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스트레스와 우울에 대한 부모의 사회적 지원, 어려움극복효능감, 스트레스 관리행동의 영향: 초, 중, 대학생 집단을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parental social support and resiliency of efficacy on stress, depression, and stress management behavior: Comparative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middle school and university students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P)1229-0661; (E)1229-0661
2010, v.16 no.2, pp.197-219
김의철 (인하대학교)
박영신 (인하대학교)
김의연 (Kurume University)
Tsuda Akira (kurume University)
Horiuchi, Satoshi (kurume University)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influence of parental social support and resiliency of efficacy on stress, depression and stress management behavior. A total of 799 participants (male=386, female=413), consisting of 184 elementary school, 354 middle school, 274 university students completed a questionnaire that included Rhode Island Stress Scale (Horiuchi, Tsuda, Tanaka, Yajima & Tsuda, in press), Stress Management Behavior Scale (Evers, Prochaska, Johnson, Mauriello, Padula & Prochaska, 2006), Becks' Depression Inventory (BDI-Ⅱ, Beck, Steer & Brown, 1996; CES-D, Radloff, 1977), Resiliency of Efficacy (Bandura, 1995), and Parental Social Support (Kim & Park, 1999). The results of path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resiliency of Efficacy had a direct and negative effect on stress and depression and direct positive effect on stress management. Second, stress management behavior did not have any influence on stress. Third, parental social support had a direct and positive effect on resiliency of efficacy. This pattern of results were found for elementary school, middle school and university students. When depression was measured by CES-D Scale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y of Depression) parental social support and resiliency of efficacy had a different parental of influence on stress, depression and stress management behavior, pointing out the importance of conducting comparative analysis of various measures of depression.

keywords
stress, depression, parental social support, resiliency of efficacy, stress management, 우울, 스트레스, 어려움극복효능감, 부모의 사회적 지원, 스트레스 관리행동

참고문헌

1.

권혁호, 박영신, 김의철 (2002). 사회적 지원, 자기효능감과 스트레스의 관계.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발표대회 논문집, pp.149-154. 10월 19일. 대구: 영남대학교 국제관 파인룸.

2.

김광숙, 김정희 (2007). 꾸물거림과 성격의 5요인, 자기효능감, 자기존중감 및 우울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9(4), 933-947.

3.

김근홍, 이민규 (1998). 완벽주의 성형과 자기효능감이 우울과 과제수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7(1), 211-222.

4.

김명식, 이임순, 이창선 (2007). 한국판 BDI-Ⅱ의 타당화 연구 I: 여대생을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6(4), 997-1014.

5.

김은희, 이종한 (2005). 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자기효능감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발표대회 논문집, pp.156-157. 8월 25-27일. 지리산 한화리조트.

6.

김의연, 홍광식, Tsuda, A., 박영신, 김의철 (2008). 범이론종합모델(TTM)을 이용한 스트레스관리 행동변화의 시도.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발표대회 논문집, pp.20-21. 8월 20 -22일. 서울: 육군사관학교.

7.

김의철, 박영신 (1997). 스트레스 경험, 대처와 적응결과: 토착심리학적 접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1), 96-126.

8.

김의철, 박영신 (1999). 한국 청소년의 심리, 행동특성의 형성: 가정, 학교, 친구, 사회 영향을 중심으로, 교육심리연구, 13(1), 99-142.

9.

김의철, 박영신 (2001). IMF시대 한국 학생과 성인의 스트레스와 대처양식 및 생활만족도에 대한 연구: 사회적 지원과 자기효능감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6(1), 77-105.

10.

김의철, 홍천수, 이정권, 박영신 (2005). 건강과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한 분석: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원 및 질병관리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1(2), 143-181.

11.

김의철, Tsuda, A., 박영신, 김의연, Horiuchi, S. (2009). 한국과 일본 대학생의 스트레스 증상과 관리행동의 비교: 사회적 지원과 자기효능감을 중심으로. 인간발달연구, 16(1), 139-164.

12.

문양호, 김완일 (2006). 사관생도와 대학생의 스트레스 분석 및 자기효능감, 스트레스 대처방식, 그리고 지각된 스트레스의 관계성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1(2), 485-501.

13.

박영신, 김의철 (2004). 한국인의 부모자녀관계: 자기개념과 가족역할 인식의 토착심리 탐구. 서울: 교육과학사.

14.

박영신, 김의철 (2008). 배우자의 사회적 지원, 자녀에 대한 신뢰 및 자기효능감이 성인의 가정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4(4), 71-101.

15.

박영신, 김의철 (2009a). 한국 청소년의 행복: 심리적, 관계적, 경제적 자원과 학업성취의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5(3), 399-429.

16.

박영신, 김의철 (2009b). 한국 성인 남녀가 행복에 이르는 길: 직업 성취, 자녀 성공, 정서적 지원과 자기효능감의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4(3), 467-495.

17.

박영신, 김의철, 김묘성 (2002). IMF시대 이후 초, 중, 고, 대학생과 부모의 스트레스 경험과 대처양식 및 사회적 지원: 토착심리학적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8(2), 105-135.

18.

