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9-0661
  • E-ISSN1229-0661
  • KCI

적응적 게임활용 척도 개발 및 타당화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daptive Game Use Scale(AGUS)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P)1229-0661; (E)1229-0661
2009, v.15 no.4, pp.565-589
최훈석 (성균관대학교)
김교헌 (충남대학교)
용정순 (성균관대학교심리학과)
김금미 (성균관대학교)

초록

본 연구에서는 게임 사용의 부정적 결과에 초점을 둔 선행 연구와 달리, 게임활용의 긍정적 결과로서의 적응적 게임활용도를 측정하는 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하였다. 예비조사를 통해 적응적 게임활용 측정 도구를 개발하고, 유층표집을 통해 선정된 전국 중고등학생 600명을 대상으로 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활력 경험, 생활경험 확장, 여가 선용, 몰입 경험, 자긍심 경험, 통제력 경험, 사회적 지지망 유지 및 확장 등 7개의 요인으로 구성되는 척도의 신뢰도와 시간에 걸친 안정성이 확인되었다. 또한, 척도의 구성타당도, 변별타당도, 및 공인타당도를 확인하였다. 게임 연구의 외연 확장과 관련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장래 연구 방향을 논의하였다.

keywords
Game, Adaptive game behavior, Game addiction, 게임, 게임의 적응적 활용, 중독적 게임이용 경향성

Abstract

The present study explored the major components of adaptive game behavior among adolescents in Korea. Based on relevant research and a pilot testing, an Adaptive Game Use Scale (AGUS) was developed and validated. A stratified sampling procedure was used to draw a representative sample, and a total of 600 male and female students from middle schools and high schools in various regions participated in the study. Factor analyses revealed 7 facets of adaptive game behavior, including experiencing vitality, expanding life experience, making good use of leisure time, experiencing flow, exercising control, experiencing self-esteem, maintaining and expanding social network. Internal consistency and temporal stability(4 weeks) of the scale were both high.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indicated that a 7-factor hierarchical model fits well with the data. Moreover, additional analyses suggested that AGUS and game addiction are conceptually distinct. Correlational analyses also indicated that AGUS has good discriminant validity and concurrent validity.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and future directions were discussed.

keywords
Game, Adaptive game behavior, Game addiction, 게임, 게임의 적응적 활용, 중독적 게임이용 경향성

참고문헌

1.

게임종합지원센터(편) (2001). 대한민국 게임백서: 2001. 서울: 게임종합지원센터.

2.

곽금주, 강수연 (1997). 전자게임에 몰입한 아동의 심리진단적 특성(Ⅰ): 사례 중심으로. 인간발달연구, 4(1), 1-18.

3.

권재원 (2004). 청소년의 여가․문화를 위한 컴퓨터 게임 선별 연구: 몰입․중독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사회과교육학회, 36(1), 1-21.

4.

권정혜 (2005). 청소년의 인터넷 게임 부적응: 시간에 따른 변화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4(2), 267- 280.

5.

김교헌, 김지환 (1989). 한국판 UCLA 고독척도. 학생생활연구, 17, 7-19.

6.

김교헌, 전겸구 (1993). 중학생용 생활스트레스와 대처 척도의 개발연구1.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2(2), 197-217.

7.

김교헌, 태관식 (2001). 자기노출이 청소년의 컴퓨터 중독 개선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6(1), 177-194.

8.

김양은, 박상호 (2007a). 온라인게임이 게이머의 플로우 경험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보, 21(2), 179- 208.

9.

김양은, 박상호 (2007b). 온라인 게임이용이 게임몰입 및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용과 충족 접근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51, 355-377.

10.

문성원 (2003). 한국판 청소년용 사회적 기술 평정척도 Ι (K-SSRS: 중고생용 Ι)의 표준화: 신뢰도와 타당도 그리고 유용성.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5(2), 235- 258.

11.

문화관광부 (2004). 온라인게임 역기능 실태 조사 및 대처방안.

12.

박승민, 김창대 (2005). 온라인 게임 과다사용 청소년의 게임행동 조절 유형 분석. 교육심리연구, 19(4), 999-1022.

13.

박유진, 김재휘 (2002). 여가정체성 현출성에 따라 여가경험이 여가 및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적극형 여가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1(2), 141-161.

14.

반건호, 신민섭, 조수철, 홍강의 (2001). 청소년 ADHD 평가도구 개발을 위한 예비연구-CASS(S)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소아청소년 정신의학, 12, 218-224.

