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파지기간과 자극의 친숙도가 정의곤란범주사례의 유목화와 재인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Retention Interval and Familiarity of Stimuli on Classification and Recognition of Ill-defined Category Instances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 The Korean Journal of Cognitive and Biological Psychology, (P)1226-9654; (E)2733-466X
1995, v.7 no.2, pp.91-111
권오영 (부산대학교 심리학과)
신현정 (부산대학교 심리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학습-전이단계 패러다임을 사용하여 파지기간의 경과와 자극의 친숙도가 정의곤란범주 사례들의 유목화와 재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일반화 맥락모형(GCM)과 원형 추상화모형을 수리적으로 형식화시켜서 정의 곤란범주 사례의 유목화와 재인성과의 예언을 정량적으로 대비시켰다. 실험 1에서는 정의곤란범주의 특징을 잘 반영하는 무선 점패턴을 범주사례로 사용하였고, 실험 2에서는 비교적 의미성이 크다고 할 수 있는 Reed(1972)의 도식적 얼굴을 범주사례로 사용하였다. 두 실험에서 파지기간은 즉시, 일주일, 그리고 한달조건으로 구성하였다. 실험 1에서는 선행연구와 마찬가지로, 범주사례의 유목화와 재인에 원형정보가 사용된다는 증거를 거의 찾을 수 없었다. 그렇기는 하지만 파지기간이 경과할수록 일반화 맥락모형의 적합도는 낮아지는 반면, 원형모형의 적합도는 높아지는 경향성이 발견되었다. 반면에 도식적 얼굴을 범주사례로 사용한 실험 2에서는 범주사례의 유목화와 재인에 원형정보가 상당한 공헌을 한다는 증거가 찾아졌다. 특히, 두 모형의 상대적 공헌도를 비교한 결합모형에서는 파지기간이 경과할수록 본보기정보보다 원형정보의 공헌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논의에서는 정의곤란범주 사례들의 유목화와 재인에 관한 기존 연구들의 결과와 비교하여 이 연구가 갖고 있는 함의를 다루었다.

keywords

Abstract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retention interval and the familiarity of stimuli on classification and old-new recognition of ill-defined category instances using the learning-transfer phase paradigm. The generalized context model(GCM) and the prototype abstraction model were formalized to quantitatively contrast in predicting classification performance. In experiment 1, random dot patterns were used as category instances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ill-defined category well. In experiment 2, Reed's(1972) schematic faces were used as category instances that were more meaningful than the random dot patterns. The retention interval was manipulated in immediacy, a week, and a month. The results of experiment 1 using dot patterns showed that prototype information was not used in the classification and old-new recognition of category instances. However, there was a tendency that the fitness of GCM was decreased and that of prototype model was increased as the retention interval increased. In contrast, the results of experiment 2 using schematic faces showed that prototype information contributed significantly to the classification of category instances. Especially, the combined models showed that prototype information made more contribution than exemplar information to the classification and old-new recognition of category instances as the retention interval increased.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keywords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