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6-9654
단어내의 어휘적 성분과 비어휘적 성분의 점화를 조사함으로써 암묵기억을 기존 어휘표상의 활성화로 보는 관점과 새로운 표상의 형성으로 보는 관점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실험1과 2에서는 약호화단계에서 처리수준을 조작하고 단어조각완성(암묵기억)검사와 재인(외현)검사를 실시했다. 표적어는 점화어와 의미적으로(동시에 철자 형태적으로) 관련된 성분이거나('주도권'점화어-'주ㅗ(주도)'표적어) 의미적으로는 무관하고 철자 형태적으로만 관련된 성분이었다('기지개'점화어-'기ㅣ(기지)'표적어). 표적어를 실험1에서는 점화어의 초두성분으로 구성하였고(앞의 예) 실험2에서는 말미성분으로 구성하였다('재생산'점화어-'생 ㄴㅏ(생산)'표적어 ; '모서리'점화어-'ㅅ 리(서리)'표적어). 그 결과, 표적어가 점화어의 초두성분으로 구성된 경우 의미관련 성분 뿐만 아니라 철자관련 성분에서도 점화가 관찰되었지만 전자는 후자보다 점화량이 더 컸으며(실험 1), 말미성분인 경우에는 의미관련 성분에서만 점화가 관찰되었다(실험 2). 처리수준효과는 재인 수행과는 달리 단어조각완성 수행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는데, 이는 점화가 외현적 기억인출의 영향을 받지 않았음을 시사하였다. 지각식별검사를 사용한 실험3의 결과 역시 단어조각완성검사 결과와 유사하였다. 실험4에서는 표적어로 비단어를 사용하고 지각식별 수행상에서 철자 점화를 관찰하였는데, 표적비단어가 점화어의 초두성분인 경우 철자점화가 관찰되었다. 철자 형태와 같은 비어휘적 요소의 새로운 표상 형성 그리고 의미성분과 같은 기존 어휘적 요소의 활성화가 함께 점화에 기여하는 것으로 해석하였다.
This study compared the activation view with acquisition view of implicit memory by examining the priming of lexical and nonlexical components of Korean words. In Experiments 1-2, levels-of-processing(LOP) was manipulated at encoding stage and subjects performed a word fragment completion(WFC : implicit memory) and a recognition(explicit memory) task in which the targets were meaning- and orthographically-related components or only orthographically-related components of the primes. The targets were word fragments of first two letters(beginning component) (Experiment I) or those of last two letters(ending component) (Experiment 2) in three-letters prim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LOP had a large effect on recognition but no effect on WFC. Also, priming was obtained for orthographically-related beginning components even though it was smaller than that for meaning-related beginning components in Experiment 1, and priming was obtained only for meaning-related ending components in Experiment 2. These results were replicated in Experiment 3 using a perceptual identification(PI) task. In Experiment 4 using a PI task in which the targets were orthographically-related nonword components, priming was obtained for beginning components. Both acquisition of new representations of nonlexical(orthographic) components and activation of preexisting lexical(meaning) components appear to contribute to prim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