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6-9654
  • E-ISSN2733-466X
  • KCI

중뇌-측핵 도파민계의 행동적 기능에 관한 고찰

Behavioral function of mesoaccubens dopamine system : A review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 The Korean Journal of Cognitive and Biological Psychology, (P)1226-9654; (E)2733-466X
1995, v.7 no.1, pp.35-57
윤영화 (고려대학교 심리학과)

초록

복측선조체인 측핵은 해마, 편도체와 같은 변연계로부터 입력을 받을 뿐 아니라 전전두피질로부터도 입력을 받아서 담창구, 흑질과 같은 여러 운동구조물로 출력을 보낸다. 중뇌의 도파민(dopamine:DA)계는 측핵뿐 아니라 측핵의 입력구조물인 해마, 편도체, 전전두피질로도 신경지배한다. 그래서 측핵수준에서 변연계와 피질에서 온 정보가 중뇌에서 온 DA신경종말과 중첩되게 된다. 중뇌에서 측핵으로 투사하는 DA계의 행동적 기능에 관해서 여러 가설이 제기되어 왔다. 초기 뇌 DA계의 기능으로 운동가설이 제안되었으며 그 후 그 가설에 대한 대안으로 보상가설이 제안되었다. 보상가설중 초기에 제안된 가설은, DA계, 특히 중뇌 측핵DA계가 섭식, 물마시기, 성행동등 자연적 강화물의 쾌정보를 매개한다고 가정한다. Wise(1982), Bozarth(1991)는 자연적 일차강화물이외에도 남용약물이나 뇌자기자극보상 역시 이중뇌측핵 DA계의 활성화에 의해서 매개된다고 제안하였다. 그 후 보상가설은 수정되어, 중립자극이 일차강화물과 연합된 후 조건강화물이 되면 이 조건강화자극 역시 일차강화물처럼 중뇌측핵 DA계를 활성화시킨다는 것이다(Mark et al., 1994). 그러나 Phillips 등(1991)은 중뇌측핵 DA계가 일차적 보상자극에 의해서 활성화되기보다 보상을 예언하는 신호자극에 의해서 활성화된다는 연구결과로 중뇌측핵 DA계가 유인학습에 관련된다고 제안하였다. Mogenson과 Yim(1991), Cador 등(1991), Scheel-Krüger와 Willner(1991), Salamon(1992)은 중뇌측핵 DA계가 조절기능을 담당하여 측핵에 들어오는 입력정보는 측핵에서 조절된 후 출력으로 나간다고 제안하였다. Schultz 등(1993)은 중뇌측핵 DA뉴런이 학습초기에는 일차적 먹이보상에 의해 활성화되고 과제수행이 확립되는 동안 점진적으로 조건자극에 반응하게 되는 결과로부터, 중뇌측핵 DA뉴런은 대단히 관심을 끄는 대상의 이용가능성과 관련된 욕구적 자극에 의해서 활성화된다고 보아 동기적 각성가설을 제안하였다. 이와 비슷하게 Robinson과 Berridge(1993)는 중뇌측핵 DA계는 '유인현출성 부여과정'을 매개한다고 하였다. 이러한 다양한 가설과 각 가설을 지지한다고 보고된 여러 실험결과들을 살펴보면서 중뇌측핵 DA계의 기능에 대해 종합해 보고자 한다.

keywords

Abstract

Nucleus accumbens receives afferents from the hippocampus, the amygdala and the prefrontal cortex and projects to the several motor structures such as the globus pallidus and the substantia nigra. The dopaminergic(DA) system of the ventral tegmental area innervates the hippocampus, the amygdala and the prefrontal cortex as well as the nucleus accumbens. So the limbiccotical afferents and the DA terminals arising in the vental tegmental area are overlapped in the nucleus accumbens. Several hypothses of the behavioral function of the mesoaccumbens DA system were proposed. Wise(1982) and Bozarth(1991) proposed that the DA system is activated by rewards. By their reward hypotheses, mesoaccumbens DA system is involved in the rewarding effects of electrical brain stimulation, psychomotor stimulants and opiates as well as the natural rewards such as feeding, drinking, and sexual behavior. Reward hypothesis has undergone revision. The revised reward hypotheses propose that mesoaccubens DA system is activeted by conditined incentive stimuli as well as the primary reinfocers after conditioned stimuli are associated with primary stimuli. Phillips et al.(1991) argued that the system is not activated by rewards, but rather by the stimuli that precede and predict the delivery of rewards. And they proposed the system is involved in the incentive learning. Hypotheses of neuromodulatory functions were proposed by Mogenson & Yim(1991), Cador et al.(1991), Salamone(1991, 1992), Scheel-Krüger & Willner(1991). They believe that the DA system plays a crucial role in the regulation of the transfer of information from its inputs to the output structures of the striatum. Schultz et al.(1993) found that midbrain DA neurons can be activated both by primary food and fluid rewards and by conditioned incentive stimuli predicting reward, so they proposed midbrain DA neurons are involved in basic attentional and motivational processes. Similarly Robinson & Berridge(1993) argued that midbrain DA projections mediate a process termed "incentive salience attribution". Many experimental results supporting several hypotheses will be considered and summarized. And the function of the mesoaccumbens DA system will be synthesized.

keywords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