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부적 반복효과에 관한 반응편중설의 타당성 검토

A Test of the Response Bias Hypothesis Regarding the Negative Repetition Effect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 The Korean Journal of Cognitive and Biological Psychology, (P)1226-9654; (E)2733-466X
1997, v.9 no.2, pp.99-114
박우형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김정오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자극이 짧게 제시되고 차폐로 지워지는 상황에서 관찰되는 부적 반복효과(negative repetition effect)가 반응편중(reponse bias)에 기인한다는 주장을 검토하였다. 부적 반복효과란, 동시에 짧게 제시되는 두 입력이 같을 때(즉, 동일조건)가 다를 때(즉, 상이조건)에 비해 표적으로 지정된 자극의 정체가 잘 탐지되지 않는 현상이다(Bjork과 Murray, 1977). Eriksen, Morris, Yeh, O'Hara와 Durst(1981)는 이 효과가 입력 처리경로간의 억제적 상호작용에 의하기 보다, 상이한 자극판에 대한 반응편중에 기인한다고 주장하였다. 실험 1a와 1b에서는 반응 편중설의 예언에 따라 유사표적자극(pseudo target)의 제시비율을 변화시켜 피험자들의 반응편중 경향을 조작하였다. 그러나 반응편중설의 예언과는 달리 반응편중량과 부적 반복효과간에 체계적인 변화가 없었다. 실험 2는 표적자극을 보고한 후 그 반응에 관한 확신도 평정(confidence rating)을 요구하였다. 그 결과, 부적 반복효과는 표적자극을 추측하여 보고한 조건에서는 관찰되지 않고 오히려 표적자극을 확실하게 보았다고 보고한 조건에서 관찰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들은 반응편중설의 예언과 일치하지 않았다.

keywords

Abstract

This research examined the possible influence of the response bias on the negative repetition effect(NRE) in the perceptually limited situation. An NRE is a phenomenon that target detection is worse in a repeated display condition than that in a nonrepeated display condition(Bjork & Murray, 1977). Eriksen, Morris, Yeh, O'Hara and Durst (1981) suggested that the NRE is caused not by an interactive inhibitory channel process (Bjork & Murray, 1977) but by the response bias to the nonrepeated stimulus displays. In Experiments la and lb, probabilities of the pseudo-target were varied to induce the participants' bias to the nonrepeated stimulus displays. The results of these esperiments, taken together, showed that the magnitudes of the NRE did not change along with the response bias to the nonrepeated display.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however, that response bias explained 27% of the variance associated with the NRE. In order to examine the influence of response bias on the NRE in Experiment 2, the participants were additionally asked to perform the confidence rating of their target report. Response bias to the nonrepeated stimulus display was not observed in the low confidence responses, whereas the NRE was substantially observed in high confidence responses. The results of Experiment 2 were not consistent with the response bias hypothesis regarding the NRE.

keywords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