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9-0661
  • E-ISSN1229-0661
  • KCI

자살보도에 대한 지각과 인식: 사회학습효과의 검증

The roles of perception and attitudes toward media reports of suicides in social learning effects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P)1229-0661; (E)1229-0661
2010, v.16 no.2, pp.179-195
허태균 (고려대학교)
배준성 (고려대학교)

초록

기존의 논문들은 미디어의 자살보도와 시․공간적으로 근접한 자살사건 간의 관련성을 보고하고 그 영향에서의 사회학습적 효과를 제안했지만, 구체적인 심리적 과정을 확인하지 못하였다. 본 연구는 미디어의 자살보도가 우리나라 성인들의 지각, 기억, 태도에 영향을 미치고 결국 자살에 대한 태도와 인식을 변화시켜 모방자살을 증가시키게 된다는 사회학습과정에서의 인지적 기제를 확인하고자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300명의 일반 성인들을 대상으로 자살보도에 대한 지각, 기억, 태도, 그리고 자살보도의 부정적인 영향과 긍정적인 영향에 대한 인식을 측정하고 마지막으로 자살에 대한 태도와 행동을 측정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일반인들은 보도내용 중에서 모방자살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내용들을 더 많이 기억하고 있었으며, 자살보도로 인한 부정적 영향과 국민의 알권리에 대한 이중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리고 자살보도로 인해서 자살자가 얻는 보상에 대한 지각이 모방자살에 대한 긍정적 생각과 태도를 일으키는 것으로 밝혀져 모방자살에서의 사회학습적 기제의 역할을 지지하는 결과를 얻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하여 향후 미디어의 자살보도에 대한 심리학적 접근의 방향과 자살보도의 제한에 대한 함의점을 논하였다.

keywords
자살, 미디어, 모방자살, 사회학습이론, 보도지침, suicide, copycat suicide, media, social learning, media guideline

Abstract

Media reports of suicides has been found to increase suicide cases that were temporally and spacially proximal to the reports, but the psychological mechanisms, social learning, underlying the negative effects was not directly tested.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cognitive processes of social learning that media reports of suicides, especially positive contents toward suicides, might change people's perception, memory, and attitudes toward suicides positively and subsequently increase subsequent suicide intentions and behaviors. Through an internet survey, 300 adults reported their perception, memory, and attitudes toward news reports of suicides, and rated whether the suicides were described positively or negatively in the reports. Finally they reported their suicide intentions and behaviors. The results revealed that people tended to remember more the contents of suicide reports suggested to increase copycat suicides. Also, people were found to have an ironic view to suicide reports of media that they acknowledged the dangers of suicides reports and approached the reports with curiosity. More importantly, the perception of the positive reward that suicides might achieved through suicides was related with positive attitudes toward suicides and behavioral intention to suicides. The present findings was discussed in the social learning understanding of copycat suicides and their implications for suicide-prevention strategies.

keywords
자살, 미디어, 모방자살, 사회학습이론, 보도지침, suicide, copycat suicide, media, social learning, media guideline

참고문헌

1.

김병철 (2010). 자살 보도가 잠재적 자살자에게 미치는 영향. 커뮤니케이션학 연구, 18(1), 41-63.

2.

김연종 (2005). 자살보도 권고기준과 한국 신문의 자살보도 행태 분석. 한국언론학보, 49(6), 140-166.

3.

김인숙 (2009). 연예인 자살보도와 제3자 효과: 언론의 연예인 자살보도에 대한 태도, 미디어 이용, 미디어 규제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언론과학연구, 9(3), 15-36.

4.

김효창 (2006). 성인 자살의 특성과 자살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2(1), 15-33.

5.

박광순, 안종묵 (2006). 포털사이트 프론트(front) 페이지 뉴스의 특성에 관한 연구: 연성/경성뉴스, 소제목, 하이퍼링크, 뉴스원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50(6), 199 -226.

6.

박상칠, 조용범 (1997). 자살, 예방할 수 있다. 서울: 학지사.

7.

서에스더 (2010). 부모 및 친구관계 정서적친밀도가 청소년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관계적 후유증이 언급된 자살보도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송동호, 이홍식, 전여숙, 정유숙 (1996). 청소년 자살기도자의 정신의학적 특성. 신경정신의학, 35(6), 1366-1373.

9.

신민섭, 박광배, 오경자 (1991). 우울증과 충동성이 청소년들의 자살행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0(1), 286-297.

10.

정승민, 박영주 (2009). 자살보도가 자살위험성에 미치는 조건적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경찰연구, 8(2), 153-182.

11.

이누미야 요시유키, 한성열 (2004). 사생관 척도의 개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0(1), 31-82.

12.

