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단어조각완성 점화에서 지각적 처리와 개념적 처리의 해리: 단어조각 노출시간과 완성시간이 교차양상점화, 처리수준, 생성효과에 미치는 영향

Dissociations between Perceptual and Conceptual Processes in Word Fragment Completion Priming: Influences of Fragment Exposure Time and Completion Time on Cross-modal Priming, Level of Processing, and Generation Effects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 The Korean Journal of Cognitive and Biological Psychology, (P)1226-9654; (E)2733-466X
1995, v.7 no.1, pp.31-56
박태진 (전남대학교 심리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단어조각완성 점화에서 단어조각의 노출시간과 완성시간이 지각적 처리와 개념적 처리의 이용가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세 개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1에서는 시각적으로 제시된 단어와 청각적으로 제시된 단어를 점화어로 사용하고 단어조각의 노출시간과 완성시간을 각각 500ms - 2초, 500ms - 8초, 2초 - 2초, 그리고 8초 - 8초로 조작하였다. 그 결과 짧은 노출시간과 완성시간(500ms - 2초)에서만 교차양상점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실험2에서는 물리적으로 처리된 단어와 의미적으로 처리된 단어를 점화어로 사용하였는데, 처리수준효과가 긴 노출시간과 완성시간(8초 - 8초)에서는 나타났지만 짧은 노출시간과 완성시간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실험3에서는 읽힌 단어와 생성된 단어를 점화어로 사용하였는데, 긴 노출시간과 완성시간에서는 읽힌 단어와 생선된 단어간에 점화량에 있어 차이가 없었지만 짧은 노출시간과 완성시간에서는 전자가 후자보다 더 큰 점화를 일으켰다. 짧은 노출시간과 완성시간에서는 지각적 정보만이 이용되며 개념적 정보는 보다 긴 노출시간과 완성시간에서 이용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지각적 처리와 개념적 처리의 상대적 기여도가 단어조각의 노출시간과 완성시간 양자의 인출조작에 의해 영향받음을 보여준다(cf. Weldon, 1993).

keywords

Abstract

Three experiments examined the influences of word fragment exposure time and completion time on the availability of perceptual and conceptual processes in word fragment completion priming. In Experiment 1, with visual words and auditory words as primes, word fragment exposure time and completion time were manipulated as follows: 500 ms - 2 s, 500 ms - 4 s, 500 ms - 8 s, 2 s - 2 s, and 8 s - 8 s. Cross-modal priming was not obtained only at the short exposure and completion time(500 ms - 2 s). In Experiment 2, with physically processed words and semantically processed words as primes, effects of level of processing was not obtained at the same short exposure and completion time, but was obtained at the long exposure and completion time(8 s - 8 s). In Experiment 3, with read words and generated words as primes, read words produced more priming than generated words at the short exposure and completion time, but the advantage of read words was not obtained at the long exposure and completion time. At the short exposure and completion time, only perceptual information was available, and conceptual information became available at the longer exposure and completion time. These results suggest that relative contributions of perceptual and conceptual processes are influenced by the retrieval manipulation both of fragment exposure time and completion time(cf. Weldon, 1993).

keywords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