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근접 가현운동 방향의 누적효과

Effect of Temporal Integration on the Direction of Short Range Apparent Motion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 The Korean Journal of Cognitive and Biological Psychology, (P)1226-9654; (E)2733-466X
1992, v.4, pp.115-126
정우현 (연세대학교 심리학과)
정찬섭 (연세대학교 심리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근접 가현운동에서 한 시점의 방향지각이 다음 시점에 누적적으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 이러한 누적효과의 발생 원인을 규명하기 위해 네편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각각의 실험에서, 무선적인 운동을 하는 점들 가운데 특정한 방향으로 운동하는 편향점들이 일정 비율 삽입된 여러 장면의 무선점 시네마토그램이 사용되었다. 이와같은 무선점 시네마토그램의 여러 장면을 나누어 제시할 때보다 연속적으로 제시할 때 전반적인 운동 방향에 대한 인상이 편향점들의 운동 방향쪽으로 더 기울게 된다면 이는 한 시점의 운동방향이 다음 시점의 방향 지각에 누적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실험 결과, 이러한 시간적 통합 효과는 근접 가현운동의 제약들을 만족시키면서 연속적으로 제시되어야만 나타날 수 있으며, 장면 수가 늘어남에 따라 누적적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편향점이 장면에 따라 변하는 경우보다 변하지 않고 동일한 경우에, 그리고 무선점 시네마토그램의 점의 밀도가 높을 때보다 낮을 때 더 분명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근접 가현운동에서 한 시점의 방향 지각이 다음 시점의 운동 방향에 누적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근접 가현운동 방향의 누적 효과는 운동 탐지기 수준에서 이들의 상호 작용에 의해 발생된다는 것을 시사한다.

keywords

Abstract

Four experiments were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emporal integration on the direction of short range apparent motion. In each trial of the experiments, a set of random-dot cinematogram(RDC)s of which dot elements move in random directions were successively presented together with a certain proportion of biased dots moving in a particular direction. The measurement of interest was whether the effect of the biased dots on the coherent global motion impression of the RDC increases as a function of the number of successively presented RDCs across time. Existence of such incremental effect was interpreted as an evidence of excitatory temporal interaction among the moving dots in short range motion. Results of the experiments show, first, that the temporal integration effect exists only when the successively presented RDCs satisfy the constraints of short range motion. Second, the effect of temporal integration in the direction of biased dots increases as a function of the number of RDC images. Third, the effect occurs, as it can be expected in the short range motion, more apparently when the biased dots moving in a particular direction ramains the same than when they are changed from one frame of RDC to another. Fourth, the temporal integration effect is greater when the density of a RDCs is low than when it is high, which can be interpreted as an indication of the reduction of the processing load associated with correspondence problem.

keywords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