이재신, 이영수, 이민영 (2009). 포털 중심의 뉴스 소비환경이 뉴스통신사의 역할에 미친 영향. 언론과학연구, 9(3), 355-387.

13.

이재진 (2004). 연예인 관련 언론소송에서 나타난 한, 미간의 위법성조각사유에 대한 비교연구: “공인이론”과 “알권리”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18(3), 7-50.

14.

이재진 (2005). 저널리즘 영역에 있어서의 알권리의 기원과 개념변화에 대한 연구. 언론과학연구, 5(1), 231-264.

15.

통계청 (2009). 2008년 사망원인통계.

16.

한국자살예방협회 (2004). 자살예방전문가가 권고하는 언론의 자살 보도 기준.

17.

허태균, 장훈 (2008). 자살 예방과 대중매체의 역할. 자살의 이해와 예방, 한국자살예방협회 편, 서울: 학지사.

18.

Bandura, A. (1973). Aggression: A social learning analysis.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19.

Ebmeier, K. P., Donaghey, C., & Steele, J. D. (2006). Recent developments and current controversies in depression. Lancet, 368, 153-167.

20.

Fekete, S., & Macsai, E. (1990). Hungarian suicide models, past and present. In G. Ferrari(Ed.), Suicidal Behavior and Risk Factors. Monduzzi Editore, Bologna.

21.

Goldney, R. D. (2001). The media and suicide: A cautionary view. The Journal of Crisis Intervention and Suicide Prevention, 22(4), 173-175.

22.

Gould, M. S. (2001). Suicide and the media. Annals of New York Academy of science, 932, 200-224.

23.

Gundlach, J., & Stack, S. (1990). The impact of hyper media coverage on suicide: New york city 1910-1920. Social Science Quarterly, 71, 619-627.

24.

McGuire, W. J. (1978). An Information-Processing Model of Advertising Effectiveness, in H. L. Davis and A. H. Silk(Eds.), Behavioral and Management Sciences in Marketing, Ronald Press, New York. 1978.

25.

Michel, K., Frey, C., Wyss, K. & Valach, L. (2000). An exercise in improving suicide reporting in print media. The Journal of Crisis Intervention and Suicide Prevention, 21(2), 71-78

26.

Narveson, J. (1986). Moral philosophy and suicide. Canadian Journal of Psychiatry, 31(2), 104-107.

27.

Perlin, S. (1975). Handbook for the study of suicide. NJ: Oxford University Press.

28.

Phillips, D. P. (1974). The influence of suggestion on suicide: Substantive and theoretical implications of the Werther effect.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39, 340-354.

29.

Phillips, D. P. (1989). Recent advances in Suicidology: The study of imitative suicide. In R. F. W. Diekstar, R. Maris, S., Platt, A. Schmidtke, G. Sonneck (Eds.), Suicide and its prevension: The role of attitude and imitaion. Leinden, The Netherlands: E. J. Bril

30.

Pirkis, J. & Blood, W. R. (2001a). Suicide and the media part Ⅰ: Reportage in nonfictional media. The Journal of Crisis Intervention and Suicide Prevention, 22(4), 146-154.

31.

Pirkis, J. & Blood, W. R. (2001b). Suicide and the media part Ⅱ: Portrayal issues. The Journal of Crisis Intervention and Suicide Prevention, 22(4), 155-162.

32.

Pirkis, J. & Blood, W. R. (2001c). Suicide and the media part Ⅲ: Theoretical issues. The Journal of Crisis Intervention and Suicide Prevention, 22(4), 163-169.

33.

Pirkis, J., Dare, A., Blood, R. W., Rankin, B., Williamson, M., Burgess, P. & Jolley, D. (2009). Changes in Media reporting of suicide in Australia between 2000/01 and 2006/07. The Journal of Crisis Intervention and Suicide Prevention, 30(1), 25-33.

34.

Schmidtke, A., & Hanfner, H. (1998). The Werther effect after television films: New evidence for an old hypothesis. Psychological Medicine, 18, 665-676.

35.

Simpson, M. E., & Conklin, G. H. (1989). Socioeconomic Development, Suicide and Religion: A test of Durkheim's theory of religion and suicide. Social Forces, 67(4), 945-964.

36.

Stack, S. (1993). The effect of modernization on suicide in Finland: 1800~1984. Sociological Perspectives, 36(2), 137-148.

37.

Stack, S. (2000). Media impacts on suicide: A quantitative review of 293 findings. Social Science Quarterly, 81, 956-971

38.

Suominen, K. H., Isometsa, E. T., Henriksson, M. M., Ostamo, A. I., & Lonnqvist, J. K. (2000). Suicide attempts and personality disorder. Acta psychiatrica Scandinavica 2000, 102(2), 118-125.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