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전해질 손상 및 Kanic Acid 을 사용한 편도체 중심핵 손상이 공포로 상승된 경악반응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Electrolytic and Kainic Acid Lesions of the Central Nucleus of the Amygdala on the Fear-Potentiated Startle Responses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 The Korean Journal of Cognitive and Biological Psychology, (P)1226-9654; (E)2733-466X
1992, v.4, pp.108-121
한정수 (고려대학교 심리학과)
김시현 (고려대학교 심리학과)
김기석 (고려대학교 심리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에서는 공포로 상승된 경악반응을 이용해, 공포나 불안을 담당하는 신경구조물인 편도체핵군 중에 하나인 편도체 중심핵의 역할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1에서는 조건화 전에 손상용 전극을 심은 후에 이틀에 걸쳐서 조건자극으로 빛(8w, 3700msec)과 무조건자극으로 발바닥 전기충격(1.0mA, 500msec)을 20번 짝지워 제시한 후에, 편도체 중심핵을 전해질 손상(2.0mA, 10sec)시켰다. 편도체 중심핵이 손상된 동물은 단순한 경악반응에 의한 반응크기와 조건자극과 경악자극 복합에 의한 반응크기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전해질 손상은 세포체뿐만아니라 축색을 모두 손상하므로, 실험1의 결과는 편도체 중심핵의 세포체손상에 의해서가 아니라, 이 부위를 지나가는 축색의 손상에 의해서 야기된 결과일 수 있다. 그러므로 실험2에서는, 세포체만 손상시키는 카이닌 산(0.1㎍/0.2㎕)으로 조건화 후에 편도체 중심핵을 손상시켰다. 손상을 받은 동물은 조건자극에 대해 상승된 경악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이 결과로 보아, 편도체 중심핵내에 뉴론이 상승된 경악반응에 관여함을 알 수 있다.

keywords

Abstract

Of several amygdaloid nucleus, the central amygdaloid nucleus seems to be related to the expression of fear. This experiment is to examine effects of the central nucleus of amygdala on the fear-potentiated startle responses. In experiment 1, monopolar tungsten for lesioning were chronically implanted into the central amygdaloid nucleus in rats. After 7 days, rats received two conditioning sessions on consecutive day, each session consists of 10 light-footshock pairing(light of 8w incandescent bulbs, 3700msec: footshock of 1.0mA, 500msec: ITI of 4min). After the conditioning, electrolytic lesion(2.0mA, 10sec) was administered to the central nucleus. One day or seven days later, rats were tested for conditioned fear by comparing the magnitude of the startle reflex to a noise burst presented either alone or in the presence of the previously fear-conditioned light. Results were that the lesioned animals showed no fear-potentiated startle responses. In experiment 2, using kainic acid(0.1㎍/0.2㎕), we lesioned cell bodies without damaging any axons after the conditioning. Results showed that animals lesioned with the kainic acid did not showed potentiated startle responses to the conditioned stimuli. Taken together, it may be said that the intrinsic elements of central amygdaloid nucleus are involved in the expression of fear.

keywords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