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글 이해과정에서 흥미의 역할

The Role of Interest in Text Comprehension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 The Korean Journal of Cognitive and Biological Psychology, (P)1226-9654; (E)2733-466X
1996, v.8 no.2, pp.273-301
김성일 (광운대학교 산업심리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흥미는 자극의 해석 및 이해과정에서 발생하는 일종의 정서적 상태인 동시에 특정행동을 유발시키는 동기의 역할도 담당한다. 이처럼 흥미가 학습 및 정보처리 과정에서 정보의 선택과 처리의 우선 순위 및 주의할당 등을 결정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함에도 불구하고, 현재 인지심리학의 영역에서는 흥미와 관련된 인지과정에 관한 연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흥미의 종류 및 개념적 정의에 대해 살펴보고 흥미의 발생과정 및 흥미와 각종 인지 과정간의 관계에 관한 이전 연구의 종합을 통해 정보처리 과정에서 흥미라는 심리적 실재의 중요성과 흥미 연구의 필요성을 강조하고자 한다. 주로 글 이해과정에서의 인지적 흥미의 역할을 살펴보고 인지적 흥미(글에 근거한 흥미)의 발생과정에 관한 가설적 모형에 관해서도 논의하고자 한다.

keywords

Abstract

Interest can be conceptualized as an emotional state which results from stimuli interpretation and comprehension, and also as a motivator which leads an individual to a specific behavior. Although it is generally accepted that interest plays an important role in interpreting stimuli, selecting information, deciding processing priority, and allocating attention in the process of learning and cognition, there has been no systematic approach on the concept of interest within the field of cognitive psychology. To emphasize on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research on interest, this review examines the conceptual definitions on interest, the overview for previous research, the interest generation proces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est and other cognitive components. This review focuses on the role of interest in text comprehension and a hypothetical model for the generation of cognitive interests(text-based interest).

keywords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