We suggest that the free-labeling task serves as an effective alternative to mitigate the methodological limitations of the choice-from-array task, particularly in identifying cultural differences in emotion perception across languages and societies.

keywords
facial expressions of basic emotions, free-labeling task, choice-from-array task, clustering analysis, multidimensional scaling, 기본정서표정, 자유명명과제, 다지선다과제, 군집분석, 다차원척도법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