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사회적 지원과 스트레스 대처전략이 청소년이 우울 및 가출충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Coping Strategies on the Adolescent's Depression and Runaway Impulsion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P)1229-0661; (E)1229-0661
2001, v.7 no.1, pp.1-21
한상철(Sang Chul Han) (경산대학교 청소년지도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지각된 사회적 지원과 스트레스 대처전략이 청소년의 우울 및 가출충동에 미치는 상대적인 영향과 상호작용을 확인하고자 실시되었다. 이를 통해 사회적 지원 및 대처전략의 개인차를 분석함은 물론 우울 및 가출충동의 예방과 치료를 위한 차별적 처치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구 지역 중학교, 인문고, 실업고의 남녀 학생 전체 635명(분석대상 623명)을 대상으로 사회적 지원과 스트레스 대처전략, 우울 및 가출충동을 각각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MANOVA, 2-Way ANOVA, Stepwise Regression 등의 통계분석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청소년의 우울 및 가출충동은 사회적 지원의 지각과 대처전략 모두의 영향을 받지만, 우울은 사회적 지원에 의해 그리고 가출충동은 대처전략에 의해 더 많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사회적 지원 지각수준과 대처전략들간의 유의한 상호작용이 밝혀졌다. 이는 사회적 지원과 대처전략의 완충효과를 지지하는 것일 뿐만 아니라 우울 및 가출충동에 대한 차별적 처치 가능성을 시사해 주었다. 즉, 우울 감소를 위해서는 사회적 지원의 개선과 함께 소극적 대처전략을 적극적 전략으로 전환할 수 있는 처치가 필요하며, 가출충동 감소를 위해서는 대처전략의 훈련과 함께 소극적 대처전략 집단의 경우 더욱 풍부한 사회적 지원의 제공과 사회적 지원 지각체계의 개선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keywords

Abstract

This study was intended to examine the effects of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coping strategies on the adolescent's depression and runaway impulsion.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630 students attending middle schools and high schools in Taegu city. The subjects were asked to respond to social support scale, coping strategies scale, depression inventory, and runaway impulsion inventory. The results indicated that first the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the coping strategies all influences on significantly depression and runaway impulsion. Second,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coping strategies have a main effects and an interactive effects on depression. That is, adolescent's depression be influenced by both variable, but more influenced by social support than coping strategies. And a depression of the group with lower perception of social support than other groups indicate the highest score when they use negative coping strategy. Third,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coping strategies have a main effect and an interactive effects on runaway impulsion. That is, adolescent's runaway impulsion be influenced by both variable, but more influenced by coping strategies than social support. And a runaway impulsion of the group with negative coping strategy than other strategies indicate the highest difference between the levels of perception of social support.

keywords
투고일Submission Date
2000-11-20
수정일Revised Date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