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자모 대체 수행에 나타난 글자의 내부구조와 음절과의 관계

The Internal Structure of Kulca and Its Relation to Syllable in Korean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 The Korean Journal of Cognitive and Biological Psychology, (P)1226-9654; (E)2733-466X
1995, v.7 no.1, pp.57-69
이광오 (영남대학교 심리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글자의 내부구조를 조사하기 위하여 두 개의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1에서는 받친글자의 초성자모 또는 종성자모를 대체하는 말놀이 과제를 사용하였다. 글자유형에 관계없이 종성자모의 대체시간이 초성자모의 대체시간보다 짧았다. 실험2에서는 자모 이동과제를 사용하였다. 실험1과 마찬가지로 글자유형에 관계없이 종성자모의 이동시간이 초성자모의 이동시간보다 짧았다. 중성자모의 이동시간은 글자유형에 따라 달랐다. 실험1과 실험2의 결과는 글자의 내부구조로서 음절체/말미자음 구조를 지지하였다. 결과를 바탕으로 표기 단위와 음운 단위 사이의 상동성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언어특유적 음절구조의 가능성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keywords

Abstract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nternal structure of Korean syllables and Kulcas, the orthographic units corresponding to syllables. In experiment 1 using word game, first letters in Kulcas corresponding to initials in a syllable were substituted faster than last letters corresponding to codas. The type of Kulca didn't exert any influence on response times. In experiment 2 using phoneme shift task, the same result was obtained. But the type of Kulca influenced on the response times for mid letters which correspond to peaks. The results from experiment 1 and 2 together indicated the body/coda structure of Korean syllable. The language-specificity of syllable structure was suggested.

keywords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