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9-0661
  • E-ISSN1229-0661
  • KCI

‘삶의 만족’은 만족스러운가: 주관적 웰빙 측정의 보완

Is ‘Life Satisfaction’ satisfactory?: Complementing the measurement of subjective well-being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P)1229-0661; (E)1229-0661
2009, v.15 no.1, pp.187-205
김정호 (덕성여자대학교)
유제민 (강남대학교)
서경현 (삼육대학교)
임성견 (인제대학교)
김선주 (덕성여자대학교)
김미리혜 (덕성여자대학교)
공수자 (조선간호대학)
강태영 (덕성여자대학교)
이지선 (덕성여자대학교)
황정은 (덕성여자대학교)

초록

본 연구에서는 김정호 등의 동기상태이론에 기초해서, 주관적 웰빙의 인지적 요소의 측정으로 현재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삶의 만족척도 외에 삶의 기대척도를 추가한 김정호(2007)의 연구를 확장하여 주관적 웰빙 측정의 보완을 다루었다. 본 연구에는 삶의 기대척도 외에 삶의 만족을 위한 동기의 강도를 측정하기 위해 삶의 동기척도를 포함하였다. 본 연구에는 모두 286명의 남녀 대학생이 참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본 연구에서 주관적 웰빙의 구성요소로 삶의 만족과 삶의 기대가 독립적으로 구분이 되는지 보기 위해 각각의 측정에 사용되는 총 10 문항에 대해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삶의 만족척도와 삶의 기대척도의 문항들이 두 개의 요인으로 잘 구분되었다. 특히 삶의 만족척도뿐만 아니라 삶의 기대척도도 별도의 집단을 통한 검사-재검사에서 좋은 신뢰도를 보였다. 둘째, 주관적 웰빙과 관련된 변인의 설명에 삶의 만족, 삶의 기대 및 삶의 동기가 유의한 예측변인인지를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전반적으로 삶의 만족이 주요한 예측변인이었고 삶의 기대가 추가적으로 유의한 예측변인이었다. 예외적으로 특성분노의 경우에는 삶의 동기가 주요한 예측변인이었다. 셋째, 삶의 동기, 삶의 만족 및 삶의 기대와 웰빙 관련 변인들간의 관계에서 남녀에 따른 차이를 살펴본 결과 우울, 특성불안, 특성분노, 부정정서 등의 설명에서 약간의 차이를 보였다. 끝으로 동기상태이론의 입장에서 주관적 웰빙의 측정에서 삶의 기대의 포함이 갖는 중요성과 본 연구의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keywords
motivational states theory, life satisfaction, life satisfaction expectancy, life satisfaction motivation, subjective, motivational states theory, life satisfaction, life satisfaction expectancy, life satisfaction motivation, subjective, 동기상태이론, 동기, 삶의 동기, 삶의 만족, 삶의 기대, 주관적 웰빙, 안녕

Abstract

Based on the Motivational States Theory(MOST), the present research expanded and complemented Kim(2007)'s proposal to add the Life Satisfaction Expectancy Scale(LSES) to Diener et al's Satisfaction With Life Scale(SWLS) to measure subjective well-being(SWB). In the present study, the Life Satisfaction Motivation Scale(LSMS) was introduced to measure the strength of motivation for life satisfaction in general. Two hundred and eighty six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Factor analyses revealed a two-factor structure, with the factors corresponding to life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expectancy. Measures of internal and temporal reliability show the LSMS to be a good complement for the measure of SWB(The LSMS showed high internal and test-retest reliability). It was found that the addition of the LSES provided a significant increment in predictive power over the SWLS in the prediction of various factors related with well-being prediction. Exceptionally, in the prediction of anger the LSMS had the most predictive power. There were some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in the correlations among life satisfaction, life satisfaction expectancy and life satisfaction motivation and well-being-related factors. The merits of including LSES in the measurement of subjective well-being 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keywords
motivational states theory, life satisfaction, life satisfaction expectancy, life satisfaction motivation, subjective, motivational states theory, life satisfaction, life satisfaction expectancy, life satisfaction motivation, subjective, 동기상태이론, 동기, 삶의 동기, 삶의 만족, 삶의 기대, 주관적 웰빙, 안녕

참고문헌

1.

고려대학교 부설 행동과학연구소 편 (1998). 심리척도 핸드북. 서울: 학지사.

2.

김명소, 김혜원, 차경호 (2001). 심리적 안녕감의 구성개념분석: 한국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5(2), 19-39.

3.

김완석, 김영진 (1997). 주관적 안녕 척도: 공동생활 및 활동과의 연관.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3(1), 61-81.

4.

김의철, 박영신 (2006). 한국 사회에서 삶의 질을 구성하는 요인들에 대한 탐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2(5), 1-28.

5.

김정호 (2000a). 조금 더 행복해지기: 복지정서의 환경-행동 목록. 서울: 학지사.

6.

김정호 (2000b). 스트레스의 원인으로 작용하는 동기 및 인지. 학생생활연구, 16, 1-26. 덕성여자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7.

김정호 (2002). 비합리적 인지책략과 스트레스.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7, 287-315.

8.

김정호 (2005). 스트레스는 나의 스승이다. 서울: 아름다운인연.

9.

김정호 (2006). 동기상태이론: 스트레스와 웰빙의 통합적 이해.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1, 453-484.

10.

김정호 (2007). 삶의 만족 및 삶의 기대와 스트레스 및 웰빙의 관계: 동기상태이론의 적용.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2, 325-345.

11.

김정호 (2008). 행복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 대한스트레스학회지, 16, 123-141.

12.

김정호, 김선주 (1998a). 스트레스의 이해와 관리. 서울: 도서출판 아름다운세상.

