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6-9654
한국어의 시각적 단어재인에서 음운 음절과 표기 음절의 효과를 비교하였다. 점화어와 표적어의 초두 음절 간의 관계를 조작하였는데, 표기는 다르고 음운만 일치하는 음운 일치 조건, 표기는 일치하고 음운은 서로 다른 표기 일치 조건, 표기와 음운이 모두 일치하는 완전 일치 조건, 그리고 표기와 음운에서 아무런 관련이 없는 무관련 조건을 설정하였다. 실험 1의 결과, 완전 일치 조건과 유사한 반응 패턴을 나타내는 조건은 표기 일치 조건이었으며, 음운 일치 조건의 반응은 완전 일치 조건과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실험 2에서도 완전 일치 조건과 음운 일치 조건 간에는 어휘판단 반응시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반응 패턴은 차폐점화에서도 그리고 아주 짧은 SOA에서도 관찰되었다. 두 실험의 결과는 음운 정보의 우선적 처리와 음운 음절의 우선성을 주장하는 모형을 지지하지 않는다. 실험 결과를 설명하기 위하여 이중경로모형의 수정을 제안하였다. 수정모형에는 표기 음절을 바탕으로 하는 자전(kulja dictionary) 모듈이 도입되었으며, 수정모형은 본 실험의 결과 및 관련 선행연구의 결과들을 잘 설명하였다.
The syllabic priming effect has been reported in many languages when a prime and its target share the same syllable at the word-initial position. Two experiments were run to determine whether the effect was orthographic or phonological. The priming paradigm with the lexical decision task was adopted for the experiments. Primes were presented masked or visible with SOA 57 msec and SOA 200 msec. Experimental prime-target pairs shared phonological, orthographic, orthographic-phonological, or unrelated syllables. In Experiment 1 and 2, orthographic pairs were responded as fast as orthographic-phonological pairs while phonological pairs were responded slower than orthographic-phonological pairs. These results are not consistent with the hypothesis that phonological syllables play a dominant role in visual recognition of Korean words. To explain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and other related studies, we proposed a modification to the dual-route cascaded (DRC) model to include a Kulja processing unit between the letter unit and the orthographic lexicon. The modified DRC model was successful in explaining the roles of orthography and phonology in Korean word recognition.
권유안 (2009). The distinction of phonological and orthographic syllable units in visual word recognition in Korean, Hangul. 미발표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권유안, 조혜숙, 김충명, 남기춘 (2006). 한국어 시각단어재인에서 나타나는 이웃효과. 말소리, 60, 29-45.
권유안, 박창수, 남기춘 (2006). 한국어 시각 단어 재인에서 음운, 철자이웃 크기 효과. 한국인지과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대회 발표자료집, 47-51.
남기춘, 김재연, 서창원 (2001). 한글 단어재인에서의 형태점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실험 및 인지, 13, 21-40.
이광오 (1993). 한글 단어인지 과정에서 표기법이 심성어휘집의 구조와 검색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실험 및 인지, 26-39.
이광오, 이인선 (1999). 한글단어의 인지과정에서 형태소 정보처리. 한국심리학회: 실험 및 인지, 11, 77-91.
조혜숙, 남기춘 (2002). 한국어 단어재인의 이웃(neighborhood)단위. 대한음성학회 창립 25주년 기념 학술대회 논문집, 97-100.
Álvarez, C., Carreiras, M., & Perea, M. (2004). Are syllables phonological units in visual word recognition? Language and Cognitive Processes, 19, 427-452.
Carreiras, M., Álvarez, C. J., & de Vega, M. (1993). Syllable frequency and visual word recognition in Spanish. Journal of Memory and Language, 32, 766-780.
Carreiras, M., & Perea, M. (2002). Masked priming effects with syllabic neighbors in the lexical decision task.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Human Perception and Performance, 28, 1228-1242.
Coltheart, M. (1978). Lexical access in simple reading tasks. In G. Underwood (Ed.), Strategies of Information Processing. London: Academic Press.
Coltheart, M., Rastle, K., Perry, C., Langdon, R., & Ziegler, J. (2001). DRC: A dual route cascaded model of visual word recognition and reading aloud. Psychological Review, 108, 204- 256.
Conrad, M, Grainger, J., & Jacobs, A. M. (2007). Phonology as the source of syllable frequency effects in visual word recognition: Evidence from French. Memory & Cognition, 35, 974-983
Ferrand, L., Segui, J., & Grainger, J. (1996). Masked priming of word and picture naming: The role of syllabic units. Journal of Memory and Language, 35, 708-723.
Ferrand, L., Segui, J., & Humphreys, G.W. (1997). The syllable's role in word naming. Memory & Cognition, 25, 458-470
Forster, K. I., & Forster, J. C. (2003). DMDX: A windows display program with millisecond accuracy. Behavior Research Methods, Instruments, & Computers, 35, 116-124.
Kempley, M.,&Morton, J. (1982). The effects of priming with regularly and irregularly related words in auditory word recognition. British Journal of Psychology, 73, 441-454.
Seidengerg, M. S., & McClelland, J. L. (1989). A distributed, developmental model of word recognition and naming. Psychological Review, 96, 523-568.
Taft, M (1991). Reading and the mental lexicon. Hove, U.K.: Elba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