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6-9654
본 연구는 자유회상과제를 사용하여 스스로 산출한 심상조건에서 이상한 심상효과(bizarre imagery effect)의 경계조건(boundary condition)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3개의 실험으로 구성되는데 각 실험에서 피험자가 평범한 심상만을 형성하거나 이상한 심상만을 형성하는 순수조건(피험자간 변인조건)과 한 피험자가 이상한 심상도 형성하고 평범한 심상도 형성해야하는 혼합조건(피험자내 변인조건)이 있었다. 실험 1에서는 한 명사만을 주고, 실험 2에서는 두 명사를 주어 평범한 심상이나 이상한 심상을 스스로 산출시킨 다음, 순수조건과 혼합조건에서 이상한 심상효과를 검토하였다. 실험 1, 2에서 우연학습(incidental learning)을 시킨 결과, 혼합조건에서만 이상한 심상을 형성한 집단이 평범한 심상을 형성한 집단에 비해 회상을 더 잘했으며, 순수조건에서는 두 집단간에 차이가 없었다. 실험 3에서는 의도적 학습(intentional learning)을 시켜서 두 단어간에 평범한 심상이나 이상한 심상을 형성한 집단이 평범한 심상을 형성한 집단에 비해 회상이 우수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스스로 산출한 심상조건에서 이상한 심상효과는 의도적 학습이건, 우연학습이거나 관계없이 혼합조건에서만 일어나는 현상임이 발견되었다.
Three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boundary condition of self-generated bizarre imagery effect in free recall. The subjects in experiment 2 were asked to create an interaction between a pair of nouns and those in experiment 1 were given only one noun. In experiment 1 and 2 for incidental learning task, bizarre imagery increased recall when imagery type was manipulated in mixed-lists(within-lists) design but not in pure-lists(between-lists) design. In experiment 3 for intentional learning task, bizarre imagery faciliated recall in mixed-lists design but not in pate-lists design.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bizarreness effect in self-generation procedure emerged when bizarreness was manipulated as mixed-list desig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