13.

김정호, 김선주 (1998b). 복지정서의 환경-행동 목록을 통한 스트레스 관리. 사회과학연구, 5, 59-78. 덕성여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14.

김정호, 김선주 (2000). 심리학에서 본 건강: 총체적 복지로서의 건강. 김정희 (편), 도대체 건강이란 무엇인가(pp.73-101). 서울: 가산출판사.

15.

김정호, 임성견, 김선주, 유제민, 서경현, 김미리혜, 공수자 (2008). 긍정정서와 부정정서의 정서경험유형. 대한스트레스학회지, 16, 343-350.

16.

문은식 (2007). 중학생의 심리적 안녕에 관련되는 사회.동기적 변인들의 구조적 분석. 교육심리연구, 21, 459-475.

17.

박병기, 홍승표 (2004). 주관적 안녕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교육심리연구, 18, 159- 175.

18.

박영신, 김의철 (2008). 배우자의 사회적 지원, 자녀에 대한 신뢰 및 자기효능감이 성인의 가정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4(4), 71-101.

19.

오현숙 (2008). 대학생이 지각하는 취업전망, 영역별 삶의 목표 및 삶의 만족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4(4), 19-37.

20.

전겸구, 최상진, 양병창 (2001). 통합적 한국판 CES-D 개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6(1), 59-76.

21.

전겸구, 한덕웅, 이장호, Spielberger (1997). 한국판 STAXI 척도 개발: 분노와 혈압.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1), 60-78.

22.

전병제 (1974). 자아 개념 측정 가능성에 대한 연구. 연세논총, 11.

23.

조명한, 차경호 (1998). 삶의 질에 대한 국가간 비교. 서울: 집문당.

24.

차경호 (2004). 한국과 미국대학생의 주관적 안녕감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청소년학연구, 11(3), 321-337.

25.

한덕웅, 이장호, 전겸구 (1996). Spielberger의 상태-특성 불안검사 Y형의 개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1), 1-14.

26.

Andrews, F. M., & Withey, S. B. (1976). Social indicators of well-being. New York: Plenum Press.

27.

Bradburn, N. M. (1969). The structure of psychological well being. Chicago: Aldine.

28.

Diener, E. (1984). Subjective well-being. Psychological Bulletin, 95, 542-575.

29.

Diener, E. (2000). Subjective well-being: The science of happiness and a proposal for a national index. American Psychologist, 55(1), 34-43.

30.

Diener, E., Emmons, R. A., Larsen, R. J., & Griffin, S. (1985).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49, 71-75.

31.

Diener, E., & Lucas, R. (1999). Personality and subjective well-being. In D. Kahneman, E. Diener, & N. Schwarz (Eds.). Well-being: The foundations of hedonic psychology. New York: Russell Sage Foundation.

32.

Diener, E., Scollon, C. N., & Lucas, R. E. (2003). The evolving concept of subjective well-being: The Multifaceted nature of happiness. Advances in Cell Aging and Gerontology, 15, 187-219.

33.

Diener, E., Suh, E., Lucas, R. E., & Smith, H. L. (1999). Subjective well-being: Three decades of progress. Psychological Bulletin, 125, 276-302.

34.

Emmons, R. A. (1986). Personal strivings: An approach to personality and subjective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 1058-1068.

35.

Feist, F. J., Bodner, T. E., Jacobs, J. F., Miles, M., & Tan, V. (1995). Integrating top-down and bottom-up structural models of subjective well-being: A longitudinal investig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8, 138-150.

36.

Keyes, C. L. M. (1998). Social well-being. Social Psychology Quarterly, 61(2), 121-137.

37.

Kim, J.-H., Kim, S.-J., & Kim, M. (1999, August). On the definition of stress and well-being: An extension of Lazarus Model. The 3rd Conference of the Asian Association of Social Psychology, Taipei, Taiwan.

38.

Lucas, R. E., Diener, E., & Suh, E. (1996). Discriminant validity of subjective well-being measur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1, 616-628.

39.

Lyubomirsky, S. (2007). The how of happiness: A scientific approach to getting the life you want. New York: The Penguin Press.

40.

Lyubomirsky, S., & Lepper, H. S. (1999) A measure of subjective happiness: Preliminary reliability and construct validation. Social Indicators Research, 46, 137-155.

41.

Pavot, W., Diener, E., & Suh, E. (1998). The temporal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70, 340-354.

42.

Radloff, L. S. (1977). The CES-D scale: 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1, 385-401.

43.

Ryff, C. D. (1989). Happiness is everything, or is it? Explorations on the Meaning of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7, 1069-1081.

44.

Ryff, C. D., & Keyes, C. L. M. (1995). The structure of psychological well-being revisited.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9, 719-727.

45.

Rosenberg, M. (1965). Society and the adolescent child. Princeton, NJ: Preinceton University Press.

46.

Ryan, R. M., & Deci, E. L. (2001). On happiness and human potentials: A review of research on hedonic and eudaimonic well-being. Annual Review of Psychology, 52, 141-166.

47.

Scitovski, T. (1976). The joyless economy: An inquiry into human satisfaction and consumer dissatisfa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Oxford.

48.

Seligman, M. E. P., & Csikszentmihalyi, M. (2000). Positive psychology: An introduction. American Psychologist, 55(1), 5-14.

49.

Spielberger, C. D. (1983). Manual for the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STAI (Form Y) Palo Alto, CA: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50.

Spielberger, C. D. (1988). Professional manual for the 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 (STAXI) (research ed.). Pampa, FL: 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s, Inc.

51.

Van Dierendonck, D. (2004). The construct validity of Ryff's scales of psychological well-being and its extension with spiritual well-being.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36, 629-643.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