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6-9654
한글 글자의 처리 단위를 검토하기 위해 후단서 강제선택 과제를 도입하여 네 실험을 수행하였다. 정적 혹은 부적 반복효과는 표적과 동일한 방해자극이 나타날 때, 표적의 탐지율이 각각 높아지거나 낮아지는 현상이다. <각> 혹은 <곡> 글자유형의 초성과 종성을 표적 후보로 사용하였는데, 이들이 차원 자극벌 혹은 특징 자극벌을 이루도록 조작하였다. 중성 없이 초성과 종성만이 제시된 차원 자극벌 및 특징 자극벌의 자극판에서 부적 반복효과가 관찰되었다 (실험 1). 그러나, 실험 1의 자극판에 'ㅏ' 및 'ㅗ' 중성을 결합시켜 글자 맥락을 제공한 자극판을 썼을 때, 차원 자극벌의 초성과 종성 및 특징 자극벌의 초성에서 부적 반복효과가 관찰되지 않았으며 특징 자극벌의 종성에서만 부적 반복효과가 관찰되었다 (실험 2). 실험 2의 자극판의 중성 대신 무선점 막대 (실험 3)나 수평 기준선 (실험 4)을 썼을 때에는 대부분의 조건에서 다시 부적 반복효과가 관찰되었다. 이로부터 글자 맥락의 효과는 중성의 처리에서 비롯되는 것으로 결론지었다. 글자의 복잡성 등 여러 요인에 따라, 한글 글자는 전체가 한 단위로 처리될 수도 있고, 초성과 중성이 한 단위로 우선 처리되고 종성은 나중에 처리될 수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
Four experiments to probe visual processing unit of Korean (Hangul) syllables were executed by introducing the postcueing, forced-choice task on briefly exposed stimuli. Positive or negative repetition effect (PRE or NRE) denotes that detection rate of a target is higher or lower when flanked by the same distractor than by a different one respectively. Of the six Hangul syllable types, <암> and <옴> types, contrasted in this study and most widely used in Hangul words, have a Consonant(C1; 'ㅇ')-Vowel(V; 'ㅏ' & 'ㅗ')-Consonant(C3; 'ㅁ') structure. Within each type, the two candidates of target at the C1 or C3 position were selected to make either a dimension stimulus set ('ㄴ' and 'ㄱ') or a feature stimulus set ('ㄱ' and 'ㅋ'). In the display of just C1 and C3 without V (not making a Hangul syllable), NREs were observed both in the dimension and feature set. But in the Hangul syllable context with one of the two Vs added, NREs disappeared in detecting C1 and C3 of the dimension set and C1 of the feature set, but not C3 of the feature set. In other non-syllable contexts replacing V by random dot bar or dashed line NREs appeared again. It was concluded that the disappearance of NRE in Hangul syllable context resulted from the grapheme processing of V, which was integrated with C1 and also with C3 in some conditions. From NRE pattern of this study was suggested a possibility there would be dual routes of Hangul syllable processing: wholistic and two-stage route. That is, all the three letters of Hangul syllables having a CVC structure can be processed as a whole when less complex visually, but in other cases C1 and V can be processed as a unit first and C3 la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