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문제 직시가 상담성과에 미치는 영향 -‘이야기 방식’에 기초한 보고 형태-

The Effect of Facing What Is True in Counseling - Reporting Style Based on Narrative Methods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P)1229-0661; (E)1229-0661
2009, v.15 no.4, pp.529-546
장성숙 (가톨릭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한국적 상담의 한 모형으로 제안된 현실역동 상담접근의 특성 및 다양한 상담이론이 근거하고 있는 주요 범주를 소개한다. 그리고는 갈등문제를 일으킨 실체에 대한 정확한 이해 즉, 현실역동 상담에서 제 1의 특성으로 삼고 있는 문제의 진상에 대한 파악이 얼마나 중요한 것인지를 질적 연구의 한 방안인 “이야기 방식’으로서 부각시키고자 한다. ‘이야기 방식’은 상담자의 진술적 보고로서 상담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축어록 방식과 성격을 달리한다. 이야기 방식은 해석학적 모델에 근거한 하나의 방안으로서 의도한 정보 및 의미 전달에 매우 유용하다. 본 연구에 소개된 사례의 내담자는 가족 간의 불화로 2년 이상 개인상담을 받는 동안 진전을 보이지 않다가 집단상담에 와서 문제의 실체를 명확하게 파악하고 곧 바로 호전을 보인 사람이다.

keywords
현실역동 상담, 문제의 진상 파악, 질적 연구, 이야기 방식, Reality Dynamic Counseling, grasping the real cause, qualitative research, narrative method

Abstract

Korean clients show a tendency to hide the real causes of problem. Therefore the ‘grasping the real cause of a problem’ is regarded as the first characteristic in Reality Dynamic Counseling. Many counselors stress over how express empathy with a client rather than understanding a problem. However the attitude change wouldn't be attained without grasping the real cause of a problem. The researcher tries to demonstrate how this characteristic is at play in counseling process. The researcher illustrates this process by ‘narrative method’ as one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he client who had received counseling for stress disorder and insomnia took a turn for the better as soon as getting at the truth of his problem.

keywords
현실역동 상담, 문제의 진상 파악, 질적 연구, 이야기 방식, Reality Dynamic Counseling, grasping the real cause, qualitative research, narrative method

참고문헌

1.

김의철, 박영신 (2007). 한국사회의 교육적 성취(Ⅱ): 한국 청소년의 학업성취에 대한 심리적 토대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4(1). 63-109.

2.

이원표 (2001). 담화분석: 방법론과 화용 및 사회언어학적 연구의 시례. 한국문화사.

3.

이정모 (1995a). 과학적 심리학의 이론적 기초: 기본 가정의 분석. 한국심리학회 1995년도 심리학 동계연구쎄미나 초록. 197-249.

4.

이정모 (2009). 인지과학: 학문 간 융합의 원리와 응용.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5.

장성숙 (2000). 현실역동상담: 한국인의 특성에 적합한 상담 접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2(2), 17-32.

6.

장성숙 (2004). 한국문화에서 상담자의 초점: ‘개인중심’ 또는 ‘역할중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8(3), 15-27.

7.

장성숙 (2007). 가족주의와 현실역동상담의 일체적 관점.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9(3), 523-537.

8.

장성숙 (2007). 상담사례 과정에 반영된 현실역동상담의 특성.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4(1), 349-365.

9.

최봉영 (2007). 한국사회의 가족문화. 제 8회 현실역동상담 학술세미나 가족주의와 상담의 관계, 7-22.

10.

최상진 (2000). 한국인 심리학. 서울: 중앙대학교 출판부.

11.

한규석 (2002). 사회심리학의 이해(개정판). 서울: 학지사.

12.

한성열 (2005). 한국인의 문화 특수성: 가족관계로 본 한국 문화의 특성. 한국 문화의 특성과 상담.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제 5회 학술심포지엄 논문집. 21-30.

13.

Bickhard, M. H. (1992). Myths of science: Misconceptions of science in contemporary psychology. Theory & Psychology 2, 3, 321-337.

14.

Corey, G. (2001). Theory and practice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6th Ed.). Thomson. 조현춘, 조현재(역). 심리상담과 치료의 이론과 실제. 시그마프레스.

15.

Friedberg, R. D., & McClue, J. M. (2002). Clinical practice of cognitive therapy with children and adolescents. New York: Guilford Press.

16.

Kenberg, O. F. (1997). Convergences and divergences in contemporary psychoanalytic technique and psychoanalytic psychotherapy. In J. K. Zeig(Ed.), The Evolution of Psychotherapy: The third conference, 3-22. New York: Brunner/Mazel.

17.

Lieblich, A., McAdams, D. P., & Josselson, R. (Eds.) (2004). Healing plots: The narrative basis of psychotherapy.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8.

O'hear, A. (1989). An introduction to the philosophy of science. Oxford Univer. Press. 신중섭(역). 현대의 과학철학 입문. 서광사.

19.

Salmon. W. C. (1989). Four decades of scientific explanation. In. P. Kitcher & W. C. Salmon (Eds.), Scientific explanation. Minneapolis: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pp. 3-219)

20.

Schmidt, F. J. (1996). Statistical significance testing and cumulative knowledge in psychology: Implications for training of researchers. Psychological Methods, 1, 2. 115-129.

21.

Yalom, I. D. (2005). The theory and practice of group psychotherapy. United States: Basic Books. 최 해림, 장성숙(역). 집단정신치료의 이론과 실제. 서울: 하나의학사.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