15.

성영신, 고동우, 정준호 (1996). 여가의 심리적 의미.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9(2), 17-40.

16.

손영미, 이장주, 김정원 (2007). 게임라이프스타일에 따른 e스포츠 행동 및 심리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3(4), 29-52.

17.

신혜진, 김창대 (2002). 스트레스 대처 전략 검사(Coping Strategy Indicator)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4, 919- 935.

18.

위정현, 원은석 (2006). 효과적인 구성주의 학습도구로써 온라인게임활용: 대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게임 ‘군주’를 활용한 경영전략 수업의 구성주의적 고찰. 한국게임학회, 6(4), 25-37.

19.

위정현, 원은석 (2007). ‘악’에서 ‘선’으로: 온라인 게임과 교육의 만남. 세계게임문화컨퍼런스 논문집(pp. 81-103). 한국게임산업진흥원.

20.

이경주 (1997).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 및 행동문제. 전남대학교 박사학위청구논문.

21.

이명희, 김아영 (2005). 자기결정성이론에 근거한 한국형 기본 심리 욕구 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2(4), 157-174.

22.

이송선 (2000). 청소년 컴퓨터 게임 부적응과 정서적 특성과의 관계. 서울여대 석사학위청구논문.

23.

이시영, 이세용, 김은정, 오승근 (2000). 청소년 인터넷 중독과 자녀교육. 서울: 사회정신건강연구소.

24.

이주리 (1994). 유아 및 아동의 가정환경 및 또래환경과 力量知覺. 서울대학교 박사학위청구논문.

25.

이현희, 강은정, 이민규 (2003). 한국판 정적 정서 및 부적 정서 척도(PANAS)의 타당화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2(4), 935-946.

26.

이형초, 안창일 (2002). 인터넷게임 부적응의 진단척도 개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7(2), 211-239.

27.

장재홍 (2005). 인터넷 사용욕구와 심리사회변인들이 청소년의 게임 중독에 미치는 영향: 성별에 따른 비교. 미래청소년학회지, 2(2), 39-55.

28.

장미경, 이은경, 장해홍, 이자영, 김은영, 이문희 (2004). 게임장르에 따른 게임중독, 인터넷 사용욕구 및 심리사회 변인 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6(4), 705-722.

29.

전병제 (1974). 자아개념측정 가능성에 관한 연구. 연세논총, 11(1), 107-130.

30.

정보통신부, 한국인터넷진흥원 (2006). 상반기 정보화 실태 조사. 서울: 한국인터넷진흥원.

31.

조수철, 이영식 (1990). 한국형 소아 우울 척도의 개발. 신경정신의학, 29, 943-956.

32.

조수철, 최진숙 (1989). 한국형 소아의 상태․특성불안척도의 개발. 서울의대 정신의학, 14(3), 150-157.

33.

조은예, 최인수 (2007). 재미에 관한 아동의 암묵적 지식과 플로우와의 관계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2(1), 115-132.

34.

최훈석, 김교헌, 김금미 (2008). 게임 이용에 대한 인식 및 행동진단 모델 연구. 한국게임산업진흥원.

35.

최훈석, 정지인 (2008). 미래사건에 대한 시각조망의 효과: 1인칭 조망과 3인칭 조망의 비교. 한국 사회 및 성격심리학회 동계 학술대회 논문집, 135-140.

36.

한국게임산업개발원 (2003). 대한민국 게임백서 2004.

37.

한국게임산업개발원 (2006). 온라인게임 이용실태조사 모형설계.

38.

한국정보문화진흥원 (2006). 유․아동 및 청소년의 인터넷 게임 중독척도 개발 연구.

39.

황상민 (2007). 사이버 공간과 게임에서의 재미.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 논문집, 20-21.

40.

황상민, 허세진, 허미연 (2005). ‘과소비 현상’으로서의 온라인 게임 부적응: 디지털 공간의 상품성과 온라인 게임세계의 럭셔리 신드롬.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 논문집, 59-60.

41.

허태균, 박정열, 장훈, 김소혜 (2007). 여가동기의 재구성: 여가동기에 따른 여가활동 선호.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3(4), 135-153.

42.

Browne, M. W., & Cudeck, R. (1993). Alternative ways of assessing model fit. In K. A. Bollen, & J. S. Long (Eds.), Testing structual equation models. Newbury Park, CA: Sage Publications.

