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내측 전전두피질의 변연하영역손상이나 변연전영역손상이 조건공포의 습득과 소거에 미치는 영향

The Lesion effects of infralimbic and prelimbic areas of medial prefrontal cortex on the acquisition and extinction of conditioned fear in rats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 The Korean Journal of Cognitive and Biological Psychology, (P)1226-9654; (E)2733-466X
1998, v.10 no.1, pp.45-57
윤영화 (한국신경심리연구소)
민선식 (고려대학교 생리학교실)
이민수 (한국신경심리연구소)
김현택 (한국신경심리연구소)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내측 전전두피질의 복측부위(변연하영역)에 가한 손상이나 배측부위(변연전영역)에 가한 손상이 조건공포반응의 습득과 소거에 미치는 영향을 동결반응을 측정하여 조사하였다. 습득기간과 소거기간 동안 동결반응을 측정하였으며, 조건자극(CS)이 제시되기 전 20초 동안과 CS가 제시되는 20초 동안 동결반응을 측정하여 훈련상자인 맥락자극에 대한 조건공포반응과 CS에 대한 조건공포반응을 따로 조사하였다. 변연하영역 손상집단이나 변연전영역 손상집단, 그리고 통제시술집단 모두 조건화 습득기간 중 맥락자극에 대해서 동결반응을 보인 시간에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조건화 2일째에 변연하영역 손상집단과 변연전영역 손상집단이 CS에 대한 공포반응을 통제시술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많이 나타내었다. 2, 3, 4 훈련회기에서 맥락자극이 제시되는 기간과 CS가 제시되는 기간의 각 20초 검사기간 중 18~20초 동안 최대 동결반응치를 보인 회수를 합한 값을 종속변인으로 하여 세 집단을 비교한 결과, 세 집단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변연하영역 손상집단은 CS에 대한 습득을 촉진시키고 CS에 대한 소거를 지체시켰다. 변연전영역 손상집단은 CS에 대한 습득을 촉진시키고 맥락자극과 CS 모두에 대한 소거를 지체시켰다. 그렇기 때문에 정상적인 상태에서는 변연하영역과 변연전영역은 조건공포에 억제작용을 한다고 생각된다.

keywords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ole of infralimbic(IL) and prelimbic(PL) areas of medial prefrontal cortex on the acquisition and extinction of conditioned fear response in rats using Pavlovian conditioning paradigm. Conditioned fear behavior(freezing response) was measured during both the acquisition and extinction phases of the task. Conditioned fear was measured both to the conditioned stimulus(CS) and to the contextual stimuli during both phases. IL lesion group, PL lesion group, and sham operated group showed similar conditioned fear to the contextual stimuli during acquisition. IL lesion and PL lesion enhanced conditioned fear to the CS in 2nd conditioning day. IL lesion prolonged conditioned fear to the CS(but not to the context) during extinction. PL lesion prolonged conditioned fear both to the CS and to the context during extinc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IL and PL are involved in emotion, especially fear, and that they are important in inhibition of conditioned fear.

keywords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