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6-9654
단어의 의미 파악 과정에 음운 정보의 개입을 결정하기 위해 세 개의 실험을 실시하였다. 두 개의 단어로 구성된 구가 유의미한 것인지를 결정하는 성구결정 과제를 이용한 실험 1에서는 예컨대, "독립"과 표기법이 비슷한 "목립"이 "독립"의 동음비단어 "동닙"보다 "독립"으로 오판될 가능성이 훨씬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실험 2에서는 의미관련어의 동음비단어에 의한 점화효과를 검토하기 위해 명명 과제와 어휘판단 과제를 이용하였다. 명명 과제에서는 동음비단어의 점화효과가 신뢰롭지 못한데 비해, 어휘결정 과제에서는 신뢰로웠다. 역시 어휘결정 과제를 이용하여 동음비단어 및 동음이의어의 점화효과를 검토한 실험 3에서는 신뢰로운 동음비단어 효과를 발견하지 못했다. 또한 동음이의어의 점화효과마저도 크게 신뢰롭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결과는 한글 단어의 의미 파악 과정에 음운 정보가 주도적이라기보다는 부수적인 역할만을 수행할 뿐이라는 박권생(1996)의 결론을 지지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Three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the role of phonology in identifying words written in Hangul. Using a phrase verification task, Experiment 1 secured error rates and RTs to both phrases with pseudohomophones and phrases with spelling controls. Much higher error rate was found in the spelling controls than in the pseudohomophone phrases, even if no difference was found in the response latencies. Experiment 2 used the naming and lexical decision tasks to determine whether a pseudohomophone primes a target semantically associated with the word which is pronounced the same as the prime. Whereas no significant priming effect was found in naming task, the priming effect found in lexical decision task was significant. However, the significant priming effect was smaller that the associative priming effect. Using lexical decision task, Experiment 3 attempted to replicate the significant pseudohomophone effect found in Experiment 2, and to determine the extent to which a target is primed by a homophone with a semantic associate of the target. Neither a homophone nor a pseudohomophone primed their targets significantly.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lead to the conclusion that phonology plays only secondary role in Hangul word identif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