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단일채널 공간 모형은 대칭성 지각을 잘 설명하지 못한다

Single-Channel Model Based on Spatial Domain Cannot Explain the Human Symmetry Perception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 The Korean Journal of Cognitive and Biological Psychology, (P)1226-9654; (E)2733-466X
1992, v.4, pp.93-104
홍성희 (연세대학교 심리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인간의 대칭성 지각에 대한 현존 모형은 점비교 모형과 밀도비교 모형으로 요약할 수 있는데, 이 두 모형은 모두 공간적 영역의 정보인 흑백도를 바탕으로 하는 단일채널 모형이다. 현존 단일채널 공간 모형은 대칭축으로부터 다른 거리에 위치한 정보가 인간의 대칭성 지각에 다른 영향을 미친다는 것(예, Barlow와 Reeves, 1979)을 설명하지 못한다. 따라서 대칭축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른 정보의 상대적인 효과를 현존 단일채널 공간 모형에 가중치의 형태로 포함시켜 인간의 대칭성 지각을 설명하려고 하였다. 실험 1에서 Barlow와 Reeves의 연구가 재현되고 그 결과를 다중회귀분석하여 가중치를 구하였다. 그러나 실험 2에서 다른 상황에서의 인간의 대칭성 지각을 수정된 가중치 밀도비교 모형이 설명하지 못하므로서, 인간 시각체계의 대칭성 지각 모형은 단일채널 공간 모형이 아니라는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단일채널 공간 모형과는 달리 공간빈도 영역에서의 정보를 이용하여 다중채널을 통해 정보를 처리하는 다중채널 모형이 대칭성 지각에서도 사용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해서 논의되었다.

keywords

Abstract

The previous models of human symmetry perception can be summarized as a point-by-point comparison model (Julesz, 1971) and a density comparison model (Barlow & Reeves, 1979), both of which are single-channel model based on spatial domain. Neither of these spatial domain model, however, cannot account for the relative effectiveness of symmetric information as a function of the distance of the information from the axis of symmetry. In order to incorporate the relative effectiveness from the axis on symmetry perception into the density comparison model, the study by Barlow & Reeves was replicated and the weights for each spatial location were calculated by multiple regression. By this way, the degree of symmetry of an input image is a weighted sum of small areas, not a straight forward sum. In experiment 2, however, in which no dots in the areas near the axis was presented, the weighted density comparison model fails to account for the human observers' performance. With the other research results showing that the detection of symmetry as a combination of two orthogonal symmetries depended on the two independent symmetries (Julesz & Chang, 1979) the present result suggests that human symmetry perception may be processed through multiple channels, which differing in resolution and/or orientation.

keywords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