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저출산 대응: 가족내 자녀양육지원강화

The Reinforcement for Policy to Support Child Care Work in Family as the Coping Strategy for Low Fertility Society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P)1229-0661; (E)1229-0661
2012, v.18 no.1, pp.53-77
고선주 (한국건강가정진흥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여성의 경제활동참여증가, 생활수준향상 및 가족유지비용증가, 개인적가치우선의 현상에 따라 최근 저출산현상이 더욱 심화되었으며, 이에 대한 사회적 비용 급증을 우려하여 전반적인 대응전략을 마련된 것이 바로 저출산고령사회기본계획이다. 1차에 이은 2차 기본계획은 일반가족의 양육지원과 종합적인 일가정양립지원 강화가 주요 핵심으로 이는 비단 정책뿐 아니라 전방위적으로 사회전반에 걸친 변화가 수반되어야 가능한 일이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저출산대응정책의 실제사례를 살펴보기 위해 가족과 지역사회내 돌봄지원정책을 살펴보았다. 가족내 자녀양육지원사업으로서 아이돌봄지원사업과 가족내 돌봄나눔에 있어 핵심요인인 남성의 자녀양육참여를 촉진하기 위한 남성대상교육, 그리고 지역내에서 가족 돌봄나눔을 실천할 수 있는 가족품앗이와 공동육아나눔터 운영을 통해 향후 저출산 정책에서 강조하고 있는 일반가족의 자녀양육지원 방향에 대한 해법을 제시하고 있다.

keywords
The second basic plan for low fertility and aging society, father's participation in child caring, sharing child care work,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 child care work support policy, 저출산대응, 남성참여, 공동육아나눔터, 가족품앗이, 아이돌보미, 돌봄지원, 자녀양육지원

Abstract

Recently, the low fertility has been deepened because of the increase in women's economic activity, the advancement in standard of living, the rising cost of family maintenance, Therefore master plan for low fertility and aging society which is an overall response strategy for sudden increase in social costs was prepared. The most important point of the second basic plan is the reinforcement in child care support for all families and the balance of work & family. This paper shows the supporting policy for child raising in family and community as reality of policy for low fertility. The paper proposes child care support program(idolbom) as the supporting policy for child raising in family, education for men stimulating father's participation in child rearing, and sharing child care work in community in order to reinforce child care friendly environment.

keywords
The second basic plan for low fertility and aging society, father's participation in child caring, sharing child care work,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 child care work support policy, 저출산대응, 남성참여, 공동육아나눔터, 가족품앗이, 아이돌보미, 돌봄지원, 자녀양육지원

참고문헌

1.

보건복지부 (2010). 2011-2015 제2차 저출산 고령사회기본계획.

2.

중앙건강가정지원센터 (2010). 2009 아이돌보미 지원사업 결과보고서

3.

중앙건강가정지원센터 (2010). 각 월별 사업실적 보고서

4.

중앙건강가정지원센터 (2010) 가족친화교육 프로그램 개발

5.

중앙건강가정지원센터 (2010). 돌봄네트워크 구축 시범사업 결과보고서.

6.

중앙건강가정지원센터 (2011). 2010 전국건강가정지원센터 연간사업실적보고서

7.

고선주 (2010). ‘바람직한 부모됨을 위한 사회적 지원: 건강가정지원센터 가족정책 사업을 중심으로’ 선진육아네트워크 포럼. 육아정책연구소.

8.

고선주, 이완정, 김영명, 정하나, 김균희 (2007). 수요에 기반한 서울시 맞․보육 공급방안연구. 서울시 여성가족재단.

9.

여성가족부 (2011). 2011 아이돌보미 지원사업 안내.

10.

이삼식, 정윤선, 김희경, 최은영, 박세경, 조남훈, 신인철, 도세록, 조숙경, 강주희 (2005) 2005년도 전국 결혼 및 출산동향 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1.

이삼식, 최효진, 오영의, 서문희, 박세경, 도세록 (2009). 2009년도 전국 결혼 및 출산 동향 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2.

이삼식 외 15인 (2009). 저출산의 파급효과와 정책방안. 보건복지가족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3.

이하정(2010). 일본의 지역중심 자녀양육지원 체제의 특성-지역양육지원거점사업(만남의 광장)을 중심으로. 육아교육연구, 30(1), 371-393.

14.

장지연, 이정우, 최은영, 김지경 (2005). 일․가족 양립체계의 선진국 동향과 정책과제. 한국노동연구원.

15.

장혜경, 홍승아, 이상원, 김영란, 강은화, 김고은 (2005). 가족내 돌봄노동 실태조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16.

중앙건강가정지원센터 (2009). 가족품앗이 사업운영을 위한 매뉴얼.

17.

통계청. 각년도 사회조사.

18.

통계청. 1999, 2002, 2006 생활시간조사.

19.

Emlen, A. C. (2010). Solving the childcare and flexbility puzzle: How working parents make the best feasible choices and what that means for public policy. Universal-Publishers.

20.

http://www.fahcsia.gov.au

21.

http://www.familyservices.govt.nz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