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한국어 통사처리와 논제 / 참조처리 : 조사의 역할

Korean Syntactic and Thematic/Referential Processes : Roles of case markers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 The Korean Journal of Cognitive and Biological Psychology, (P)1226-9654; (E)2733-466X
1996, v.8 no.2, pp.207-235
김영진 (아주대 심리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조사가 문장 처리 과정에 끼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두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I에서는 관계절 구조와 대등절 구조 문장에서 주격 조사 '가/이'를 '는/은'으로 바꾸어 네 조건을 만든 후 비교하였으며, 실험 II에서는 동일한 문장 구조에서 조사 '가/이'와 '는/은'이 모두 나타나도록 만든 후, 이들 조사의 순서를 바꿔 비교하였다. 두 실험 모두 움직이는 창 방식으로 문장의 각 마디를 제시하고 피험자들이 자신의 속도대로 각 마디를 읽도록 한 후 읽기시간을 측정하였다. 실험 I에서는 조사 '는/은'이 관계절 문장의 세 번째 마디 이후의 읽기시간을 의미 있게 줄이는 것으로 나왔으며, 실험 II에서는 조사 '는/은'의 위치에 따른 효과가 절의 종류에 따라 달랐다. 즉 조사 '는/은'이 문장 처음에 나오는 조건이 두 번째 제시되는 조건에 비해 관계절 구조 문장에서는 읽기시간이 짧았으나, 대등절에서는 반대로 읽기시간이 길었다. 조사 '는/은'이 논제/참조처리를 유발할 가능성을 논의했으며, 통사처리와 논제/참조처리가 어떻게 상호 작용 할 것인가에 관한 이론적 구성을 시도하였다.

keywords

Abstract

Two experiments were performed to examine effects of case makers on sentence processing. In experiment I, the effects of subjective case markers('ka/i') were compared with those of topic makers('nun/un') in the two types of structure, i.e. relative clause and coordinate clause sentences. In experiment II, first, both types of the case makers were inserted in the same sentence structures, and then by changing the positions of the topic maker(i.e., first vs. second) four conditions were constructed and were compared. The moving-window presentation method were used and self-paced reading times of each words were measured. The results of the first experiment showed that the topic makers significantly reduced word-by-word reading times of the relative clause structures. The second experiment showed that the position of the topic maker had differential effects on the two sentence structures. That is, the first position of the topic maker reduced the reading times in the relative structures, however, it increased the reading times in the coordinate structures. Taken together, the findings are interpreted as support for the thematic/referential processing hypothesis of the topic maker. An alternative explanation about interaction mechanism between syntactic processing and the thematic/referential processing was suggested.

keywords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