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6-9654
선행 글의 맥락과 대명사의 통사적 단서가 즉각적인 대명사 참조해결과정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기 위해서 세 개의 실험이 실시되었다. 실험 1에서는 문장읽기과제를 사용하였는데 성변단서가 명료한 조건에 비해서 애매한 조건의 읽기 시간이 빨랐다. 그리고 대명사와 선행어 간의 격이 일치하는 조건이 불일치하는 조건에 비해서 읽기시간이 빨랐다. 실험 2는 실험설계만 변경하여 실험 1의 결과를 반복하고자 하였다. 역시 성별단서가 명료한 조건이 애매한 조건에 비해서 읽기시간이 빨랐고, 대명사와 선행어 간의 격이 일치하는 조건이 불일치하는 조건에 비해서 읽기시간이 빨랐다. 실험 3은 그것의 효과가 대명사를 읽는 시점에서 즉각적으로 작용되는지를 살펴보기 위해서 마디읽기과제를 실시하였다. 대명사를 읽는 시점에서는 두 변인이 읽기시간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지만 대명사의 성별단서와 대명사 격의 이월효과가 관찰되었다. 모든 실험에서 나타난 결과를 종합하면 대명사의 통사적 단서가 우선적으로 참조해결에 작용할 가능성과 글의 맥락적 제약은 통사적 단서에 비해서는 비교적 후발적으로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대명사의 참조해결은 문장을 이해하면서 점진적인 방식으로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on-line comprehension processsing in terms of the referential resolution of pronoun. The important question of on-line processing is the immediacy of processing. The immediacy of processing is conceptualized not funtion of time course, but the satisfaction of multiple constraints. These constraints include gender cue of pronoun, antecedent case and pronoun case, In experiment 1, using sentence reading task, The main effect of gender cue and case constancy, the interaction of pronoun case and case constancy were obtained, In experiment 2, The replication of Experiment 1 was conducted and the same results was obtained, In experiment 3, using phrase reading task, There are no readig time differences when the phrase of pronoun was reading. But the spill-over effect of pronoun reading time to gender cue and pronoun case was significant. All experimental results ware suggested gender cue was powerful constraints to resolution, but always sentence topic and case constancy were satisfied. The immediacy of referencial resolution processing is not all-or-none, but incremental characterist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