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6-9654
본 연구는 한국어 용언 어절 시각 재인에서 첫음절 토큰 빈도의 효과가 명사 어절 재인과 동일하게 나타나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3음절 어절 151개, 4음절 어절 150개를 사용하여 시각 어절 판단 과제를 시행하였으며, 첫음절 토큰 빈도, 어간 빈도, 어절 빈도를 선형 혼합 모형에 투입하였다. 분석 결과, 3음절 어절에서 첫음절 토큰 빈도의 촉진 효과가 유의하였으며, 어절 빈도의 효과 또한 유의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4음절 어절에서는 첫음절 토큰 빈도의 효과가 유의하지 않았으며, 어근 빈도만이 유의한 촉진 효과를 보고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첫음절 토큰 빈도의 촉진 효과가 품사에 제한되지 않는 현상임을 부분적으로 지지한다고 볼 수 있으며, 음절 수 길이에 따라 용언 어절 역시 처리 전략이 달라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whether the effect of the first syllable token frequency in visual recognition of Korean predicate Eojeol is similarly reported as noun Eojeol recognition. A total of 151 tri-syllabic Eojeols and 150 quad-syllabic Eojeols were used in lexical decision task. The linear mixed-effect model included variables of the first syllable token frequency, stem frequency, and Eojeol frequency. The analysis results showed a significant facilitative effect of the first syllable token frequency in tri-syllabic Eojeols, as well as a significant effect of Eojeol frequency. However, in quad-syllabic Eojeols, the effect of the first syllable token frequency was not significant, while only stem frequency showed a significant facilitative effect. These results partially support the notion that the facilitative effect of the first syllable token frequency is not restricted to specific parts of speech. Additionally, it suggests that the influence of the first syllable may vary depending on the level of morphological changes in predicate Eoje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