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범주의 중첩과 크기가 범주화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category overlap and size on categorization judgements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 The Korean Journal of Cognitive and Biological Psychology, (P)1226-9654; (E)2733-466X
1994, v.6 no.1, pp.94-111
이태연 (한서대학교 심리학과)

초록

본 연구는 원형효과에 대한 분명한 결론이 내려지지 않고 있는 원인이 원형모형과 본보기모형간의 기능적교환관계 때문이라고 보고 범주화 시간을 분석하여 범주정보의 표상적 특성을 밝히려고 시도하였다. 실험 1에서는 범주의 크기와 범주 간의 중첩정도를 조작하여 두 모형의 가설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범주화의 정확성에서는 범주의 크기가 클수록 본보기와 유사한 자극에 비해 원형과 유사한 자극이 우월하였는데 비해 중첩의 주효과는 관찰되지 않았다. 그러나 소범주조건에서 본보기와 유사한 자극의 범주화 시간은 원형과 유사한 자극과 달리 중첩이 커지면 증가하였으나 대범주조건에서는 중첩이 범주화시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실험 2에서는 점화자극으로 제시된 원형이나 본보기가 새로운 본보기범주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범주정보의 특성을 밝히려고 시도하였다. 원형점화조건에서는 대범주조건에서 가장 큰 점화량이 관찰되었으며 원형과 유사할수록 더 큰 점화량을 보였다. 그러나 본보기점화조건에서는 소범주조건에서 가장 큰 점화량이 관찰되었으며 본보기와 유사할수록 더 큰 점화량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범주의 크기가 적을 경우에는 피험자들이 기억에서 본보기정보를 인출하여 범주화하지만 범주의 크기가 증가하게 되면 원형정보에 의존해 범주화한다고 볼 수 있다.

keywords

Abstract

This study was planned to investigate representational aspects of categorical information by analyzing time courses of categorization. In experiment 1, category size and overlap were manipulated to test whether subject acquires summary information through category learning. It was found that categorization judgements of stimulus similar to prototype were more accurate than those similar to learned exemplars as category size increased. And it took more time to categorize stimulus similar to learned exemplars in small category size condition as category overlap increased. But category overlap didn't affect categorization time in large category size condition. In experiment 2, priming effects of prototypes or learned exemplars on categorization of novel stimulus were analyzed to find out differences of categorical informations accessed. As a result, in prototype priming condition, priming effects of stimulus similar to prototypes were larger than those similar to learned exemplars in large category size condition. But, in exemplar priming condition, the reverse was true in small category size condition. In conclusion, these results implicate that subject categorizes instances by retrieving similar learned exemplars from his memory in small category size condition, but by similarities between prototype and them in large category size condition.

keywords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