박영신, 김의철, 민병기 (2002). 부모의 사회적 지원, 청소년의 자기효능감과 생활만족도: 변화에 대한 종단자료 분석과 생활만족도 형성에 대한 구조적 관계 분석. 교육심리연구, 16(2), 63-92.

19.

박영신, Tsuda, A., 김의철, 한기혜, 김의연, Horiuchi, S. (2009). 한국과 일본 대학생의 스트레스와 우울에 대한 분석: 부모의 사회적 지원, 어려움극복효능감, 스트레스 관리행동의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5(1), 1-28.

20.

이정은, 이민규 (2005). 자기복잡성과 자기효능감이 우울과 지각된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발표대회 논문집, pp.422-423. 8월 25-27일. 지리산 한화리조트.

21.

전겸구, 최상진, 양병창 (2001). 통합적 한국판 CES-D 개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6(1), 59-76.

22.

조유진, 김광웅 (2002). 암환아와 일반아의 사회적 지지 지각과 불안, 우울 및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4(1), 73-89.

23.

허지연, 손은정 (2008). 청년기와 중년기 집단에서의 삶의 의미와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 자기효능감과 지각된 사회적 지지를 매개변인으로.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발표대회 논문집, pp.340-341. 8월 20-22일. 서울: 육군사관학교.

24.

Bandura, A. (1991). Self-efficacy mechanism in physiological activation and health-promoting behavior. In J. Madden, IV (Ed.). Neurobiology of learning, emotion and affect, (pp.229-270). New York: Raven.

25.

Bandura, A. (1995). Manual for the construction of self-efficacy scales. Unpublished manuscript, Dept. of Psychology, Stanford University, USA.

26.

Bandura, A. (2001). 자기효능감과 삶의 질: 교육 건강 운동 조직에서의 성취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박영신과 김의철 역). 서울: 교육과학사. (원전은 1997에 출판).

27.

Beck, A. T., Steer, R. A., & Brown, G. K. (1996). Beck depression inventory (2nd Manual). San Anconio, TX: The Psychological Corporation.

28.

Beck, A. T, Ward, C. H., Mendelson, M., Mock, J., & Erbaugh, J. (1961). An inventory for measuring depression. Archive of General Psychiatry, 4, 561-571.

29.

Evers, K. E., Prochaska, J. O., Johnson, J. L., Mauriello, L. M., Padula, J. A., & Prochaska, J. M. (2006). A randomized clinical trial of a population- and transtheoretical model-based stress-Management Intervention. Health Psychology, 25(4), 521-529.

30.

Fava, J. L., Ruggiero, L., & Grimley, D. M.(1998). The development and structural confirmation of the Rhode Island Stress and Coping Inventory. Journal of Behavioral Medicine, 21(6), 601-611.

31.

Holahan, C. K., & Holahan, C. J. (1987). Self-efficacy, social support, and depression in aging: A longitudinal analysis. Journal of Gerontology, 42, 65-68.

32.

Hori, M., & Shimazu, A. (2007). A stress management program for university students. Japanese Journal of Psychology, 78(3), 284-289.

33.

Horiuchi, S., Tsuda, A., Kim, E., Hong, K. S. Park, Y. S., & Kim, U (submitted). Relationships between stage of change for stress management behavior and perceived stress and coping.

34.

Horiuchi, S., Tsuda, A., Tanaka, Y., Yajima, J., & Tsuda, S. (in press). Development of the Japanese version of the Rhode Island Stress and Coping Inventory: Examination of reliability and validity. Behavioral Science Research.

35.

House, J. S., Landis, K. R., & Umberson, D. (1988). Social relationships and health. Science, 241, 540-545.

36.

Kim, U., & Park, Y. S. (2006). Indigenous psychological analysis of academic achievement in Korea: The influence of self-efficacy, parents and culture.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logy, 41(4), 287-292.

37.

Lazarus, R. S., & Folkman, S. (1984).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ew York: Springer- Verlag.

38.

Megumi, O., & Shinji, S. (2007). Psycho -educational program for preventing depression in female college students: A cognitive behavioral approach to promoting self-efficacy. Japanes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55(1), 106-119.

39.

O'Leary, A., Shoor, S., Lorig, K., Holman, H. R. (1988). A cognitive-behavioral treatment for rheumatoid arthritis. Health Psychology, 7, 527-544.

40.

Padlina, O., Aubert, L., Gehring, T. M., Martin-Diener, E., & Somaini, B. (2001). Stages of change for perceived stress in a Swiss population sample: An explorative study. Soz.-Präventivmed, 46, 396-403.

41.

Park, Y. S. (2008). Parent-child relationship, academic achievement and quality of life: The role of self-regulation, social support, and efficacy beliefs in Korea. Invited keynote address at the XXIX International Congress of Psychology, p. 168. July 20-25, International Congress Centrum Berlin, Germany.

42.

Pro-change (2006). Roadway to healthy living: A gide for effective stress management. Pro-change life style management manual, Pro-change behavior systems, Inc.

43.

Radloff, L. S. (1977). The CES-D scale: 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1, 385-401.

44.

Wiedenfeld, S. A., O'Leary, A., Bandura, A., Brown, S., Levine, S., & Raska, K. (1990). Impact of perceived self-efficacy in coping with stressors on components of the immune system.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9, 1082-1094.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