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인지과제를 통한 독서이해력의 개인차 연구

Investigating Individual differences in Reading Comprehension Ability by using Cognitive Tasks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 The Korean Journal of Cognitive and Biological Psychology, (P)1226-9654; (E)2733-466X
2010, v.22 no.2, pp.233-245
https://doi.org/10.22172/cogbio.2010.22.2.007
김영진 (아주대학교)
최광일 (아주대학교)

초록

언어이해 과정 실험연구에서 사용되는 변인과 과제들이, 독서이해력의 개인차를 측정하는 심리검사로 사용될 수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어휘처리 과정에 한정한 탐색적 실험을 실시하였다. 단어의 음절 수, 단어빈도, 단어의 자음동화 여부, 단어의 상위 범주 전형성 등의 변인들을 어휘판단과제와 문장검증과제를 사용해 반응시간을 측정하였다. 각 변인의 수준별 차이를 변량분석 하였고 피험자간 변량의 설명량을 분석하였으며, 심리검사 도구로서 사용을 위해 신뢰도를 일반화 가능성 계수로 분석하였고 구성타당도를 위해 확증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각 변인의 수준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고, 일반화 가능성 계수가 ,79로 비교적 높게 나와 8개의 측정치가 신뢰로우며 이론적으로 타당한 심리검사가 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한계점과 추후 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정리하였다.

keywords
cognitive tasks, reading comprehension, individual differences, lexical processes, 인지과제, 독서이해, 개인차, 어휘처리

Abstract

We investigated some language comprehension tasks whether they can be used as psychometric tests(or assessment tools). An exploratory experiment were performed to examine lexical processing times by using lexical decision & sentence verification tasks. Used experimental variables were numbers of syllable, frequency, phonological change, & typicality. We analysed the results by using ANOVA, estimated omega square, generalizability coefficients, and factor analysis in order to examine treatment effects, explained variance, an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experimental results. All these result suggested the experimental variables and tasks that we used could be good psychometric tests. We discussed some limitations of this study.

keywords
cognitive tasks, reading comprehension, individual differences, lexical processes, 인지과제, 독서이해, 개인차, 어휘처리

참고문헌

1.

김청택 (2002). 개인차분석법을 이용한 실험결과의 통계적 분석의 확장. 한국심리학회지: 실험 및 인지, 14, 107-126.

2.

남기춘 (1997). 한글 단어 재인에서의 단어 길이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실험 및 인지, 9, 1-18.

3.

이관용 (1991). 우리말 범주규준 조사. 본보기산출빈도, 전형성, 그리고 세부특징 조사. 한국심리학회지: 실험 및 인지, 9, 73-94.

4.

이양 (1998). 한글 단어 지각에서 표음식도와 처리자원의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실험 및 인지, 10, 1-16.

5.

이정모 외 (2003). 인지심리학. 학지사.

6.

조명한 외 (2003). 언어심리학. 학지사.

7.

최광일 (2007). 독서이해 과정의 개인차: 인지과제 수행과 안구운동 패턴. 아주대 박사학위논문.

8.

홍세희 (2000).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 161-177.

9.

Clark, H. H. (1973). The language as fixed effect fallacy: A critique of language statistics in psychological research. Journal of Verbal Learning and Verbal Behavior, 12, 335-359.

10.

Cronach, l. J. (1957). The two disciplines of scientific psychology. American Psychologist, 12, 671-684.

11.

Di Nocera, F., Ferlazzo, F., & Borghi, V. (2001). G theory and the reliability of psychophysiological measures: A Tutorial. Psychophysiology, 38, 796-806.

12.

Hannon, B., & Daneman, M. (2001) A new tool for measuring and understanding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 component processes of reading comprehensio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93. 103-128.

13.

Hyöna, J., Lorch, R. F., & Kaakinen, J. K. (2002). Individual differences in reading to summarize expository text: Evidence from eye fixation pattern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94, 44-45.

14.

King, J & Just M. A. (1991). Individual differences in syntactic processing: The role of working memory. Journal of Memory and Language, 30, 580-602.

15.

Kintsch, K., & Rawson, K, A.(2005). Comprehension. In Snowling, M, J., & Hulme. C. (Eds). The Science of Reading (pp. 209-226). Malden, MA; Blacwell.

16.

Kintsch, W. (1998). Comprehension: A paradigm for cognition. Cambridge, England: Cambridge University Press.

17.

Perfetti, C. A., & Tan, L. H. (1999). The consistency model of Chinese word identification. In J. Wang, A. Inhoff, A. W. Chen, & H. C. Chen (Eds). Orthography, Phonology, morphology, and meaning(pp. 115-134). Mahwah, NJ: Erlbaum.

18.

Perfetti, C, A., Landi, N., & Oakhill. J. (2005). The Acquistion of Reading Comprehension Skill. In Snowling, M, J., & Hulme. C. (Eds). The Science of Reading (pp. 227-247). Malden, MA; Blacwell.

19.

Shaelson, R. J. & Webb, N. M. (1991). Generalizability theory: A Primer. London: Sage.

20.

Sternberg R. J. & Ben-Zeev, T. (2001). Complex cognition. New York: Oxford.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