43.

Cacioppo, J. T., & Berntson, G. G. (2005). Social neuroscience: Key readings. New York: Psychology press.

44.

Cacioppo, J. T., Petty, R. E., Feinstein, J. A., & Jarvis, W. B. G. (1996). Dispositional differences in cognitive motivation: The life and times of individuals varying in need for cognition. Psychological Bulletin, 119, 197-253.

45.

Csikszentmihalyi, M. (1990). Flow: The psychology of optimal experience. New York: Harper & Row.

46.

Durkin, K., & Barber, B. (2002). Not so doomed: Computer game play and positive adolescent development.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23, 373-392.

47.

Elliot, P. (1974). Uses and gratifications research: A critique and sociological alternative. In J. Blumler & E. Katz (Eds.), The uses of mass communication: Current perspectives in gratifications research (pp. 249-268). Beverly Hills: Sage.

48.

Garris, R., Ahlers, R., & Driskell, J. E. (2002). Games, motivation, and learning: A research and practice model, Simulation Gaming, 33, 441-467.

49.

Gee, J. P. (2005). Pleasure, learning, video games, and life: The projective stance. E-Learning, 2, 211-223.

50.

Gentile, D. A., Anderson, C. A., Yukawa, S., Saleem, M, Lim, K. M., Shibuya, A., Kiau, A. K., Khoo, A., Bushman, B. J., Huesmann, L. R., & Sakamoto, A. (in press). The effects of prosocial video games on prosocial behaviors: International evidence from correlational, longitudinal, and experimental studies.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51.

Goodman, D., Bradley, N. L., Paras, B., Williamson, I. J., & Bizzochi, J. (2006). Video gaming promotes concussion knowledge acquisition in youth hockey players. Journal of Adolescence, 29, 351–360.

52.

Greenfield, D. N. (1999). Nature of Internet addiction: Psychological factors in compulsive Internet use. In B. L. Gordon & M. M. Maheu (Eds.), Symposium: New findings on effects of Internet use. Convention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Boston, MA: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53.

Griffiths, M. (2002). The educational benefits of video games. Education and Health, 20, 47-51.

54.

Hair, J. F., Jr., Black, W. C., Babin, B. J., Anderson, R. E., & Tatham, R. L. (2006). Multivariate data analysis. Upper Saddle River, NJ: Pearson.

55.

Kishton, J. M., & Widaman, K. F. (1994). Unidimensional versus domain representative parceling of questionnaire items: An empirical example.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54, 757-765.

56.

Lager, A., & Bremberg, S. (2005). Health effects of video and computer game playing: A systematic review of scientific studies. National Swedish Public Health Institute. 2005.

57.

Lee, K. M., & Peng, W. (2006). What do we know about social and psychological effects of computer games? In P. Vorderer & J. Bryant (Eds.), Playing video games: Motives, responses, and consequences (pp. 327-345). Hillsdale, NJ: Lawrence Earlbaum Associates.

58.

Libby, L., Eibach, R. P., & Gilovich, T. (2005). Here's looking at me: The effect of memory perspective on assessments of personal chang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8, 50-62.

59.

Lieberman, D. A. (2001). Management of chronic pediatric diseases with interactive health. games: Theory and research findings. Journal of Ambulatory Care Management, 24, 26-38.

60.

Martin, G. L., & Pear, J. (2006). Behavior modification: What it is and how to do it (8th ed.). Englewood-Cliffs, NJ: Prentice Hall.

61.

Shaffer, H. J., LaPlante, D. A., LaBrie, R. A., Kidman, R. C., Donato, A., & Stanton, M. V. (2004). Toward a syndrome model of addiction: Multiple manifestations, common etiology. Harvard Review of Psychiatry, 12(6), 367-374.

62.

Sydney, E., Wendy, H., Deanna, N. A., Shawna, P., James, K., Daneen, D., Jay, T., & Robert, C. (2005). A new measure of children's optimism and pessimism: The youth life orientation test.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46(5), 548-558.

63.

Taylor, S. E. (2009). Health psychology (7th ed.). New York: McGraw-Hill.

64.

Trope, Y., & Liberman, N. (2003). Temporal construal. Psychological Review, 110, 403-421.

65.

Watson, D., Clark, L. A., & Tellegen, A. (1988).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brief measures of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The PANAS scal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4, 1063-1070.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